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시흥시 무지내동에 있는 실업계 사립 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 근검, 창의'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민주 시민으로서 부끄럼 없는 성실한 인간의 양성, 둘째 항상 새로움을 추구하고 다가오는 정보화 시대에 적응하는 창의적 인간의 양성, 셋째 자기 발전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며 근면하고 검소한 인간의 양성이다. 1920년 경기도 부천군...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자동차 부품 연구 기관. 한국자동차연구원 제조기술연구센터는 자동차 부품 산업의 육성을 위해 친환경 자동차의 부품 개발 및 시험, 인증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주조 및 금형 기술 등 제조 기술을 연구하고 제품의 시험, 성능 평가, 품질 분석, 역설계[reverse engineering], 시제품 제작 등을 통하여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
경기도 시흥시에 묘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룡(子龍), 호는 기재(寄齋)·오창(梧窓)·봉주(鳳洲).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좌랑 박조년(朴兆年), 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 박소(朴紹), 아버지는 사헌부대사헌 박응복(朴應福), 어머니는 선산 임씨(善山林氏) 임구령(林九齡)의 딸이다. 처는 여흥 민씨(驪興閔氏)로 승정원승지 민선(...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장례를 치른 후 무당을 불러서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천도굿. 자리걷이를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망자(亡者)가 죽을 때 깔고 있던 자리를 걷어낸다는 뜻이다. 옛날 장판이 없을 때는 돗자리를 방에 깔아 놓고 생활하였다. 환자가 투병 생활을 하면서 그곳에 누워 있다가 죽으면 장례를 치른 직후 그 자리를 걷어내고 망자의 넋이 천상에 이르도록...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주민 자활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협동조합. 작은자리지역자활센터는 일자리 창출과 자활을 위해 시흥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사회적 협동조합이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생활협동조합[생협]보다 조합원과 지역 주민의 사회복지 및 건강권 증진, 나아가 지역사회의 일자리 및 의료 복지 실현을 목표로 두고 있다. 작은자리지역자활...
-
경기도 시흥시 인근 해역 일대에서 행해지던 어로 방법 또는 어구. 유자망(流刺網)은 시흥 해역을 비롯해 우리나라 연근해 및 세계 해양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어구이다. 어군이 이동하는 길목이나 어군이 조성되어 있는 수역에 그물을 수직 방향으로 펼쳐서 물고기가 그물코에 걸리게 하여 잡는 어로 방식이다. 그물을 일정 장소에 고정하지 않고 조류에 따라 흘러가도록 하...
-
경기도 시흥시에 묘와 정려문이 있는 조선 후기의 충신. 권이길(權頤吉)[1588~1627]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순(子順). 아버지는 여산부사 권곤(權鵾)이고, 처는 예천 임씨(醴泉林氏)이다. 권이길의 자세한 활동 사항은 알 수 없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평양판관(平壤判官)으로서 황해도 순안에 침략한 적군을 삭주부사 이...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자연 마을. 계란마을은 소래산 남쪽 하연(河演) 선생 묘 아래 진양 하씨(晋陽河氏)[진주 하씨(晉州河氏)]들이 세거지를 이루면서 조성된 마을이다. 6.25전쟁 후에는 피란민들이 들어와 정착하였으나, 지금은 원주민들과 정착민들의 일부만 남아 있다. 소래산 남쪽 자락에 조선시대 영의정을 지낸 하연 선생 묘가 있다. 전하는 이...
-
경기도 시흥시에서 자연의 예기치 않은 변동에 의해 일어나는 피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자연재해 가운데 가장 큰 피해를 유발한 것은 여름철의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이고 이어 가뭄과 태풍 등이 있다. 경기도 시흥시는 한반도의 중부 지방에서 서해에 접하고 있지만 큰 하천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집중호우에 따른 홍수의 피해는 크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시흥시는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가...
-
경기도 시흥시의 위치, 지형, 지질, 토양, 기후 등의 자연적 조건. 자연지리는 지표상에서 펼쳐지는 자연현상을 가리키는 것으로, 주민들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리적 특성에 비추어 지형·지질·토양·기후 등 여러 요소를 포함한다. 자연지리는 자연현상에 기초하므로 인간들 삶의 터전이 되는 각 장소의 자연적 특성을 주요 관심사로 다룬다. 시흥시에 사는 사람들은 시흥시...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주민 자활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협동조합. 작은자리지역자활센터는 일자리 창출과 자활을 위해 시흥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사회적 협동조합이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생활협동조합[생협]보다 조합원과 지역 주민의 사회복지 및 건강권 증진, 나아가 지역사회의 일자리 및 의료 복지 실현을 목표로 두고 있다. 작은자리지역자활...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주민 자활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협동조합. 작은자리지역자활센터는 일자리 창출과 자활을 위해 시흥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사회적 협동조합이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생활협동조합[생협]보다 조합원과 지역 주민의 사회복지 및 건강권 증진, 나아가 지역사회의 일자리 및 의료 복지 실현을 목표로 두고 있다. 작은자리지역자활...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주민 자활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협동조합. 작은자리지역자활센터는 일자리 창출과 자활을 위해 시흥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사회적 협동조합이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생활협동조합[생협]보다 조합원과 지역 주민의 사회복지 및 건강권 증진, 나아가 지역사회의 일자리 및 의료 복지 실현을 목표로 두고 있다. 작은자리지역자활...
-
경기도 시흥시의 주민운동, 문화 운동, 복지 운동의 중심이 되었던 공간. 복음자리마을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등의 판자촌 철거민 170가구가 집단 이주해 자리 잡은 터전이었고, 한독마을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등 8개 지역 철거민 164가구가 옮겨 온 곳이었다. 목화마을은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철거민 105가구가 이주한 마을이었다. 마을이 3개로 확...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공동체 지역 복지 활동을 펼치는 기관. 작은자리종합사회복지관은 사회복지사업법의 규정에 근거하여 모든 지역 주민들이 인간다운 삶의 질을 보장받고 복지 사회 건설에 기여하고자 설립된 기관이다. 저소득층의 지역 주민들과 함께 하면서 지역 발전을 이루는데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 공동체 지역 복지 운동 차원에서 그리스도의 복음 정신에 따라...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주민 자활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협동조합. 작은자리지역자활센터는 일자리 창출과 자활을 위해 시흥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사회적 협동조합이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생활협동조합[생협]보다 조합원과 지역 주민의 사회복지 및 건강권 증진, 나아가 지역사회의 일자리 및 의료 복지 실현을 목표로 두고 있다. 작은자리지역자활...
