-
조선시대 시흥 지역의 문벌이 높은 집안 또는 그 자손. 지금의 시흥시는 조선시대 인천부와 안산군에 속해 있었는데, 전통적으로 왕도의 직할지로서 중앙 정계에서 활동하던 유력 정치 세력의 재향(在鄕) 기반이기도 하였다. 경기 지역의 사족(士族)들은 향촌에 세거의 터전을 마련하여 거주하다가 관직으로 현달(顯達)하면 생활 기반을 한양으로 옮겨갔다. 그러면서도 향촌에 존재한 그들의 선영(先...
-
조선시대 시흥 지역의 문벌이 높은 집안 또는 그 자손. 지금의 시흥시는 조선시대 인천부와 안산군에 속해 있었는데, 전통적으로 왕도의 직할지로서 중앙 정계에서 활동하던 유력 정치 세력의 재향(在鄕) 기반이기도 하였다. 경기 지역의 사족(士族)들은 향촌에 세거의 터전을 마련하여 거주하다가 관직으로 현달(顯達)하면 생활 기반을 한양으로 옮겨갔다. 그러면서도 향촌에 존재한 그들의 선영(先...
-
경기도 시흥시에서 빈민을 위한 복음자리 운동을 주도한 사회 운동가이자 신부. 정일우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가톨릭 신부로 원래 이름은 존 빈센트 데일리(John Vincent Daly)이고, 세례명은 사도 요한이다. '빈민 사목의 대부'로 알려졌으며, 40년 가까이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예수회 신부이자 빈민 운동가이다. 정일우는 미국 일리노이주 출신으로...
-
경기도 시흥 지역을 포함한 18세기 안산 지역의 남인 및 소북계 사대부들이 결성한 시 모임. 사로사(四老社)는 오헌(傲軒) 백상형(白尙瑩),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의암(蟻庵) 조중보(趙重普), 석가재(夕可齋) 이태길(李泰吉) 등 4명의 인사가 참여한 모임이었다. 이 모임이 결성된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766년(영조 42) 10월 학산(鶴山)...
-
조선시대 시흥 지역의 문벌이 높은 집안 또는 그 자손. 지금의 시흥시는 조선시대 인천부와 안산군에 속해 있었는데, 전통적으로 왕도의 직할지로서 중앙 정계에서 활동하던 유력 정치 세력의 재향(在鄕) 기반이기도 하였다. 경기 지역의 사족(士族)들은 향촌에 세거의 터전을 마련하여 거주하다가 관직으로 현달(顯達)하면 생활 기반을 한양으로 옮겨갔다. 그러면서도 향촌에 존재한 그들의 선영(先...
-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에 연꽃을 심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 운송거사(雲松居士), 국오(菊塢), 만송강(萬松岡). 강희맹(姜希孟)[1424~1483]의 증조할아버지는 강시(姜蓍), 할아버지는 동북면 순무사(東北面巡撫使) 강회백(姜淮伯), 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영의정 심온(沈溫...
-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 가래울마을에 거주했던 조선 전기 문신이자 한국 양명학의 대종사. 정제두(鄭齊斗)[1646~1736]는 학자로서 평생 학문을 연구하며 살았다. 잠시 평택현감과 회양도호부사로 부임하고 영조의 총애를 받아 이조참판, 대사헌, 세자시강원찬선(世子侍講院贊善), 성균관좨주(成均館祭酒) 등의 요직에 기용되었지만 지속적으로 사퇴를 청하였다....
-
조선시대 시흥 지역의 문벌이 높은 집안 또는 그 자손. 지금의 시흥시는 조선시대 인천부와 안산군에 속해 있었는데, 전통적으로 왕도의 직할지로서 중앙 정계에서 활동하던 유력 정치 세력의 재향(在鄕) 기반이기도 하였다. 경기 지역의 사족(士族)들은 향촌에 세거의 터전을 마련하여 거주하다가 관직으로 현달(顯達)하면 생활 기반을 한양으로 옮겨갔다. 그러면서도 향촌에 존재한 그들의 선영(先...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활을 쏘며 심신을 단련하는 시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동쪽의 활을 잘 쏘는 민족'이라는 의미인 동이(東夷)로 불릴 만큼 활을 잘 다루었다. 따라서 활터의 역사도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이나 그 이전부터 있었으리라 추정된다. 국가가 도성 내 활터를 설치한 최초의 기록은 1091년(고려 선종 8) 호부(戶部)의 남랑(南廊)에 군졸과 일반 백성에게...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활을 쏘며 심신을 단련하는 시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동쪽의 활을 잘 쏘는 민족'이라는 의미인 동이(東夷)로 불릴 만큼 활을 잘 다루었다. 따라서 활터의 역사도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이나 그 이전부터 있었으리라 추정된다. 국가가 도성 내 활터를 설치한 최초의 기록은 1091년(고려 선종 8) 호부(戶部)의 남랑(南廊)에 군졸과 일반 백성에게...
-
조선시대 시흥 지역의 문벌이 높은 집안 또는 그 자손. 지금의 시흥시는 조선시대 인천부와 안산군에 속해 있었는데, 전통적으로 왕도의 직할지로서 중앙 정계에서 활동하던 유력 정치 세력의 재향(在鄕) 기반이기도 하였다. 경기 지역의 사족(士族)들은 향촌에 세거의 터전을 마련하여 거주하다가 관직으로 현달(顯達)하면 생활 기반을 한양으로 옮겨갔다. 그러면서도 향촌에 존재한 그들의 선영(先...
-
경기도 시흥 지역에 있었던 과거 사찰의 흔적이나 사찰의 터. 절터는 폐사지(廢寺址)라고도 이르며 과거에 운영되던 사찰이 있었으나 현재는 명맥이 끊겨 흔적만 남은 터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과거 문헌에 기재된 사찰의 명칭이나 절터에서 발견되는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시대적 연혁과 실제 명칭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의 경기도 시흥 지역으로 판단되...
-
경기도 시흥시에 대해 카메라를 사용해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게 만든 영상. 우리나라의 사진 역사는 대략 1880년대부터 시작된다. 당시 중국 상하이[상해(上海)]와 일본 등지에서 사진기를 구입하여 사진관을 설립하고 초상 사진을 찍어 주던 것이 초기의 모습이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지나 광복 후에는 예술 사진이라는 개념 하에 개인적으로 생활 모습을 찍어 개인 전람회를 여는...
-
경기도 시흥시 전 지역을 사진 및 채색 화보로 구성, 발간한 사진집. 『시흥의 어제와 오늘』은 『사진으로 보는 시흥 100년』 시리즈 제1권 『시흥의 역사와 행정』에 이어 발간된 제2권이다. 시흥 지역 100년간의 지도, 역사, 문화, 행정, 인물 등 다양한 모습이 담긴 빛바랜 옛 사진집을 통해 과거 시흥 지역의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는 자료집이다....
-
경기도 시흥시의 역사와 관련된 다양한 지도 자료 및 행사, 인물 사진들을 채색 화보로 구성하여 발간한 사진집. 『시흥의 역사와 행정』은 『사진으로 보는 시흥 100년』 시리즈의 첫 번째 권이다. 시흥 지역 100년간의 지도, 역사, 인물, 행정 등 다양한 모습이 담긴 빛바랜 옛 사진집을 통해 과거 시흥 지역의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는 자료집이다. 『...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지방 하천. 신천(新川)은 시흥시 대야동의 하우고개에서 발원하여 시흥시에서 유로가 종료되는 지방 하천이다. 하천의 이름인 신천(新川)은 이 하천이 흐르는 곳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신천이라는 지명은 현재 시흥시의 동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1914년 일제에 의해 단행된 행정구역 개편 시 인천부 신현면의...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던 옛 장터. 뱀내장은 조선 후기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시장으로, 매월 1일과 6일에 개장하였다. 축산물 거래가 대부분인 우시장의 성격이 강했으며, 농산물·수산물·직물 등도 거래하였다. 특히 수원장, 소사장과 함께 경기도의 대표적인 우시장이었다. 가장 많은 소가 들어온 것은 200~300마리 정도의 소가 들어온 때...
