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900793 |
---|---|
한자 | 鈴平祠 |
영어공식명칭 | Yeongpyeongsa |
이칭/별칭 | 영평위 사당,숭모각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기도 시흥시 산현동 산5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미엽 |
경기도 시흥시 산현동에 있는 윤섭과 윤지완의 위패를 모신 사당.
영평사(鈴平祠)는 조선의 제9대 왕 성종의 부마(駙馬)였던 영평위(鈴平尉) 윤섭(尹燮)[1492~1516]과 제19대 왕 숙종 때 우의정을 지낸 충정공(忠正公) 윤지완(尹趾完)[1635~1718]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윤섭은 본관이 파평(坡平)이며 자는 화숙(和淑)이다.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낸 윤승유(尹承柳) 아들로 1503년(연산군 3) 성종의 딸인 정숙옹주(靜淑翁主)와 혼인하여 영평위에 봉해졌다. 이후 중종 때 공신이 되어 정덕대부(靖德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윤지완은 윤섭의 5세손으로 자는 숙린(淑麟), 호는 동산(東山)이다. 판서를 역임한 윤강(尹絳)의 아들이자 어머니는 정광성(鄭廣成)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문과에 급제하여 경상도관찰사, 병조판서, 우의정 등을 지냈다.
영평사는 경기도 시흥시 산현동 산53에 있다.
윤섭의 사당은 시흥시 산현동에 있었고 윤지완의 사당은 안산시 원곡동 동산골에 있었으나, 모두 일제강점기 때 소실되고 노후하여 제사를 지내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1987년 후손들이 지금의 자리에 사당을 신축하고 윤섭의 위패를 모시면서 ‘영평위 사당’이라고 부르다가 이후 윤지완의 위패를 함께 모시면서 ‘숭모각(崇慕閣)’으로 개칭하였으나, 현재는 다시 ‘영평사’로 부르고 있다.
영평사는 길이 6.2m, 폭 3.9m의 전면 2칸으로 이루어져 있다.
영평사는 파평 윤씨(坡平尹氏) 윤섭과 윤지완의 후손들이 관리하고 있다.
1987년에 신축한 사당으로 조상을 모시는 후손의 마음을 엿볼 수 있으며 시흥 지역의 유교 유적으로서 의미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