-
관곡지(官谷池)는 조선시대부터 시흥 지역에 세거한 안동 권씨(安東權氏)와 관련이 깊은 곳이다. 조선 제7대 왕 세조 때 사숙재(私淑齋) 강희맹(姜希孟)[1424~1483]이 중국 명나라 난징[南京]에서 가져온 연꽃을 심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를 계기로 조선시대 시흥 지역이었던 안산군의 별호(別號)를 ‘연성(蓮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관곡지는 강희맹의 딸과 연...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잔칫날에 일어날 수 있는 액을 막기 위해 하는 주술 행위. 액막이(厄-)는 어떤 일을 하기 전에 액을 막기 위해 행하는 비방(祕方) 혹은 주술 행위라고 볼 수 있다. 호사다마(好事多魔)라는 말이 있듯이 어떤 좋은 일에도 나쁜 일이 생기거나 불행이 찾아올 수 있다. 그래서 액을 물리고 좋은 일만 찾아오기를 기원하는 뜻에서 액막이를 한다. 혼례는 인륜지...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 일원에서 매년 10월경에 열리는 축제. 장곡 노루마루 축제는 시흥시 장곡동에서 학생들과 마을 주민들이 함께 매년 개최하는 마을 축제로 장곡동주민센터가 후원하고 지역의 5개 초등·중등·고등 학교가 참여하고 있다. 시흥시 장현지구 보금자리 사업으로 장곡동 노루우물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2014년 7월부터 주민들은 노루우물 보전대책위원회를 구...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장곡고등학교의 교훈은 '근면, 성실, 창의'이며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민주 시민으로서 세계로 웅비하는 인재 육성이다. 2000년 1월 총 8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3월에 개교하였다. 2018년 2월 제16회 졸업생 333명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총 4,08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장곡...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장곡고등학교의 교훈은 '근면, 성실, 창의'이며 교육 목표는 더불어 살아가는 창의적인 민주 시민으로서 세계로 웅비하는 인재 육성이다. 2000년 1월 총 8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3월에 개교하였다. 2018년 2월 제16회 졸업생 333명을 포함하여 현재까지 총 4,08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장곡...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장곡도서관에서는 주민들에게 양질의 독서 문화 서비스 제공과 다양한 문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미술로 심리적 안정과 치유를 제공하는 미술 심리 치료 아트 테라피, 자기 이해와 의사소통을 위한 부모 교육 프로그램, 유아들이 음식에 대해 친숙히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동화 속 요리 교...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장곡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부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따로 관할하는 법정동은 없다. 장곡동은 조선시대의 지명이었던 장하리(長下里)에서 ‘장'을 응곡리(鷹谷里)에서 ‘곡'을 따서 장곡리라 명명하였다. 장곡동은 조선시대 안산군 마유면의 장하리, 도촌리, 응곡리였다. 1912년 2월 5일 조선총독부...
-
경기도 시흥 지역 주민들이 장곡동에 있는 노루우물을 지키기 위해 벌인 운동. 시흥시 장현지구 보금자리 사업으로 장곡동 노루우물이 사라질 위기에 처하였다. 2013년 장현지구 사업 설명회 당시 노루우물 보존을 약속했던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경제성 등을 이유로 약속을 번복하자 주민들이 맞섰다. 2014년 7월부터 주민들은 노루우물 보전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학술 대회, 어...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천주교회. 장곡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2004년 군자성당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주보 성인(主保聖人)은 성 마태오 복음 사가(福音史家)이며 매년 9월 21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장곡성당은 선교, 전례, 봉사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신앙 공동체를 이루고 그...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장곡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부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따로 관할하는 법정동은 없다. 장곡동은 조선시대의 지명이었던 장하리(長下里)에서 ‘장'을 응곡리(鷹谷里)에서 ‘곡'을 따서 장곡리라 명명하였다. 장곡동은 조선시대 안산군 마유면의 장하리, 도촌리, 응곡리였다. 1912년 2월 5일 조선총독부...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 소속 천주교회. 장곡성당은 천주교 수원교구 안산대리구에 소속된 성당으로 2004년 군자성당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주보 성인(主保聖人)은 성 마태오 복음 사가(福音史家)이며 매년 9월 21일을 본당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장곡성당은 선교, 전례, 봉사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신앙 공동체를 이루고 그...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장곡중학교의 교훈은 ‘경애와 창의’이다. 교육 목표는 원칙을 지키고 기본에 충실한 사람,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 몸과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 나를 아끼고 남을 배려하는 사람, 공동체 속에서 참여하고 소통하는 사람을 양성하는 데 있다. 장곡중학교는 1999년 6월 1일 설립 인가 후 32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장곡중학교의 교훈은 ‘경애와 창의’이다. 교육 목표는 원칙을 지키고 기본에 충실한 사람,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 몸과 마음이 아름다운 사람, 나를 아끼고 남을 배려하는 사람, 공동체 속에서 참여하고 소통하는 사람을 양성하는 데 있다. 장곡중학교는 1999년 6월 1일 설립 인가 후 32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장곡초등학교의 교훈은 ‘실력, 끈기, 예절’이다. 교육 목표는 즐거운 마음으로 공부하는 어린이, 함께 생각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 다름을 존중하는 세계 속의 어린이 육성이다. 장곡초등학교는 1949년 5월 31일 3학급의 군자국민학교 장곡 분교로 개교한 이후,...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장곡초등학교의 교훈은 ‘실력, 끈기, 예절’이다. 교육 목표는 즐거운 마음으로 공부하는 어린이, 함께 생각하고 스스로 실천하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따뜻한 어린이, 다름을 존중하는 세계 속의 어린이 육성이다. 장곡초등학교는 1949년 5월 31일 3학급의 군자국민학교 장곡 분교로 개교한 이후,...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의 소래산 중턱에 있는 바위. 병풍바위는 소래산 중턱의 내원사 터 근처에 있는 바위이다. 병풍바위의 암벽에는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보물 제1324호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 입상(始興蘇萊山磨崖菩薩立像)이 조각되어 있다. 병풍바위의 명칭은 바위 가까이에서 보면 깎은 듯이 반듯한 바위가 수직에 가깝게 서 있는 모습이 마치 병풍을 세...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칼뱅의 장로주의에서 비롯된 개신교의 한 교파. 장로교란 장로들에 의해 치리(治理)되는 기독교[개신교] 교회를 뜻한다. 이때 장로란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감독[Bishop], 장로[Elder] 등을 말한다. 프랑스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인 장 칼뱅(Jean Calvin)이 창시하였다. 16세기 중반에 이르러 장로회 제도가...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칼뱅의 장로주의에서 비롯된 개신교의 한 교파. 장로교란 장로들에 의해 치리(治理)되는 기독교[개신교] 교회를 뜻한다. 이때 장로란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감독[Bishop], 장로[Elder] 등을 말한다. 프랑스의 종교 개혁가이자 신학자인 장 칼뱅(Jean Calvin)이 창시하였다. 16세기 중반에 이르러 장로회 제도가...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주고, 빌려준 곡식의 절반 이상을 한 해 이자로 받는 것. 장리쌀은 흉년 또는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주고 풍년이나 추수기에 돌려받는 조선시대 구휼(救恤) 제도인 환곡(還穀)에서 비롯되었다. 환곡이 처음에는 곤궁한 농민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였으나, 곡식을 갚을 때 이자를 붙이기 시작하다가 부패한 관리들이 빌려준 곡식의 절반...