-
경기도 시흥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보장을 위한 다양한 정책. '사회적으로 행복한 생활 상태'를 뜻하는 사회복지는 교육, 문화, 의료, 노동 등 사회생활의 모든 분야에 관계하는 조직적인 개념으로 생활보호법, 아동복지법, 사회복지사업법 등의 법률에 기초를 둔다. 또한 사회복지는 한 사회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 향상과 행복을 목표로 시행하는 직간접적인...
-
경기도 시흥시에서 주변 지역보다 높은 자연 지형. 경기도 시흥시는 경기도 중서부의 해안가에 자리한다. 남서쪽은 서해에, 나머지 부분은 경기도의 내륙과 접한다. 지형은 전체적으로 광주산맥의 남서단에 해당하며 150~200m 내외의 낮은 구릉성 산지가 분포한다. 그 사이를 흐르는 소하천들에 의해 형성된 곡저 평야(谷底平野)와 하천의 하구 및 경기만의 소규모 내만(...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한국산업기술대학교의 건학 이념은 '실사구시(實事求是)'이며 교훈은 '창의', '실천'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를 주도하는 인재 양성, 둘째 기업의 성장과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인재 양성, 셋째 국제적인 산업 협력과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의 양성이다. 한국산업기술대학교는 1994년 7월...
-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에 있는 근린공원. 산들공원은 시흥시 거모동에 있는 공원으로 시흥 시민들의 쉼터 및 문화 행사 장소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2011년부터 매년 군자 산들 축제가 개최되고 있으며, 여름철에는 물놀이장을 개장하여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다목적 공원이다. 녹지 면적이 부족했던 주거 밀집 지역인 군자권 거모동 중심으로 녹지와 휴식 공간 확...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행해지는 산악에 대한 믿음과 숭배. 우리나라 전통의 토착 신앙은 샤머니즘에 기초한 자연 종교이다. 현상적으로 자연은 하늘, 땅, 바다로 삼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토착 신앙에서 자연은 하늘과 별을 대표하는 칠성(七星), 산을 대표하는 산신(山神), 물을 대표하는 용왕(龍王)으로 삼분될 수 있다. 하늘이 다소 추상적인 데 비해, 산과 물은 지상에 사...
-
시흥 지역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농촌과 어촌 중심의 향촌 공동체를 토대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안산시에 조성된 반월국가산업단지를 1980년대 중반 확장하면서 정왕동 일대에 대단위의 산업단지가 개발되기 시작하였으며, 이 산업단지는 현재 시화국가산업단지[시흥공단]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지리적으로 접해 있는 반월국가산업단지와 시화국가산업단지는 시너지 효과를 내며 시흥...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방산동은 시흥시 중서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신현동에서 관할한다. 방산동은 방곡리(芳谷里)의 ‘방’ 자와 산정리(山井里)의 ‘산’ 자를 따서 지은 지명이다. 방산동의 마을인 방곡리는 ‘밤송이를 닮은 마을’이라는 의미이고, 산정리는 ‘대동우물이 있는 마을’이라는 각각의 지명 유래가 합쳐진 것이다. 방산동은...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대나무, 싸리나무 등을 이용해 갯벌에 울타리를 둘러치고 밀물과 썰물의 차를 이용해 물고기를 잡는 방식 또는 그 장치. 살[어살(魚-), 어전(漁箭), 어량(魚梁)]은 서해안 지역에서 행해지던 전통적인 어로법 중의 하나이다. 개울이나 수심이 낮은 강가, 바다의 갯벌 등에 싸리나무·대나무 등으로 반원형 또는 날개형 울타리를 쳐서 물고기를 잡는...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미산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신현동에서 관할한다. 미산동은 ‘미산(米山)’ 또는 ‘살미’로 불리던 곳으로 지명 자체에서 유래를 알 수 있다. 이곳 앞에 있는 호조벌이 쌀이 많이 나는 곳이라 하여 ‘미산’이라 칭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미산동은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신현면의 창...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활을 쏘며 심신을 단련하는 시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동쪽의 활을 잘 쏘는 민족'이라는 의미인 동이(東夷)로 불릴 만큼 활을 잘 다루었다. 따라서 활터의 역사도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이나 그 이전부터 있었으리라 추정된다. 국가가 도성 내 활터를 설치한 최초의 기록은 1091년(고려 선종 8) 호부(戶部)의 남랑(南廊)에 군졸과 일반 백성에게...
-
경기도 시흥시 능곡동에 있던 옛 시장. 시흥시 능곡동[능곡동·화정동], 연성동[하중동·하상동·광석동·장현동], 장곡동, 군자동[군자동·거모동], 월곶동 일대의 주민들이 이용하던 옛 시장으로 축산물의 거래가 많았다. 능곡 삼거리마을[지금의 능곡동 삼거리] 옛 정미소 자리 주변 장터는 장의 중심지로 특별히 '장마당'이라 불렀다. 삼거리장(三巨里場)의 유...
-
고구려·백제·신라 및 가야가 병립하였던 시기의 경기도 시흥의 역사와 문화. 삼국시대는 고구려를 비롯하여 마한·변한·진한 등 삼한을 계승한 백제와 신라, 가야가 고대 국가로서의 틀을 갖추기 시작하는 3세기경부터 신라가 삼국을 통일하였던 668년까지를 의미한다. 삼국시대는 삼국 및 가야 이외에 부여·옥저·동예 등 여러 나라가 공존한 시기도 있었으나, 최종적으로 고구려·백제·...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전통 시장. 삼미시장은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개설된 역사가 비교적 짧은 시장이다. 삼미시장은 600m 이내에 대형 마트가 있는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상가 주민들의 고객 유치 노력에 힘입어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특히 삼미시장의 족발 가게인 '거창왕족발'이 경기도가 지정한 전통 시장 명품 점포 8곳 중 한 곳으로 선정되...
-
경기도 시흥시에서 아기를 점지하고 산모와 산아를 돌보는 세 신령. 삼신은 '삼신할머니'로 잘 알려져 있다. 자식을 점지해 주고 산모와 산아를 돌보는 신이다. 인간의 수명장수(壽命長壽)를 관장하는 칠성(七星)과도 그 기능이 중첩된다. 그런 점에서 민간에서는 삼신(三神), 제석(帝釋), 칠성이 혼합되어 모셔지는 경향도 있다. 삼신에게 바치기 위해 해 놓은 삼신주머니를 ‘제석...