-
경기도 시흥시에서 여러 가지 상품을 거래도 하고 매매하기도 하는 장소. 서울과 가까운 입지적 조건으로 인해 시흥 지역의 시장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발달하였다. 역사적으로 볼 때 조선 후기에는 방축(防築)시장, 산대(山垈)시장, 수암(秀岩)시장이 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영등포시(市)·잠실리시·군포장시(場市)·삼거리시·사천시(蛇川市)가 개설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
경기도 시흥시에서 여러 가지 상품을 거래도 하고 매매하기도 하는 장소. 서울과 가까운 입지적 조건으로 인해 시흥 지역의 시장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발달하였다. 역사적으로 볼 때 조선 후기에는 방축(防築)시장, 산대(山垈)시장, 수암(秀岩)시장이 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영등포시(市)·잠실리시·군포장시(場市)·삼거리시·사천시(蛇川市)가 개설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장선징 묘. 장선징(張善澂)[1614~1678]의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정지(淨之), 호는 두곡(杜谷)이다. 아버지는 우의정 장유(張維), 어머니는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딸이다. 효종 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오빠이다. 문음(門蔭)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인조 때 김화현감, 효종 때 공조정랑(工曹正郞)·배천군...
-
경기도 시흥 지역이 속해 있는 옛 군자면 구 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장순한(張淳翰)[1900~1981]은 1919년 4월 7일 군자면 구 장터 만세운동을 모의하다가 일제로부터 피체(被逮)되어 옥고를 치렀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본관은 덕수(德水), 초명은 수산(壽山)·순한(淳翰), 자는 중옥(重玉), 호는 매암(梅巖). 신풍부...
-
경기도 시흥 지역에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또는 절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과 문화. 장승은 전국적으로 분포된 마을 공동체의 신앙 대상물로 나무 기둥이나 돌기둥에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 오방신장(五方神將) 등 명문(銘文)을 쓰고 길가에 세우는 신상(神像)이다. 솟대는 장대나 석조물을 단독으로 혹은 장승과 함께 마을 입구나 출구...
-
경기도 시흥 지역에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또는 절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과 문화. 장승은 전국적으로 분포된 마을 공동체의 신앙 대상물로 나무 기둥이나 돌기둥에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 오방신장(五方神將) 등 명문(銘文)을 쓰고 길가에 세우는 신상(神像)이다. 솟대는 장대나 석조물을 단독으로 혹은 장승과 함께 마을 입구나 출구...
-
경기도 시흥시에서 여러 가지 상품을 거래도 하고 매매하기도 하는 장소. 서울과 가까운 입지적 조건으로 인해 시흥 지역의 시장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발달하였다. 역사적으로 볼 때 조선 후기에는 방축(防築)시장, 산대(山垈)시장, 수암(秀岩)시장이 있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영등포시(市)·잠실리시·군포장시(場市)·삼거리시·사천시(蛇川市)가 개설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서 출생하고 묘가 있는 조선 후기 자선가. 본관은 신안(新安), 자는 장옥(章玉). 주희(朱熹)의 29세손이며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주의동(朱宜東)의 1남이다. 주석범(朱錫範)[1815~1880]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 중림에서 세거하면서 관내 가난한 마을 주민들에게 많은 선행을 베풀었다. 그의 선행...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장운익의 신도비. 장운익 신도비(張雲翼神道碑)는 시흥시 향토유적 제2호인 장유(張維) 선생 묘 및 신도비 뒤쪽에 있다. 원래 장운익(1561~1599)의 묘소와 신도비는 서울특별시 성동구 방배동[지금의 서초구 방배동]에 있었는데, 1960년 도시 개발로 묘를 잃게 되고 신도비만 있던 것을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조남리...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서 활동한 조선시대의 문신. 장유(張維)[1587~1638]는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으로 파직되어 안산군[지금의 시흥시 장곡동 안골]에 내려와 12년을 살았고 말년을 보냈다. 인조반정으로 등용되어 우의정을 역임하였다. 조선 문학의 사대가(四大家)이며 주자학 중심의 학문적 풍토를 비판하고 양명학에도 조예가 깊었...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장유의 묘와 신도비. 장유(張維)[1587~1638]의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지국(持國), 호는 계곡(谿谷)·묵소(默所)이다. 아버지는 형조판서 장운익(張雲翼)이며, 어머니는 판윤(判尹) 박숭원(朴崇元)의 딸이다.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의 사위이고, 효종의 비(妃)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아버지이다. 김장생(金...