-
경기도 시흥시에서 아기를 점지하고 산모와 산아를 돌보는 세 신령. 삼신은 '삼신할머니'로 잘 알려져 있다. 자식을 점지해 주고 산모와 산아를 돌보는 신이다. 인간의 수명장수(壽命長壽)를 관장하는 칠성(七星)과도 그 기능이 중첩된다. 그런 점에서 민간에서는 삼신(三神), 제석(帝釋), 칠성이 혼합되어 모셔지는 경향도 있다. 삼신에게 바치기 위해 해 놓은 삼신주머니를 ‘제석...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집을 짓는 과정 중 마룻대를 올릴 때 지내는 고사. 집을 지을 때 건물 골격의 최상부를 종도리 또는 마룻도리, 마룻대라고도 한다. 기둥에 보를 얹고 그 위에 종도리를 얹는 것을 상량(上樑)이라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내는 의례를 상량고사라고 한다. 상량을 하는 것은 집의 골격이 완성되어 내부 공사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동안의 어려운...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례를 지내기까지 수반되는 의례. 상례(喪禮)는 일생 통과 의례 중의 하나다. 임종(臨終) 전에서 탈상(脫喪)까지의 과정은 상례의 예법에 따라 행해진다. 상례는 효와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에 효를 중요하게 여기는 전통 사회에서 다른 의례에 비해 매우 중요한 것이었다. 오늘날 시흥 지역의 상례는 대부분 현대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19...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과 월곶동에 걸쳐 있는 산. 상양산은 시흥시 장곡동 주민들이 마을의 주산(主山)으로 삼아 당제를 지냈다. 현재 가벼운 등산과 운동을 위해 주민들이 많이 찾고 있다. 일대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이라 하여 상양봉(上陽峰)이라 불린다. 상양산은 장곡동 매꼴마을[응곡(鹰谷)]과 월곶동 마전저수지 사이에 자리한 그리 높지 않은 산이다...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과 월곶동에 걸쳐 있는 산. 상양산은 시흥시 장곡동 주민들이 마을의 주산(主山)으로 삼아 당제를 지냈다. 현재 가벼운 등산과 운동을 위해 주민들이 많이 찾고 있다. 일대에서 해가 가장 먼저 뜨는 곳이라 하여 상양봉(上陽峰)이라 불린다. 상양산은 장곡동 매꼴마을[응곡(鹰谷)]과 월곶동 마전저수지 사이에 자리한 그리 높지 않은 산이다...
-
경기도 시흥시에서 장례 때 부르는 의식요. 시흥시에는 각 동네마다 장례 때 「상여소리」를 부르던 소리꾼이 있었지만 근래는 몇 명 남지 않았다. 최근까지 활동한 소리꾼으로는 월곶동과 거모동의 방연근, 방산동과 포동의 김인삼, 금이동과 목감동의 신현돌인데, 지금은 연로하여 활동을 중지했거나 타계하였다. 월곶동의 경우 방연근이 「상여소리」를 불렀는데, 운...
-
경기도 시흥시 논곡동에서 출생한 향토사학자 겸 자료 수집가. 이한기(李漢基)[1945~2002]는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논곡리 227[지금의 시흥시 논곡동]에서 출생하였다. 승언(承彦)이란 필명을 애용하여 본명보다 필명이 널리 알려졌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상오재(尙五齋), 필명은 승언. 아버지 이윤학(李潤鶴)과 어머니 김숙진(金淑鎭)의 3남 1녀 중...
-
경기도 시흥시 물왕동의 농민들이 벽사진경(僻邪進慶)][사악함을 물리치고 경사를 맞이함] 및 기풍(祈豊)[농작이 풍년이 들기를 바람] 행사의 목적으로 행하던 농악 놀이. 월미라는 말의 유래는 ‘얼미’에서 나왔는데, 높은 관직을 맡았던 분의 묘 근처에 '얼씬도 하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때는 마을 뒷산에 반달이 얹혀 있는 형국이라는...
-
경기도 시흥시에 서식하고 있는 조강의 척추동물 총칭. 경기도 시흥시에서 서식하는 조류는 시화멀티테크노밸리 환경 영향 평가의 조사 결과, 총 14목 30과 97종 30만 11개체가 관찰되었다. 시흥에서 발견되는 여름 철새로는 백로류, 할미새류, 물총새류, 뻐꾸기류 등이 있다. 특히 시화호에서 백로류, 할미새류, 물총새류, 뜸부기류 등이 발견되며 삼림...
-
1970년대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진행된 지역 사회 개발 운동.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는 1971년 무렵부터 새마을 가꾸기 사업이 시작되었다. 농가의 지붕 개량에서 시작하여 소득 증대 사업, 농로와 마을길 정비 사업 등으로 확산해 나가면서 정신 혁명운동이라는 의미까지 부여되었다. 1970년대 중반 농촌 주민들의 호응을 얻으면서 사업 성과를 올렸으나, 1970년대 후반 들어...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매꼴마을과 소래염전 사이에 있는 들. 새방죽들은 조선 후기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과 소래염전 사이에 방죽을 조성하면서 형성된 들로 일제강점기 때 농경지로 변모하였다. 새방죽들의 ‘새'는 과거 ‘무엇과 무엇의 사이'라는 의미로 흔히 쓰였지만, 새방죽들이 이를 의미하는지는 불확실하다. 새방죽이라는 이름은 이 지역 외에도 시흥시...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조남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동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목감동에서 관할한다. 자연 마을인 새미 뒤[북쪽]에 있는 매봉재의 산세가 풍수로 보아 새가 남쪽으로 머리를 조아리고 있는 형국이라 했고, 이 산으로 인해서 조남동의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초산면의 조남리와 제청리였다가 1912년 2월 5일 조선총...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중증 환자를 위한 의료 전문 기관. 새오름호스피스는 시흥 지역의 주민들 중 임종기에 있는 노인이나 죽음이 임박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명 연장을 위한 치료보다는 병의 고통을 덜어 주고 남은 여생을 평안하게 정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의료 기관이다. 말기암 질환 등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우와 그 가족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 경제적 고통을...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행정동. 신현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서부에 있는 행정동으로 법정동인 방산동, 포동, 미산동을 관할한다. 신현동은 본래 인천부 신현면에 속했던 지역이다. 관할 법정동인 포동 새우개가 신현(新峴)의 순한글 표현이므로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에 지역의 전통을 계승하자는 의미에서 행정동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인천부 신현면이라...
-
경기도 시흥시 포동 새우개에서 행하던 당제에 관한 연구서. 시흥 군자봉 성황제와 함께 시흥시의 대표적인 무형 문화유산인 ‘시흥 포동 새우개 당제’의 의미를 재조명한 학술서로, 시흥시의 의뢰를 받아 사단법인 한국종교문화연구소가 편찬하였다. 『시흥 포동 새우개 당제』는 도시 개발의 확산에 따라 자연 마을의 해체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2007...
-
경기도 시흥시 포동에 있는 자연 마을. 새우개마을은 조선시대 인천부의 가장 남쪽에 있던 신현면의 중심지였다. 현재도 법정동인 포동의 중심이 되는 마을로 새우개 당집을 중심으로 동쪽에 있는 마을은 동편마을이라 부르고, 서쪽에 있는 마을은 서편마을이라고 부른다. 새우개마을이란 명칭은 조선 후기 이 마을 서편에 국시랑과 능골을 거쳐 이웃한 구시미마을을 왕...
-
경기도 시흥시 죽율동에 있는 자연 마을 부농의 전통 주택. 생금집은 일제강점기에 세워진 것으로 시흥시 죽율동의 자연 마을인 한배미마을의 중심에 있다. 오래전부터 금녕 김씨(金寧金氏)가 이곳에 세거했으며 조선 후기와 일제강점기 경기도 가옥의 형태를 잘 보여 주고 있는 향토유적이다. 생금집은 건물이 세워진 연원과 관련된 전설도 내려와 역사적 가치뿐 아니라 문화 자...
-
경기도 시흥시 죽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생금초등학교의 교훈은 ‘배움을 실천하며 꿈을 키우자’이다.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으로 더불어 자라는 어린이, 배움으로 창의적인 생각을 키우는 어린이,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활력 있는 어린이, 감성과 꿈으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의 양성이다. 생금초등학교는 2014년 3월 1일 8개 학급[초등 7학급, 유치원...
-
경기도 시흥시 죽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생금초등학교의 교훈은 ‘배움을 실천하며 꿈을 키우자’이다. 교육 목표는 배려와 나눔으로 더불어 자라는 어린이, 배움으로 창의적인 생각을 키우는 어린이, 건강한 몸과 마음으로 활력 있는 어린이, 감성과 꿈으로 삶을 가꾸는 어린이의 양성이다. 생금초등학교는 2014년 3월 1일 8개 학급[초등 7학급, 유치원...
-
경기도 시흥시 각 지역의 주민들이 행정구역과 관계없이 일상생활을 하는 범위. 생활권이란 행정구역과 관계없이 공동체 의식으로 결속될 수 있는 범위이자, 도로나 자동차 등을 이용한 일상생활의 접촉 범위 내에 있는 권역을 말한다. 시흥시는 북서쪽으로 인천광역시, 북쪽으로 경기도 부천시, 동쪽으로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 남쪽으로는 경기도 안산시에 접해 있다. 시흥시...
-
경기도 시흥시 매화동에서 활동하는 지역 생활 문화 운동을 펼치는 공동체. 생활문화탐구소 틈은 공간을 매개로 대안적 삶의 문화를 생산하고 건강한 사회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기획된 약 132㎡ 면적의 문화 공간으로 동네 책방, 목공 창고, 손발장[농기구 보관실], 틈틈 공방, 동네 부엌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시흥시에서 지역 문화 운동이 필요하다고...
-
경기도 시흥시에 묘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 세종의 여덟 번째 왕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염(琰), 자는 명지(明之), 호는 서곡(西谷). 영응대군(永膺大君)[1434~1467]의 증조할아버지는 태조, 할아버지는 태종,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로 청송 심씨(靑松沈氏)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이다. 처음에 여산 송씨(礪山宋氏) 판중추부사(判中...
-
경기도 시흥 지역이 속해 있던 옛 시흥군 군자면의 구 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권희(權憘)[1900~1955]는 1919년 4월 7일 군자면 구 장터 만세운동을 모의하다 일제로부터 피체(被逮)되어 옥고를 치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안산군 마유면 장상리 안두일[지금의 시흥시 장현동]에서 대대로 세거한...
-
경기도 시흥시 포동 새우개마을의 어부들이 연평도 고기잡이 때 부르던 노동요. 「뱃치기소리」는 ‘배치기’라고 하는 경기도 시흥 지역의 향토 민요로 포동 새우개마을의 어부들이 연평도 고기잡이 때 부르던 노래다. 출항 전이나 고기를 건져 올릴 때, 그리고 마을 대동제 때에도 부른다. 본래 황해도 연평도와 인근 지역에서 부르기 시작한 서도소리지만, 연평도 조기잡이 때...
-
경기도 시흥시에서 활동하는 국악 단체 서도소리보존회 산하 지역 단체. 서도소리보존회 시흥지부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9호 서도소리(西道-) 보유자 이춘목과 김광숙이 2001년에 설립한 사단법인 서도소리보존회의 경기도 시흥 지역 지부로 박일엽 지부장이 창단할 때부터 운영을 맡고 있다. 시흥시는 경기도에 속하지만 서해안을 끼고 황해도 및 평안도 등의 서도 지역과 연결...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장현동·능곡동에 걸쳐 있는 산. 군자봉에는 ‘세 자 세 치가 깎인’ 전설이 전해진다. 전설에 따르면 유씨 집안의 여종 하나가 주인으로부터 벌을 받아 숨을 거두었다. 죽은 여종의 아들이 금강산으로 들어가 스님에게 풍수를 배우다가 스님이 되어 고향으로 돌아왔다. 풍수에 조예가 깊은 스님이 마을에 왔다는 소식에 유씨 집안에서 그를 불러 가문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개원 예정인 서울대학교 산하 종합병원. 서울대 시흥병원은 배곧 신도시의 서울대학교 시흥스마트캠퍼스 내에 건립 중인 종합병원이다. 배곧 신도시에 의료와 첨단 IT가 접목된 의료 기술 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첨단 의료 및 글로벌 메디컬 신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설립하기로 하였다. 서울대 시흥병원의 건립은 2007년 서울대학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선천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타고난 영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관학 협력 특수교육 기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시흥영재교육원은 시흥시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간 관학 협력을 통하여 설립한 영재교육 기관이다. 우수한 영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영재교육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2년 8월 서울대학교 창의 인재 육성...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선천적으로 우수한 능력을 타고난 영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관학 협력 특수교육 기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시흥영재교육원은 시흥시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간 관학 협력을 통하여 설립한 영재교육 기관이다. 우수한 영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영재교육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2012년 8월 서울대학교 창의 인재 육성...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대야동을 거쳐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군포시를 연결하는 수도권의 도시 순환 고속도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성남시 판교 분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서울특별시, 경기도 하남시·구리시·남양주시·의정부시·양주시·고양시·김포시, 인천광역시를 거쳐 경기도 부천시·시흥시·안산시·군포시·안양시·의왕시·성남시를 순환하는 고속도로이다. 노선 번호는...
-
경기도 시흥시 논곡동에서 출생한 언론인. 서철원(徐澈源)[1933~1985]은 『대한일보(大韓日報)』 기자로 입사 후 사회부장을 역임하였으며 한국신문상을 수상하였다. 육영재단 총무부장과 식품 회사 대표 등 활발한 사회 활동을 하였다. 본관은 대구(大丘). 경기도 시흥시 수인로2431번길 13-5[논곡동 271]에서 출생하였다. 서철원은 서영석(徐永錫)의 2남이...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촌초등학교의 교훈은 ‘행동은 바르게, 생각은 새롭게, 몸은 굳세게’이다. 교육 목표는 인성, 지성, 감성, 건강이 조화롭게 발달된 창의적 민주 시민의 육성이다. 서촌초등학교는 1997년 9월 1일 설립 인가를 받아 11개 학급으로 개교하였으며, 1999년 3월 2일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08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촌초등학교의 교훈은 ‘행동은 바르게, 생각은 새롭게, 몸은 굳세게’이다. 교육 목표는 인성, 지성, 감성, 건강이 조화롭게 발달된 창의적 민주 시민의 육성이다. 서촌초등학교는 1997년 9월 1일 설립 인가를 받아 11개 학급으로 개교하였으며, 1999년 3월 2일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08년...
-
경기도 시흥시 포동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소나무. 포동 소나무는 새우개마을 북쪽 산기슭에 있으며 마을에 들어오는 잡귀를 막아주는 수호목 역할을 하고 있다. 소나뭇과로 학명은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이다. 소나무는 한반도 북부의 아고산대(亞高山帶)[고산대와 저산대 사이에 있는 식물의 수직 분포대]를 제외한 전...
-
경기도 시흥시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그리스도교의 한 교파. 천주교는 1887년(고종 24) 한불조약이 체결됨으로써 공식적으로 선교가 시작되었다. 그 후 경기도에서도 본격적으로 성당들이 건립되었는데, 1888년(고종 25) 수원에서 서쪽으로 약 12㎞ 떨어진 좁고 한적한 산길 가의 '갓등이'[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1길 71]에 세워진 예배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서해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하고 봉사하는 창조인이 되자'이다. 교육 목표는 학생, 학부모, 교사가 모두 행복한 학교이며 'Beyond the B.E.S.T'라는 실천 목표를 세워 학생들이 더 나은 미래(Better Tomorrow)를 준비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예절(Etiquette)을 기르며, 함께(Shar...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서해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하고 봉사하는 창조인이 되자'이다. 교육 목표는 학생, 학부모, 교사가 모두 행복한 학교이며 'Beyond the B.E.S.T'라는 실천 목표를 세워 학생들이 더 나은 미래(Better Tomorrow)를 준비하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예절(Etiquette)을 기르며, 함께(Shar...
-
경기도 시흥시와 경기도 안산시·부천시를 관통하는 철도 노선. 경기도 부천시 소사역과 경기도 안산시 원시역을 잇는 수도권 철도의 간선이다. 서해선은 국토교통부가 시행하는 민간 투자 시설 사업으로 시흥시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장현동, 하중동, 능곡동, 군자동을 지난다. 시흥시에 소재한 지하철역은 시흥대야역, 신천역, 신현역, 시흥시청역, 시흥능곡역의 5개이다...