-
경기도 시흥시에서 하는 공놀이 경기의 일종. 얼레공놀이는 넓은 마당이나 들판에서 양편으로 나눈 다음, 나무채를 이용해서 상대편 골문에 공을 넣는 놀이다. 얼레공놀이는 지상에서 도보로 행했던 격구(擊毬)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는 놀이라고 하며 '장치기'나 '공놀이'라고도 불린다. 유사한 용어로는 타구(打毬), 봉희(棒戲) 등이 있다. 공은 주로 나무를...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장현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연성동에서 관할한다. 장현동의 옛 이름은 장현리로 안산군 마유면 장상리(長上里)의 ‘장’과 조현리(鳥峴里)의 ‘현’을 따서 장현리라 했다. 조현리란 지명은 새재를 말하는데, 조선 후기에 마을을 상징하는 의미로 쓰이던 이름이다. 새재는 예전에 마을에 새가 많아서 얻은...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장현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연성동에서 관할한다. 장현동의 옛 이름은 장현리로 안산군 마유면 장상리(長上里)의 ‘장’과 조현리(鳥峴里)의 ‘현’을 따서 장현리라 했다. 조현리란 지명은 새재를 말하는데, 조선 후기에 마을을 상징하는 의미로 쓰이던 이름이다. 새재는 예전에 마을에 새가 많아서 얻은...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서 발원하여 장현동을 지나 서해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 장현천(長峴川)은 경기도 안산시와 경계를 이루는 시흥시 군자동의 군자봉 산록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시흥시 장곡동에서 보통천을 합류하여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 하천이다. 장현천 명칭은 하천이 흐르는 장현동의 마을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장현동은 1914년 일제에 의해 단...
-
경기도 시흥시 장현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시흥장현초등학교의 교훈은 ‘남을 먼저 생각하는 어린이’이다. 교육 목표는 자율성과 책무성을 실천하는 사람[자주인], 창의성과 유연성을 실천하는 사람[창의인], 도덕성과 소통을 실천하는 사람[도덕적 소통인], 문화를 예술적 향유로 즐기는 사람[문화 예술인], 건강하게 몸과 마음의 균형을 유지·실천하는 사람[건강인] 등...
-
경기도 시흥시 시화호와 그 일대에서 서식하는 두루밋과에 속하는 대형 조류. 재두루미는 천연기념물 제203호로 1968년 5월 30일 지정되었다. 학명은 Grus vipio PALLAS.이다. 재두루미의 몸길이는 120~127㎝, 편 날개의 길이는 1.8m 정도이며 무게는 5.1~6㎏이다. 이마에서 눈 주위는 붉으며 귀깃 부분은 녹갈색이고, 머리 꼭대...
-
경기도 시흥시가 행정 활동이나 공공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자금을 만들어 관리하고 이용하는 경제 활동. 시흥시는 원활한 행정 운영을 위해 연도별로 예산을 기획하고 재정 계획 및 기금 운용 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결산 후에는 주민들에게 재정을 공시한다. 2009년 군자 배곧 신도시를 개발하면서 지방채 3000억 원을 발행하였으나 2016년 4월 29일 지...
-
경기도 시흥시에 서식하는 매목 수릿과의 철새. 잿빛개구리매는 봄·가을에 드물게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로 때로는 겨울을 우리나라에서 지내기도 한다. 경기도 시흥시의 시흥갯골생태공원과 시화호 등지에서 발견된다. 다른 매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흔하지만, 매류는 국제적으로 각종 협약을 마련하여 보호할 정도로 희귀한 새이자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새이다. 환경부 멸...
-
경기도 시흥시 갯골에 서식하는 양서류. 맹꽁이의 학명은 Kaloula borealis로 ‘쟁기발개구리'라고도 한다. 시흥시를 포함한 경기도와 서울특별시, 경상남도 등지와 중국 북동부 지방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5월 31일 멸종 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2017년 시흥갯골생태공원에서 맹꽁이 올챙이 수백 마리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맹꽁...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주민 자활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회적 협동조합. 작은자리지역자활센터는 일자리 창출과 자활을 위해 시흥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설립한 사회적 협동조합이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생활협동조합[생협]보다 조합원과 지역 주민의 사회복지 및 건강권 증진, 나아가 지역사회의 일자리 및 의료 복지 실현을 목표로 두고 있다. 작은자리지역자활...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농어촌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인공 저수 시설. 저수지는 하천에서 충분한 물을 확보할 수 없을 때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물의 양을 조절하는 인공 시설물이다. 주로 농어촌 용수를 확보할 목적으로 하천, 하천 구역 또는 연안 구역 등에 물을 가두어 두거나 관리하는데, 최근에는 낚시터나 생태 보호지로서의 가치도 높아지고 있다. 시흥시에는 다른 도...
-
경기도 시흥시에 서식하고 있는 저어샛과의 조류. 저어새는 노랑부리저어새와 같이 부리가 긴 주걱과 같이 생긴 특이한 모양이다. 눈 아래 검은색 피부가 넓게 노출되어 부리와 눈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저어새는 몸길이가 60~78㎝이며 부리가 검고 표면에 주름이 져 있다. 나이를 먹을수록 주름의 수가 많아지므로 부리를 보고 저어새의 나이를 판단할 수...
-
경기도 시흥시에서 전기 혹은 전자와 관련된 기계 및 부품 소재를 생산하는 산업 전기 전자업은 전기를 다루는 전기업과 전자의 특성을 활용하는 전자업으로 구성된다. 전기업은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에 속하는 전기업과 제조업의 세부 업종인 전기 장비 제조업 등을 포함한다. 전자업은 주로 제조업의 세부 업종인 전자 부품, 컴퓨터...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조선 세조 때 조성된 연못. 관곡지(官谷池)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연못으로 조선 세조 때 강희맹(姜希孟)이 명나라 난징[남경(南京)]에서 가져온 연꽃을 심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를 계기로 조선시대 시흥 지역이었던 안산군의 별호를 ‘연성(蓮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시흥시 하중동은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안산군 초산면...
-
현재의 경기도 시흥시 일부 지역을 관할하였던 조선시대 행정구역. 전반면은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 매화동, 안현동, 금이동, 도창동 등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조선 후기 영조 때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 「인천도호부 방리조(坊里條)」에 “인천도호부는 부내면, 조동면, 신현면, 전반면, 황등천면, 남촌면, 원우이면, 다소면, 주안면, 이포면의 10개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
경기도 시흥시에서 1900년대 건립되어 현재까지 보존되었거나 폐쇄 혹은 철거된 가옥. 2000년대 초반까지의 보고에 의하면 시흥시에는 여덟 채의 전통 가옥이 조사되었다. 이들 가옥은 당시 시흥에 존재했던 전통 가옥들에 비해 건립 시기, 가옥의 형태와 구조 등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평가를 받은 가옥으로 그중 일부는 경기도 인정 종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시흥시의...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전통 연희 단체. 전통연희단 꼭두쇠는 왁자지껄한 시장에서 사람들의 흥을 돋우고 눈길을 사로잡으며 삶의 고단함을 덜어 주었던 우리네 한마당, 전통 연희를 전문적으로 공연하는 단체이다. 국내는 물론 세계 곳곳에서 전통 연희 공연을 선보이고 있다. 전통연희단 꼭두쇠는 선조들의 선율을 중심으로 전통 연희의 올바른 전승과 새로운...