-
경기도 시흥시와 경기도 안산시·부천시를 관통하는 철도 노선. 경기도 부천시 소사역과 경기도 안산시 원시역을 잇는 수도권 철도의 간선이다. 서해선은 국토교통부가 시행하는 민간 투자 시설 사업으로 시흥시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장현동, 하중동, 능곡동, 군자동을 지난다. 시흥시에 소재한 지하철역은 시흥대야역, 신천역, 신현역, 시흥시청역, 시흥능곡역의 5개이다...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과 조남동을 거쳐 경기도 광명시와 군포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을 잇는 총연장 340.6㎞의 고속도로이다. 노선 번호는 15번이다. 경기도 시흥시 구간은 조남동~목감동 구간으로 총 4.4㎞이다. 조남 분기점과 목감 나들목[IC]이 있으며 제한속도는 최고 110㎞/h, 최저 50...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을 잇는 간선도로. 서해안로는 시화국가산업단지 내 대부도입구사거리를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부천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이르며 개봉동 개봉철도 고가차도를 종점으로 한다. 시흥시에서는 정왕동, 월곶동, 신현동, 신천동, 대야동을 지난다. 서해안로는 지리적으로 서해안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경기도 중서부에서 경기만에 접한 시흥시는 간석지[개펄]가 발달하기에 유리한 조건을 가진 곳이다. 도시의 서쪽 해안가를 따라 아주 넓게 펼쳐진 간석지는 일찍부터 시흥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중요한 원천이었다. 시흥시는 한반도의 중서부를 가로지르는 광주산맥의 산줄기가 끝나는 곳에 자리하여 고도가 낮은 구릉성 산지가 발달해 있고, 기복이 심하지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서해중학교의 교훈은 ‘근면’이며 교육 목표는 ‘미래의 꿈을 실현할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민주 시민의 육성’이다. 서해중학교는 1997년 3월 1일 1학년 2개 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2018년 2월 졸업한 제19회 졸업생 204명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총 5,929명의 학생을 배출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서해중학교의 교훈은 ‘근면’이며 교육 목표는 ‘미래의 꿈을 실현할 인성과 창의력을 갖춘 민주 시민의 육성’이다. 서해중학교는 1997년 3월 1일 1학년 2개 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 2018년 2월 졸업한 제19회 졸업생 204명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총 5,929명의 학생을 배출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해초등학교의 교훈은 ‘존중’이다. 교육 목표는 배움과 협력으로 창의적인 어린이[지성인], 따뜻한 감성을 깨우는 어린이[감성인], 존중과 배려로 인권 친화적인 어린이[민주인],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글로벌 어린이[건강인]를 양성하는 것이다. 서해초등학교는 1996년 5월 14일에 설립 인가 후 같은 해...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서해초등학교의 교훈은 ‘존중’이다. 교육 목표는 배움과 협력으로 창의적인 어린이[지성인], 따뜻한 감성을 깨우는 어린이[감성인], 존중과 배려로 인권 친화적인 어린이[민주인], 건강한 몸과 마음을 지닌 글로벌 어린이[건강인]를 양성하는 것이다. 서해초등학교는 1996년 5월 14일에 설립 인가 후 같은 해...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던 섬이었던 지역. 옥구도(玉鉤島)는 원래 지금의 시흥시 앞바다에 있던 섬이었지만, 도시 발달 과정에서 매립 공사가 진행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 경기만의 섬이었던 옥구도는 1920년대 시흥에서 군자염전을 조성하면서 간척지로 육지화되었다. 1920년대에 군자염전이 조성되고 소금을 생산하면서 일본에서 온 염전 기술자들이 머물던...
-
경기도 시흥시에서 석유의 성분인 탄화수소 등을 합성원료로 각종의 유기화합물을 만들어 내는 산업. 석유 화학은 석유 또는 천연가스에 포함된 탄화수소를 원료로 한 유기 화학 공업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나프타를 원료로 해서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BTX[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의 머리글자를 합하여 부르는 약칭] 등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던 섬이었던 지역. 옥구도(玉鉤島)는 원래 지금의 시흥시 앞바다에 있던 섬이었지만, 도시 발달 과정에서 매립 공사가 진행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 경기만의 섬이었던 옥구도는 1920년대 시흥에서 군자염전을 조성하면서 간척지로 육지화되었다. 1920년대에 군자염전이 조성되고 소금을 생산하면서 일본에서 온 염전 기술자들이 머물던...
-
경기도 시흥시 포동 걸뚝에서 하중동 돌장재를 연결하여 쌓았던 방죽. 호조방죽(戶曹-)은 시흥시 포동 걸뚝에서 하중동 돌장재를 이어 축조되었던 길이 약 720m의 인공 둑이다. 바다로서 개펄이었던 이곳에 조선 경종 원년인 1721년에 둑을 완공하여 농경지로 개간한 것이다. 이 둑은 과거 인천부와 안산군을 연결하는 교통로 구실을 하였으며, 국도39호선 구도로가 건...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던 자연 마을. 염부사마을은 군자염전에 근무하는 사람들이 이용하던 사무실과 관사(官舍) 및 염부(鹽夫)들의 이민사(移民舍)가 있던 마을이다. 염부사마을은 염부들이 사는 사택들로 이루어진 마을이란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염부사마을이 있던 옥구도는 1918년 발행한 『근세한국 오만분의 일 지형도(近世韓國五萬分-一地形...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던 섬이었던 지역. 옥구도(玉鉤島)는 원래 지금의 시흥시 앞바다에 있던 섬이었지만, 도시 발달 과정에서 매립 공사가 진행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 경기만의 섬이었던 옥구도는 1920년대 시흥에서 군자염전을 조성하면서 간척지로 육지화되었다. 1920년대에 군자염전이 조성되고 소금을 생산하면서 일본에서 온 염전 기술자들이 머물던...
-
경기도 시흥시의 선거권을 가진 지역민이 공직에 임용될 사람을 직접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 선거제도는 근·현대 민주정치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각 나라마다 정치적 전통이나 가치·경쟁 등의 결과에 의해 다르게 발전·수정되어 왔다.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선거와 국민투표를 통해 국민의 참정권을 보장하고 있는데, 선거는 국민들이 정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회이다. 즉,...
-
경기도 시흥시에서 문자로 역사적 사실들을 기록하기 이전의 유적과 유물. 2000년대를 기준으로 시흥 지역의 선사시대 유적은 7개, 조개더미[패총(貝塚)]는 4개, 선사시대 분묘(墳墓)는 13개, 선사시대 유물 산포지는 17개가 지표 조사되었다. 시흥시의 선사 유적은 향후 정밀 발굴 조사나 지표 조사를 통해 더 늘어날 것이다. 구석기시대 유적으로는 계수동 구석기 유적, 목...
-
경기도 시흥 지역에 있었던 조선시대 정부에서 징수한 어세·염세·선세를 통칭하는 용어. 조선시대 정부는 토지와 백성뿐 아니라 어장(漁場)과 염장(鹽場), 선박에 대해서도 세금을 부과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어세(漁稅), 염세(鹽稅), 선세(船稅)이다. 어염선세(漁鹽船稅)는 『경국대전』에서 처음으로 법제화되어 조선 후기까지 변화하며 유지되었다. 지금의 경기도 시흥 지역에 해당...
-
경기도 시흥시 장현동에 있는 조선 후기 안산군수와 관리들의 선정을 기리는 3기의 비석. 시흥시청 송덕비군은 모두 3기로 크기별로 나란히 서 있다. 좌측부터 권용정 영세불망비(權用正永世不忘碑), 박기회 거사비(朴氣會去思碑), 이규현 영세불망비(李奎鉉永世不忘碑) 순이다. 이 가운데 안산군수를 지낸 권용정의 비가 가장 크다. 안산군수의 다른 명칭은 연성(蓮城)군수였...
-
경기도 시흥 지역에 구전으로 전해 내려오는 서사 구조를 가진 꾸며 낸 이야기. 시흥 지역의 설화는 전설적인 특성이나 신이담(神異談)적 요소, 풍수적 특징, 유래담, 동물과 관련된 이야기 등이 나타난다. 욕심 많은 사람을 응징하는 등의 권선징악적이고 교훈적 의미를 가지는 내용도 포함된다. 시흥에서 전해지는 설화는 신화, 전설, 민담 등의 요소가 혼재되어 있어 엄...
-
경기도 시흥시에서 원사, 원단을 만들거나 이를 가공하여 의생활과 관련된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는 산업. 섬유 의복업은 섬유업과 의복업으로 구성된다. 섬유업이란 면·유화 등의 섬유 물질을 가공하여 원사·원단을 제조하고, 이를 직조, 편직, 염색, 표백, 방수 처리하는 등 가공을 하는 산업을 말한다. 그리고 의복업은 원단과 원사, 장식물을 이용해서 의복을 만드는 산업을 말한...
-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성세장의 묘. 성세장(成世章)[1506~1583]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자는 중회(仲晦)·경회(景晦), 호는 사암(思庵)이다. 현풍현감 성희문(成希文)의 아들이나 사헌부감찰 성희적(成希赤)에게 입양되었다. 김안국(金安國)의 문인이다. 1540년(중종 35) 진사로 식년(式年) 문과에 올라 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성여용의 묘. 성여용(成汝容)[1581~1608]의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자수(子受)이다. 호조좌랑(戶曹佐郞) 성완(成玩)의 현손(玄孫)이다. 아버지는 상서원부직장(尙瑞院副直長) 성오(成澳)이고, 대사헌 심의겸(沈義謙)의 손자사위이다. 사대부로서의 고상한 덕행이 있었으나 28세의 나이로 일찍 죽어 아들 성운한...
-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성운한의 묘. 성운한(成雲翰)[1606~1688]은 본관이 창녕(昌寧)이고, 자는 붕거(鵬擧)이다. 성여용(成汝容)의 아들이자 낭선군(朗善君) 이우(李俁)의 장인이다. 숙종 대의 문신으로 1635년(인조 13) 사마시(司馬試)에 입격(入格)하였으나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낙향하였다가 1650년(효종 1)에 이르러 사재...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성인 대상의 문자 해득 교육 기관. 시흥시성인문해교육센터는 일상생활에서 기초 문해 능력이 부족하여 가정·사회 및 직업 생활에서 불편을 느끼는 만 18세 이상 성인들을 대상으로 문자 해득(文字解得) 능력을 가르치는 기관이다. 한편 문자 해득 교육을 위한 통계·연구 및 조사 활동, 관내 문자 해득 교육 지원 사업, 문해 교육 교원 양성...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과 산현동에 걸쳐 있는 산. 관모산(冠帽山)은 높이 162m의 산으로 경기도 시흥시의 자연 마을인 광석동의 사티골과 나분들, 산현동의 골월과 사티골, 능곡동의 목실과 능골 등에 걸쳐 있는 산이다. 능선의 낮은 부분에 고개를 만들어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던 비교적 규모가 큰 산이다. 흥부저수지[물왕저수지] 제방 남쪽에 있는 ‘골월’이...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대청을 거처로 하고 집 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신. 성주는 집 안 최고의 신이다. 성주의 거처는 상량대(上樑-) 주변으로 경기도 지역에서는 안방으로 들어가는 문 위나 상량대 밑 등지에 창호지를 접어 걸어 놓거나 아예 이런 것조차 없이 대청을 성주의 거처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시흥 지역에서 성주의 신체(神體) 유무는 그리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대청을 거처로 하고 집 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신. 성주는 집 안 최고의 신이다. 성주의 거처는 상량대(上樑-) 주변으로 경기도 지역에서는 안방으로 들어가는 문 위나 상량대 밑 등지에 창호지를 접어 걸어 놓거나 아예 이런 것조차 없이 대청을 성주의 거처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시흥 지역에서 성주의 신체(神體) 유무는 그리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대감신에게 재물과 재복을 기원하며 쌀을 담아 놓은 항아리. 대감신(大監神)에게 부(富)를 기원하기 위해 집 안에 항아리를 모셔 놓는 풍속은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무속에서 대감신은 재물과 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막걸리와 팥떡, 돼지고기를 좋아한다. 굿에서 대감신을 위한 대감거리에서는 이런 음식을 바치고 돈을 달라고 요구한다. 무당은 욕심 많고 탐심...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과 부천시 소사구 심곡본동,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걸쳐 있는 산. 성주산은 높이 216.5m의 산으로, 경기도 시흥시 소래산과 맞닿아 있다. 예전에는 와우산(臥牛山)이라 불렀는데, 시흥시 쪽에서는 이 산의 골짜기를 댓골[大谷]이라 부르고, 산 이름을 댓골산이라고 불렀다. 일제강점기인 1911년에 간행된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에는 성주산...
-
경기도 시흥시 미산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성희철의 묘. 성희철(成希哲)[1464~1512]의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자명(子明)이다. 문효공(文孝公) 성사달(成士達)의 현손(玄孫)이며 호조좌랑(戶曹佐郞) 성완(成玩)의 아들로 6형제[희건(希騫), 희중(希仲), 희철(希哲), 희적(希赤), 희문(希文), 희주(希周)] 중 셋째이다. 1496년(연산군 2...
-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는 조선시대 인천과 안산에 속해 있었다. 조선 초기 인천에는 이(李)·공(貢)·하(河)·채(蔡)·전(全)·문(門)의 토착 성씨가 있었고, 내성(來姓)으로 박(朴)이 있었으며, 망성(亡姓)으로 최(崔)가 있었다. 안산에는 김(金)·안(安)·방(方)의 토착 성씨와 망성으로 임(林)이 있었다. 이들 토성 중 안산의 안산 김씨(安山金氏)를 제외한 대부분의 성씨가 조선...
-
경기도 시흥시에서 특정한 성씨가 모여서 대대로 살고 있는 곳.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김(金), 이(李), 박(朴) 등 혈연에 기초한 성을 사용하였지만 일반화되지는 않았고 차츰 중국의 성씨 제도를 수용하면서 고려 초기부터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고려 태조 왕건의 왕씨 성을 하사하는 사성(賜性)을 비롯하여 모성(冒姓), 변성(變姓), 자칭성(自稱性) 등의 방법으로...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일 년 주기로 전승되어 오는 민속. 시흥 지역의 세시풍속은 24절기를 기준으로 정월, 2월 꽃샘, 한식(寒食), 사월 초팔일, 단오(端午), 칠월 칠석, 백중(百中), 추석(秋夕), 중양절(重陽節), 시월 고사, 동지(冬至), 납향(臘享), 제석(除夕)에 행해진다. 한식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인데, 조상의 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시흥 주민을 위한 종합병원. 센트럴병원은 시흥 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다양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환우 보호자나 간병인을 대신하여 포괄 간호 안심 병동을 운영하는 지역 거점 종합 의료 기관이다. 시흥 주민들의 질환 및 질병에 대한 진료와 치료, 예방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센트럴병원은 의료법인 석경의...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성행했던 우시장에서 일정한 수수료를 받고 소 주인 대신 소를 흥정하여 적정한 가격에 팔아 주는 일. 시흥 지역에서 소의 매매가 공식적으로 이루어진 우시장은 뱀내장과 삼거리장 두 곳이 있었다. 뱀내장은 지금의 시흥시 신천동에 있었던 옛 장터이다. 소래농협 본점 건너 파출소가 있는 곳이었으나, 길을 넓히는 바람에 원래 자리에서 동남쪽으로 20...