-
경기도 시흥 지역에 있었던 과거 사찰의 흔적이나 사찰의 터. 절터는 폐사지(廢寺址)라고도 이르며 과거에 운영되던 사찰이 있었으나 현재는 명맥이 끊겨 흔적만 남은 터를 뜻한다. 일반적으로 과거 문헌에 기재된 사찰의 명칭이나 절터에서 발견되는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시대적 연혁과 실제 명칭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의 경기도 시흥 지역으로 판단되...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과 안현동에 걸쳐 있는 산. 양지산은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있는 높이 150.9m의 야산으로 산 정상에는 양지정이란 정자와 그 앞에 색바랜 표지판과 이정표가 있다. 구역 면적은 380㏊로 시흥시 과림동과 안현동의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안현동 양지편마을과 무지내동에 걸쳐 있다. 양지산은 크고 높은 산은 아니지만 인적이 드물고 다...
-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정근의 부인 창원 황씨 무덤. 정근 처 창원 황씨(鄭謹妻昌原黄氏)[1576~1635] 묘(墓)는 정몽주(鄭夢周)의 5대손 정광윤(鄭光胤) 묘와 시아주버니 정열(鄭說) 묘 아래쪽 서편에 있다. 창원 황씨는 승문원박사(承文院博士) 정근(鄭謹)의 두 번째 부인이다. 아버지는 전라도관찰사 황치경(黃致敬)이고, 어머니는 성...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사방이 트인 형태로 지은 누각이나 정자. 누정(樓亭)은 누대(樓臺), 정사(亭榭)라고도 하며 종류로는 누(樓), 정(亭), 당(堂), 대(臺), 사(榭)로 나뉜다. 누각은 사방을 볼 수 있도록 벽이나 문을 두지 않고 높이 지은 큰 집을 뜻하고, 정자는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는 간소한 형태의 건물이며, 누대는 흙이나 돌로 높이 쌓아 올려 만든 건...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숭조의 묘. 정숭조(鄭崇祖)[1442~1503]의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효숙(孝叔), 호는 삼성재(三省齋)·우련(友蓮)이다. 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문성공(文成公) 정인지(鄭麟趾)이다. 1458년(세조 4) 음보(蔭補)[조상의 덕으로 얻은 벼슬]로 통례문봉례랑(通禮門奉禮郎)이 되고, 그 뒤 이조참판·공조참판...
-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선비 정열의 묘. 정열(鄭說)[1564~1594]은 선조 대의 인물로 자는 학이(學而)이다. 부인은 단양군수 기의(奇薿)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천성이 맑고 부모에 효도하며 형제간의 우애가 깊었으나 일찍 죽었다. 양명학자 정제두(鄭齊斗)의 종증조(從曾祖)가 된다. 묘는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 산90-4에 있다. 정몽주(鄭夢...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정왕고등학교의 교훈은 '진취, 창의, 성실'이며 교육 목표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1998년 1월 6개 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3월에 개교하였다. 2014년에는 방과 후 학교 창의적 교육 활동 우수 학교 교육감상, 학생 정서 행동 특성 관리 우수 학교 교육감상, 큰 그림 그리기 우수 학교 교육감상,...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정왕고등학교의 교훈은 '진취, 창의, 성실'이며 교육 목표는 실력과 인성을 갖춘 인재 육성이다. 1998년 1월 6개 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3월에 개교하였다. 2014년에는 방과 후 학교 창의적 교육 활동 우수 학교 교육감상, 학생 정서 행동 특성 관리 우수 학교 교육감상, 큰 그림 그리기 우수 학교 교육감상,...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여러 가지 체육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공원. 정왕동체육공원은 안산선과 평택시흥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체육공원으로 야구장, 축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 다양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시흥 시민의 여가 선용과 체육 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1998년 조성되었으며 2018년 8월 현재 시흥시시설관리공단이 관리하고 있다....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을 잇는 도로. 정왕대로는 시흥시 정왕동 옥구고가삼거리를 기점으로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 신길고가사거리를 종점으로 하는 도로이다. 시흥시 구간은 정왕동 시화국가산업단지의 택지 지역을 가로로 지난다. 정왕대로는 시흥시 정왕동을 지나고 있어 도로명이 부여되었다. 정왕동은 마을에 있는 산에 봉화대가 있었는데...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정왕동은 정왕산 인근에 민가가 형성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정왕산이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조선 영조 때 편찬한 『여지도서』이다. 이 지도의 「안산군」 산천조(山川條)에는 “正往山在郡西三十里 熢燧在此(정왕산재군서삼십리 봉수재차)”라 하여 정왕산이 안산군 읍치(邑治)에서 서쪽으로 30리[약 11.8㎞]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봉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정왕동 고인돌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서 발견된 고인돌이다. 시화국가산업단지 개발로 인해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지 않다. 발견된 경위와 조사 기록이 소략하게 남아 형태만 간략하게 알 수 있을 뿐이다. 시흥시 정왕동 산119-5 일대의 시화국가산업단지 북쪽 끝에 있는 작고 낮은 구릉의 동남 사면에서 발견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야구장. 정왕야구장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156 정왕동체육공원 내에 있는 야구장이다. 정왕야구장은 시흥 시민의 체육 활동 증진을 위하여 한국수자원공사가 건립비를 부담하여 1999년에 건립되었다. 1999년 지금의 부지에 최초 건립되었다. 2016년 노후 인조 잔디를 교체하였고, 전광판 설치 등 리모델링 공사를 마친 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정왕동 고인돌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서 발견된 고인돌이다. 시화국가산업단지 개발로 인해 유적과 유물이 남아 있지 않다. 발견된 경위와 조사 기록이 소략하게 남아 형태만 간략하게 알 수 있을 뿐이다. 시흥시 정왕동 산119-5 일대의 시화국가산업단지 북쪽 끝에 있는 작고 낮은 구릉의 동남 사면에서 발견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여러 가지 체육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공원. 정왕동체육공원은 안산선과 평택시흥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체육공원으로 야구장, 축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 다양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시흥 시민의 여가 선용과 체육 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1998년 조성되었으며 2018년 8월 현재 시흥시시설관리공단이 관리하고 있다....