-
경기도 시흥 지역 주민들이 광복 이후 군자염전과 소래염전 등에서 유출된 소금을 사서 인근 지역에 팔았던 일. 광복 이후 몇 년 동안 시흥 지역 주민들 상당수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나 경기도 안양시·광명시·과천시 등지로 소금을 팔러 다녔다. 이 시기 시흥 주민들이 소금 장사를 활발히 할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일제강점기인 1922년과 1936년에 각각 군자염전과 소래염전...
-
경기도 시흥 지역에 영향을 주었던 조선시대의 소금 수취 제도. 소금은 식생활의 필수품이자 국가의 중요한 세금원이었다. 국가에서는 일찍부터 소금으로부터 얻어지는 이익을 국가 재정으로 활용하려는 정책을 시도하였다. 이는 중국 한나라 때부터 시행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관련 언급이 있었지만, 정책으로 기록에 담기 시작한 때는 고려시대부터이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의 소...
-
경기도 시흥시에서 바닷물을 이용하여 소금을 만들기 위해 논처럼 조성한 곳.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드는 염전은 바닷물을 끌어들이기 쉬운 해안가에서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소금밭 또는 염밭이라고도 불리는 염전에는 여러 유형이 있지만, 가장 널리 이용된 것은 바닷물을 햇볕과 바람 등을 이용하여 증발시킴으로써 소금을 만드는 천일염전(天日鹽田)이다. 경기만에 접해...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무단 철거 직전의 소래염전 소금창고를 박물관, 미술관, 체험 학습관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벌인 운동. 소래염전 부지의 소유주였던 (주)성담이 2006년 6월 4일 현장에 남아 있던 소금창고 40동 가운데 38동을 방화 등으로 무단 철거하였다. 이에 시흥 지역 시민 단체와 문화 연대 등이 ‘구염전 소금창고 무단철거 항의 시민행동’을 조직하고...
-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을 잇는 다리. 소래 대교는 국도77호선[소래로]에 속한 다리로, 시흥시 월곶동 소래대교삼거리에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소래포구를 연결하며 영동고속도로와 평행하게 놓여 있다. 소래 대교는 인근에 있는 소래포구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교량 길이는 469.2m, 교량 폭은 20m이다. 교량의 높이는 7....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1차 의료 기관.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소래가정의원은 가정의학을 전문으로 하는 병원이다. 소래가정의원은 은행동 주민의 건강 진료와 의약 처방, 건강 증진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2월 13일 시흥시 은행동 지역을 기반으로 병원 업무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소래가정의원은 가정 내 다양한 질환을...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소래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 협동'이며 교육 목표는 '참된 학력 신장으로 모든 학생이 행복한 학교 만들기'이다. 1981년 1월 총 9개 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4월에 소래종합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97년 3월 소래고등학교로 교명이 개칭되었다. 2009년 3월 기숙사[인재숙]를 설립하였고, 2012년 야구부...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소래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 협동'이며 교육 목표는 '참된 학력 신장으로 모든 학생이 행복한 학교 만들기'이다. 1981년 1월 총 9개 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4월에 소래종합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1997년 3월 소래고등학교로 교명이 개칭되었다. 2009년 3월 기숙사[인재숙]를 설립하였고, 2012년 야구부...
-
경기도 시흥 지역의 소래공립보통학교에서 윤복동 교사가 일본 메이지 천황의 교육칙어를 감춘 사건. 1932년 4월 부천군 소래면 신천리 소래공립보통학교에서 일제 메이지 천황[明治天皇]의 상징처럼 귀중하게 보관되던 교육칙어(敎育勅語) 등본이 사라졌는데 그 사실을 며칠 후 알게 되었다. 경찰이 나서서 고강도 수사를 벌인 끝에 31세의 윤복동(尹福同) 교사가 자백하였다. 윤복동...
-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을 잇는 다리. 소래 대교는 국도77호선[소래로]에 속한 다리로, 시흥시 월곶동 소래대교삼거리에서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 소래포구를 연결하며 영동고속도로와 평행하게 놓여 있다. 소래 대교는 인근에 있는 소래포구에서 명칭이 유래하였다. 교량 길이는 469.2m, 교량 폭은 20m이다. 교량의 높이는 7....
-
현재의 경기도 시흥시를 포함하는 옛 행정구역. 소래면(蘇萊面)은 지금의 시흥시 대야동, 계수동, 신천동, 방산동, 포동, 미산동, 은행동, 안현동, 매화동, 도창동, 금이동, 과림동, 무지내동 일대와 경기도 광명시 옥길동, 부천시 옥길동·계수동 등이 포함된다. 문헌상으로는 1486년 발간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1861년 제작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 1...
-
경기도 시흥시에서 활동하는 문학 동아리. 소래문학회는 시흥 지역 문인들이 이끌어나가는 문학 단체로 문학 기행, 초청 강연, 동인지 발간 등의 활동을 꾸준히 실행하고 있다. 소래문학회는 '언어의 밭을 일구고 꽃 피우는 모임'이란 강령하에 문학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며 문학의 저변을 확대할 목적으로 설립하였다. 1992년 10월 15일 시흥 지역 문인들...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과 신천동,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에 걸쳐 있는 산. 소래산은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과 신천동에 걸쳐 있으며,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과 경계하고 있다. 시흥시 산세의 주맥은 소래산에서 발원한다. 조선시대 인천도호부의 진산(鎭山)이기도 했던 소래산에 대해서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소래산은 부 동쪽 24리[9.4㎞] 되는...
-
경기도 시흥시 소래산 장군바위에 새겨져 있는 불상.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 입상은 고려시대 소래산 중턱에 있는 장군바위[병풍바위]에 새겨진 총 높이 15m의 거대한 불상(佛像)이다. 바위 면에 선각(線刻)되어 불교 회화처럼 평면적이지만 거대한 규모와 유려한 조법(彫法)이 돋보이는 국내 최대 크기의 마애상(磨崖像)이다. 소재지는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산140-3번...
-
경기도 시흥시 소래산 장군바위에 새겨져 있는 불상.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 입상은 고려시대 소래산 중턱에 있는 장군바위[병풍바위]에 새겨진 총 높이 15m의 거대한 불상(佛像)이다. 바위 면에 선각(線刻)되어 불교 회화처럼 평면적이지만 거대한 규모와 유려한 조법(彫法)이 돋보이는 국내 최대 크기의 마애상(磨崖像)이다. 소재지는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산140-3번...
-
경기도 시흥 시민이 소래산 절개 도로 공사를 저지시킨 운동. 한국도로공사가 적법 절차를 거치지 않고 소래산 산마루 일부를 절개하여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을 강행하자 소래산을 지키려는 시흥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나서서 공사 저지 운동을 펼쳤다. 시흥 시민들은 1995년 가을부터 1996년 봄까지 약 179일 간의 현장 농성, 시민 서명 운동, 시민 공청회, 시민...
-
경기도 시흥시 소래산에서 나는 약수. 소래산에는 다수의 약수터가 있었지만, 2018년 6월 현재 청룡약수터 외에는 대부분 오염되어 먹을 수 없다. 소래산에는 다수의 약수터가 있었다. 특히 소래산 중턱에서 나오는 소래산 약수는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고 영험하여 앉은뱅이가 이 약수를 마시고 일어섰다고도 한다. 이 약수터에 절이 있었는데 1950...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서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비는 기우제를 지냈던 터. 대야동 우사단지(雩祀壇址)는 소래산 능선에 있으며 조선시대 인천부의 우사단(雩祀壇) 터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이곳의 지표에는 제단의 구체적인 흔적이 남아 있지 않고, 존재를 직접적으로 증빙하는 문헌 자료도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곳에 석렬(石列)로 단을 쌓은 모습이 있고 주...