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여러 가지 체육 시설을 갖추어 놓은 공원. 정왕동체육공원은 안산선과 평택시흥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체육공원으로 야구장, 축구장, 인라인스케이트장 등 다양한 체육 시설을 갖추고 있다. 시흥 시민의 여가 선용과 체육 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1998년 조성되었으며 2018년 8월 현재 시흥시시설관리공단이 관리하고 있다....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야구장. 정왕야구장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156 정왕동체육공원 내에 있는 야구장이다. 정왕야구장은 시흥 시민의 체육 활동 증진을 위하여 한국수자원공사가 건립비를 부담하여 1999년에 건립되었다. 1999년 지금의 부지에 최초 건립되었다. 2016년 노후 인조 잔디를 교체하였고, 전광판 설치 등 리모델링 공사를 마친 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전통 시장. 정왕시장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비교적 역사가 짧은 시장이다. 정왕시장 인근에는 시흥시건강가정·다문화지원센터가 있고, 외국인이 거주하는 원룸 촌이 많이 형성되어 있다. 조선시대 장시(場市)[보통 5일마다 열리던 사설 시장]는 보부상이라는 행상이 있어서 농산물, 수공업 제품, 수산물, 약재 따위를 유통시켰으므로 운...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을 잇는 도로. 정왕신길로는 국도77호선[서해안로]과 만나는 시흥시 정왕동 서해고교삼거리를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신길동에 이르러 중앙대로와 만나는 지점을 종점으로 하는 총연장 4.8㎞의 도로이다. 시흥시 구간은 정왕동을 지나며 정왕동체육공원을 지나 외곽2교에 이르는 구간이다. 시흥시 정...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야구장. 정왕야구장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2156 정왕동체육공원 내에 있는 야구장이다. 정왕야구장은 시흥 시민의 체육 활동 증진을 위하여 한국수자원공사가 건립비를 부담하여 1999년에 건립되었다. 1999년 지금의 부지에 최초 건립되었다. 2016년 노후 인조 잔디를 교체하였고, 전광판 설치 등 리모델링 공사를 마친 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시립 어린이 도서관. 정왕어린이도서관은 특별히 지역 어린이들을 위한 지식 정보 제공과 다양한 독서 흥미 증진 프로그램으로 문화 경험 향상에 기여하며, 일반 시민들을 위해서도 정보 문화와 커뮤니티 중심 센터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정왕어린이도서관은 2009년 11월 23일에 개관하였다. 이 도서관은 본래 경기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안산선의 정차역. 정왕역은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일부인 안산선의 정차역이다. 현재 정왕역 자리에는 지금은 폐선된 수인선 협궤철도의 군자역이 있었다. 군자역은 당시 군자염전 부근 피양촌[平安村]에 있던 역으로, 1937년 수인선 개통과 함께 정차장과 역사(驛舍)가 함께 영업을 개시하였다. 군자역은 수인선 협궤철도의 정차역으로 기능하다...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주민들을 위한 종합 사회복지 시설. 정왕종합사회복지관은 존중, 조화, 연대의 정신을 바탕으로 주민의 힘으로 살맛 나는 지역사회 만들기을 지향하고 있으며 2000년부터 정왕 지역 신도시 건설에 따른 지역사회 문제를 예방하고 주민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시흥시 정왕동 주민의 여러 가지 고충을 함께 나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정왕중학교의 교훈은 ‘성실’이다.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참된 학력을 갖춘 행복한 정왕인 육성’이라는 지표 아래 지성인, 건강인, 도덕인, 창의인, 자주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정왕중학교는 1996년 1월 13일 24개 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8년 1월 졸업한 제22회 졸...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정왕중학교의 교훈은 ‘성실’이다. 교육 목표는 ‘바른 인성과 참된 학력을 갖춘 행복한 정왕인 육성’이라는 지표 아래 지성인, 건강인, 도덕인, 창의인, 자주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정왕중학교는 1996년 1월 13일 24개 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1일에 개교하였다. 2018년 1월 졸업한 제22회 졸...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의 시화국가산업단지를 가로지르는 소하천. 정왕천(正往川)은 시흥시 정왕동에서 시작하여 시화국가산업단지를 지나 시화호로 흘러 들어간다. 본래부터 하천의 물길이 있었던 것은 아니고 시화국가산업단지를 건설하면서 빗물이 흐르는 배수로의 성격을 지니도록 조성한 인공 하천이다. 유로는 시가지의 도로망과 평행한 직선 형태이다. 정왕1교 사거리부터 하천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정왕초등학교의 교훈은 ‘새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정왕 어린이’이다.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움의 기쁨을 찾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문화적 소양을 지닌 꿈 많은 어린이 육성이다. 정왕초등학교는 1996년 1월 13일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 6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정왕초등학교의 교훈은 ‘새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하는 정왕 어린이’이다. 교육 목표는 스스로 배움의 기쁨을 찾는 어린이,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 문화적 소양을 지닌 꿈 많은 어린이 육성이다. 정왕초등학교는 1996년 1월 13일 설립 인가를 받아 같은 해 3월 1일 6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
-
경기도 시흥시에서 빈민을 위한 복음자리 운동을 주도한 사회 운동가이자 신부. 정일우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가톨릭 신부로 원래 이름은 존 빈센트 데일리(John Vincent Daly)이고, 세례명은 사도 요한이다. '빈민 사목의 대부'로 알려졌으며, 40년 가까이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예수회 신부이자 빈민 운동가이다. 정일우는 미국 일리노이주 출신으로...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사방이 트인 형태로 지은 누각이나 정자. 누정(樓亭)은 누대(樓臺), 정사(亭榭)라고도 하며 종류로는 누(樓), 정(亭), 당(堂), 대(臺), 사(榭)로 나뉜다. 누각은 사방을 볼 수 있도록 벽이나 문을 두지 않고 높이 지은 큰 집을 뜻하고, 정자는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는 간소한 형태의 건물이며, 누대는 흙이나 돌로 높이 쌓아 올려 만든 건...
-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 가래울마을에 거주했던 조선 전기 문신이자 한국 양명학의 대종사. 정제두(鄭齊斗)[1646~1736]는 학자로서 평생 학문을 연구하며 살았다. 잠시 평택현감과 회양도호부사로 부임하고 영조의 총애를 받아 이조참판, 대사헌, 세자시강원찬선(世子侍講院贊善), 성균관좨주(成均館祭酒) 등의 요직에 기용되었지만 지속적으로 사퇴를 청하였다....