-
경기도 시흥시 소래산에 있는 산림욕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한 산림. 소래산의 ‘소래(蘇萊)’란 지명은 지형이 소라처럼 생겼다는 설과 냇가에 숲이 많아 솔내[松川]라는 단어에서 유래하였다는 설 등이 있다. 소래산은 높이 299.4m의 산으로, 인근의 인천광역시·경기도 부천시 시민들도 즐겨 찾을 만큼 자연 경관이 빼어난 산으로 꼽힌다. 경기도 시흥시는 1...
-
경기도 시흥시 포동, 장곡동, 월곡동 일대에 있었던 소래염전에서 생산된 천일염을 보관하던 창고. 소금창고는 단순히 소금을 보관하는 기능적인 장소만이 아니다. 천일염이 금값이었던 시절에는 ‘소금 1가마=쌀 1가마’인 때도 있었고, 농촌에 수박과 참외 서리가 있었다면 해안의 염전 일대에는 ‘소금 서리’가 수시로 발생하였다. 소래염전과 소금창고는 그곳을 생업 기반으로 했던 수...
-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는 지리적으로 조선시대 인천부(仁川府)와 안산군(安山郡)에 속해 있었던 반면, 조선시대의 시흥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일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었다. ‘시흥’ 하면 떠오르는 곳이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이나 시흥행궁(始興行宮), 시흥사거리를 떠올리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그러다가 1914년 안산군에 속해 있던 군자면·수암면 지역이 시흥군에 편입되고,...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 대야동에 걸쳐 있는 저수지. 소래저수지는 약 110m² 규모의 저수지로 '계수저수지'라고도 불린다. 수도권에 가까이 있으며, 수초밭이 잘 발달되어 있다. 소래저수지는 일제강점기 때 농업용수 확보를 목적으로 건립되었다가 현재는 도심 휴식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소래저수지는 1929년에 착공하여 1930년에 준공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에 있는 활터이자 활터에 소속된 궁사들의 단체. 소래정(蘇萊亭)은 수도권 최대 규모의 사정(射亭)이 있는 활터이자 활터에 소속된 궁사들의 단체명이다. 소래정이라는 명칭은 소래산 정기를 받은 활터라는 의미이다. 소래정은 관무정(観武亭) 다음으로 시흥시에서 오래된 사정으로 방산동 주민들이 모여 들에서 활쏘기를 시작한 것이 모태가 되었...
-
경기도 시흥시 소래정에서 편을 나누어 하는 전통적인 활쏘기 시합. 1936년 『조선의 향토오락』을 쓴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의 조사에 의하면, 당시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수시로 활쏘기를 했는데, 이는 유학자나 남성 위주의 오락이었다고 전한다. '소래정'이라는 이름은 '소래산의 정기를 받은 곳'이라는 의미로 지었다고 하며 관무정 다음으로 시흥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소래중학교의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게’이다.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며 더불어 살아가는 창조적 소래인 육성’이라는 지표 아래 전인적인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자주인],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문화인],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개척인], 민주...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소래중학교의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게’이다. 교육 목표는 ‘꿈을 가꾸며 더불어 살아가는 창조적 소래인 육성’이라는 지표 아래 전인적인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자주인],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문화인],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개척인], 민주...
-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을 잇는 철교. 소래철교는 시흥시 월곶동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 걸쳐 있는 수인선 철교로 1937년에 설치되었다. 원래 이름은 수인선 철도를 부설한 경동철도주식회사의 이름을 따서 ‘경동철교(京東鐵橋)'라 했는데, 흔히 ‘소래철교'라 불렸다. 수인선 폐선 이후 월곶과 소래포구를 잇는 인도교(人道橋)로 사용되고...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소래초등학교의 교훈은 ‘열린 생각으로 바르게 행동하고, 이상은 높게’이다. ‘변화와 도전으로 미래를 열어가는 소래 교육’을 교육 목표로 개성이 풍부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지닌 어린이, 감성이 풍부하고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열린 사고로 새롭게 발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를 양성하고 있다. 소래초등학교는 1...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소래초등학교의 교훈은 ‘열린 생각으로 바르게 행동하고, 이상은 높게’이다. ‘변화와 도전으로 미래를 열어가는 소래 교육’을 교육 목표로 개성이 풍부하고 자기주도적 학습력을 지닌 어린이, 감성이 풍부하고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열린 사고로 새롭게 발상하는 창의적인 어린이를 양성하고 있다. 소래초등학교는 1...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야구장. 소망야구장은 시화국가산업단지 내 소망공원 체육 시설 중 하나이다. 소망야구장은 시흥 시민의 체육 활동 증진을 위하여 시흥시가 사업비 15억 5000만 원을 들여 건립하였다. 2007년 최초 건립되었으며 2013년 야간 경기가 가능하도록 조명 타워를 설치하였다. 소망경기장은 면적 9,025㎡의 인조 잔디...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야구장. 소망야구장은 시화국가산업단지 내 소망공원 체육 시설 중 하나이다. 소망야구장은 시흥 시민의 체육 활동 증진을 위하여 시흥시가 사업비 15억 5000만 원을 들여 건립하였다. 2007년 최초 건립되었으며 2013년 야간 경기가 가능하도록 조명 타워를 설치하였다. 소망경기장은 면적 9,025㎡의 인조 잔디...
-
경기도 시흥시의 농촌 마을에서 소가 논이나 밭을 가는 일을 하도록 가르치고 다루는 일. 전통 사회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소가 필요하였다. 특히 논이나 밭을 갈기 위해서는 반드시 소가 필요한데 일반적으로 앞니가 빠지기 전의 생후 2개월 된 중송아지 때부터 일을 가르쳤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시흥 지역 대부분의 농촌 마을에서는 거주 호수의 1/5 정도만 소를 부렸다....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 오쇠삼거리를 잇는 도로. 소사로는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 대야사거리을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부천시를 경유,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이르는 남북 방향의 도로이다. 전 구간 9.745㎞ 중 시흥시 구간은 약 0.6㎞를 차지하며, 이 도로를 통해 시흥시와 부천시, 서울특별시가 연결된다. 대야사거리에서 마유로, 서해안로와 만...
-
경기도 시흥시와 경기도 안산시·부천시를 관통하는 철도 노선. 경기도 부천시 소사역과 경기도 안산시 원시역을 잇는 수도권 철도의 간선이다. 서해선은 국토교통부가 시행하는 민간 투자 시설 사업으로 시흥시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장현동, 하중동, 능곡동, 군자동을 지난다. 시흥시에 소재한 지하철역은 시흥대야역, 신천역, 신현역, 시흥시청역, 시흥능곡역의 5개이다...
-
경기도 시흥시와 경기도 안산시·부천시를 관통하는 철도 노선. 경기도 부천시 소사역과 경기도 안산시 원시역을 잇는 수도권 철도의 간선이다. 서해선은 국토교통부가 시행하는 민간 투자 시설 사업으로 시흥시 대야동, 신천동, 신현동, 장현동, 하중동, 능곡동, 군자동을 지난다. 시흥시에 소재한 지하철역은 시흥대야역, 신천역, 신현역, 시흥시청역, 시흥능곡역의 5개이다...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하연을 모시는 사당. 소산서원(蘇山書院)은 조선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1376~1453]의 재실이다. 소산(蘇山)이란 소래산(蘇萊山)을 의미한다. 하연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연량(淵亮), 호는 경재(敬齋)·신희옹(新稀翁)이다. 하연은 정몽주(鄭夢周)의 제자로 1396년(태조 5) 문과에 급제한...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하연을 모시는 사당. 소산서원(蘇山書院)은 조선 세종 때 영의정을 지낸 하연(河演)[1376~1453]의 재실이다. 소산(蘇山)이란 소래산(蘇萊山)을 의미한다. 하연의 본관은 진양(晉陽)이며 자는 연량(淵亮), 호는 경재(敬齋)·신희옹(新稀翁)이다. 하연은 정몽주(鄭夢周)의 제자로 1396년(태조 5) 문과에 급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