-
경기도 시흥 지역의 정치적 지향과 경향 또는 지역에서 정치 권력을 획득하거나 유지하면서 권력을 행사하기 위한 활동. 정치란 포괄적인 의미에서 국가를 다스리는 일 또는 국가 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행사하기 위한 투쟁이나 조정 등의 현상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정치는 19세기 후반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집권을 경계로 전통 시대 왕조 체제 중심의 정치와 문호 개방에 따른 외세...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과 과림동을 거쳐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광명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는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을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48㎞의 고속도로로 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광명시·안양시·과천시·의왕시·성남시를 지난다. 시흥시는 신천동, 방산동, 은행동, 안현동, 과림동을 지난다. 제2경인고속...
-
경기도 시흥시 죽율동과 월곶동을 거쳐 경기도 안산시에 연결되는 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중 시흥시 구간에는 분기점 1개소와 요금소 1개소가 있으며 나들목[IC]과 휴게소는 설치되지 않았다. 경기도 평택시에서 시흥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은 서시흥요금소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군자 분기점을 통해 영동고속도로와 접속하여 월곶동 고속도로 종점까지 영동고속도로와 중복된다...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목감동을 거쳐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을 잇는 지방도.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2010년 개통한 경기도의 지방도로 노선 번호는 330번이다. 노선 번호는 경기도에 속한 지방도라 300번대를 부여받았으며 동서 방향의 도로로 짝수 번호인 30번을 부여받았다. 시흥시 정왕동, 월곶동, 장곡동, 장현동, 하중동, 하상동, 금이동, 논곡동, 목감동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목감동을 거쳐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을 잇는 지방도. 제3경인고속화도로는 2010년 개통한 경기도의 지방도로 노선 번호는 330번이다. 노선 번호는 경기도에 속한 지방도라 300번대를 부여받았으며 동서 방향의 도로로 짝수 번호인 30번을 부여받았다. 시흥시 정왕동, 월곶동, 장곡동, 장현동, 하중동, 하상동, 금이동, 논곡동, 목감동을...
-
경기도 시흥시에서 자연적 대상이나 조상 숭배를 위해 제물을 차려 놓고 제를 지내는 유교 의례. 제례(祭禮)는 유교 의례에서 조상을 추모하기 위해 정성껏 음식을 올리고 배례(拜禮)하는 행위라고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유교 의례의 일부분이며 일반 가정과 달리 국가 차원에서는 다양한 신에게 제물(祭物)을 차려 놓고 제례를 지냈다. 하지만 가정에서의 조상 숭...
-
경기도 시흥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선 후기의 수리·관계 시설. 17세기 조선 정부의 당면 과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파괴된 농촌을 복구하는 것이었다. 이에 농지 개간과 수리 시설의 확충을 통해 농업 생산력을 증진시키려 하였다. 황폐한 진전(陳田)[전안(田案)에는 경지로 되어 있으나 오랫동안 경작하지 아니한 토지]을 개간하고, 수리 시설을 복구하여 저습지(低濕地)[땅이...
-
경기도 시흥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선 후기의 수리·관계 시설. 17세기 조선 정부의 당면 과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파괴된 농촌을 복구하는 것이었다. 이에 농지 개간과 수리 시설의 확충을 통해 농업 생산력을 증진시키려 하였다. 황폐한 진전(陳田)[전안(田案)에는 경지로 되어 있으나 오랫동안 경작하지 아니한 토지]을 개간하고, 수리 시설을 복구하여 저습지(低濕地)[땅이...
-
경기도 시흥시 복음자리마을을 탄생시킨 빈민 운동가이자 한국 민주화 운동을 이끈 정치인. 본관은 칠원(漆原), 자는 대로(大路), 호는 운천(雲天).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척정리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 제병근(諸炳根)과 어머니 박수연의 차남이다. 제정구는 경상남도 고성군에 있는 대흥초등학교·고성중학교를 거쳐 1962년 경상남도 진주시에 있는 진주고등학교를 졸업...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청소년을 위한 장학 단체. 제정구(諸廷垢)[1944~1999]는 대한민국의 정치가이자 빈민·사회 운동가였다. 경상남도 고성군 출신으로 판자촌에서 빈민 운동과 노동 운동을 하였으며 주로 빈민 권익 운동에 종사하였다. 1985년 천주교도시빈민사목협의회를 창립, 초대 회장을 역임하고 도시빈민연구소를 세웠다. 신민당, 민주당에서 주로 활동...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서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비는 기우제를 지냈던 터. 대야동 우사단지(雩祀壇址)는 소래산 능선에 있으며 조선시대 인천부의 우사단(雩祀壇) 터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이곳의 지표에는 제단의 구체적인 흔적이 남아 있지 않고, 존재를 직접적으로 증빙하는 문헌 자료도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곳에 석렬(石列)로 단을 쌓은 모습이 있고 주...
-
경기도 시흥 지역 해안이나 강변에 살던 선사시대 사람들이 버린 조개껍데기와 쓰레기 등이 무덤 형태로 된 유적. 조개더미는 조개무지라고도 하며 한자어로는 패총(貝塚)이라 한다. 조개더미는 주로 조개껍데기로 구성되나 이 외에 다양한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하여 더 이상 쓸모없는 부서진 석기, 토기 등 일상적인 생활 쓰레기가 포함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조개더미가 출현하는 것은...
-
경기도 시흥시 조남3동 마을의 공동체 제의. 시흥시 조남3동의 을미마을, 새미마을, 방화마을, 소릉뫼마을에서 공동으로 산신에게 지내는 제의이다. 을미·새미·방화·소릉뫼 마을 사람들이 돈을 걷어 소머리, 밤, 대추, 사과, 북어, 적(炙), 술, 떡 다섯 말을 준비하여 10월 초하루 당산(堂山)에 올라 도당굿(都堂-)[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조남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동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목감동에서 관할한다. 자연 마을인 새미 뒤[북쪽]에 있는 매봉재의 산세가 풍수로 보아 새가 남쪽으로 머리를 조아리고 있는 형국이라 했고, 이 산으로 인해서 조남동의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초산면의 조남리와 제청리였다가 1912년 2월 5일 조선총...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의 청동기시대 유물이 발견된 장소.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는 고속도로를 건설하면서 방치된 접속부의 경계면에서 발견되었다. 1998년 기전문화재연구원[지금의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민무늬토기 조각과 돌도끼 등 청동기시대 유물을 수습하고 유물 산포지로 보고된 이래 후속 조사는 없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유적의 범위나 유구(遺構)의 형태 그리고...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의 청동기시대 유물이 발견된 장소.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는 고속도로를 건설하면서 방치된 접속부의 경계면에서 발견되었다. 1998년 기전문화재연구원[지금의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민무늬토기 조각과 돌도끼 등 청동기시대 유물을 수습하고 유물 산포지로 보고된 이래 후속 조사는 없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유적의 범위나 유구(遺構)의 형태 그리고...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조선시대 안산군의 사직단 터로 전하는 유적. 사직단(社稷壇址)이란 사(社)와 직(稷)의 두 신을 모신 제단이다. 사는 토지신, 직은 곡물신을 말한다. 땅과 곡식은 고대 농업국가에서 생존과 번영에 필수불가결한 것이었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널리 숭배되었다. 사직단은 기원전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도 기록이 있지만 본격적인...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조선시대 안산군의 사직단 터로 전하는 유적. 사직단(社稷壇址)이란 사(社)와 직(稷)의 두 신을 모신 제단이다. 사는 토지신, 직은 곡물신을 말한다. 땅과 곡식은 고대 농업국가에서 생존과 번영에 필수불가결한 것이었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널리 숭배되었다. 사직단은 기원전 중국에서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에도 기록이 있지만 본격적인...
-
경기도 시흥시 조남1동 양달말에서 행하는 산신에게 지내는 공동체 제의. 제일(祭日)은 매년 음력 10월 초하루이다. 마을 뒷산 중턱의 소나무 밑과 장승백이 입구에 있는 장승 앞에서 장승제를 겸해서 지냈다. 마을에서는 목수가 소나무로 길이 1미터 정도의 장승 한 쌍을 만들어 양달말에는 남 장승, 응달말에는 여 장승을 산신제 전날 저녁에 당주 내외가 목욕재계(沐浴齋戒) 후...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의 청동기시대 유물이 발견된 장소.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는 고속도로를 건설하면서 방치된 접속부의 경계면에서 발견되었다. 1998년 기전문화재연구원[지금의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민무늬토기 조각과 돌도끼 등 청동기시대 유물을 수습하고 유물 산포지로 보고된 이래 후속 조사는 없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유적의 범위나 유구(遺構)의 형태 그리고...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수령 350여 년의 측백나무. 조남동 측백나무는 1657년 조선 제17대 왕 효종의 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법련사(法蓮寺) 창건 기념으로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측백나뭇과로 수령 350년 이상이며 학명은 Thuja orientalis L.이다. 측백나무는 암수한그루이며 맹아력(萌芽力)[줄기가 꺾이거나 줄기에 손상이...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무덤. 조남리 지석묘는 1988년 3월 21일 경기도기념물 제103호로 지정된 청동기시대의 고인돌이다.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른다. 조남리 지석묘는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408-4에 있다. 1985년 11월 1일 시흥군 수암면 조남리[지금의 시흥시 조남동] 안골마을 논...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조남중학교의 교훈은 ‘성실’, ‘화합’이다. 교육 목표는 ‘배움의 즐거움으로 꿈을 찾아가는 행복한 학교’라는 비전 아래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조화로운 사람[건강인], 바른 인성과 예절을 갖추고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도덕인], 미래를 준비하며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역량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조남중학교는 20...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조남중학교의 교훈은 ‘성실’, ‘화합’이다. 교육 목표는 ‘배움의 즐거움으로 꿈을 찾아가는 행복한 학교’라는 비전 아래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조화로운 사람[건강인], 바른 인성과 예절을 갖추고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도덕인], 미래를 준비하며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역량인]을 육성하는 것이다. 조남중학교는 20...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남초등학교의 교훈은 ‘배움을 즐기며 큰 꿈을 키우자’이다. 꿈 그림, 끼 두드림, 마음 울림의 3림(林) 교육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적인 어린이[자주인], 슬기롭게 행동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문화적 소양을 갖춘 어린이[문화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세계인]의 육...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조남초등학교의 교훈은 ‘배움을 즐기며 큰 꿈을 키우자’이다. 꿈 그림, 끼 두드림, 마음 울림의 3림(林) 교육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교육 목표는 스스로 공부하는 자주적인 어린이[자주인], 슬기롭게 행동하는 창의적인 어린이[창의인], 문화적 소양을 갖춘 어린이[문화인],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어린이[세계인]의 육...
-
경기도 시흥시에서 조석에 의해 경기만을 드나드는 바닷물의 움직임. 조류(潮流)는 조석(潮汐)이 오르내릴 때 발생하는 것으로 바닷물의 주기적인 흐름을 의미한다. 좁은 만이나 강의 하구에서는 왕복성 조류가 흐르는데, 들어오는 물을 밀물 또는 창조류(漲潮流), 나가는 물을 썰물 또는 낙조류(落潮流)라고 한다. 조류는 조차가 클수록 빨리 흐르며 좁은 해협이나 수로를 통과할 때는...
-
경기도 시흥시에 서식하고 있는 조강의 척추동물 총칭. 경기도 시흥시에서 서식하는 조류는 시화멀티테크노밸리 환경 영향 평가의 조사 결과, 총 14목 30과 97종 30만 11개체가 관찰되었다. 시흥에서 발견되는 여름 철새로는 백로류, 할미새류, 물총새류, 뻐꾸기류 등이 있다. 특히 시화호에서 백로류, 할미새류, 물총새류, 뜸부기류 등이 발견되며 삼림...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있는 실업계 사립 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의 교훈은 '사랑, 겸손, 봉사'이며 교육 목표는 꿈과 희망이 실현되는 즐겁고 행복한 학교 만들기이다. 1989년 10월 학교법인 복음아성학원이 설립되었고 1998년 10월 성택조리과학고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99년 3월 개교하였다. 2001년 3월 지금의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을...
-
1392년에서 1910년까지 조선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경기도 시흥시의 역사.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는 조선시대 안산군(安山郡)과 인천부(仁川府)에 속해 있던 지역이다. 군자·수암권은 안산군의 잉화면(仍火面), 초산면(草山面), 마유면(馬遊面), 대월면(大月面)에 해당한다. 소래권은 인천부의 신현면(新峴面), 전반면(田反面), 황등천면(黃等川面)에 해당한다. 시흥 지역은 조선시대에...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서 100년간 3대에 걸쳐 가난한 이웃에게 곡식과 재물을 나누고 베푼 신안 주씨 일가의 선행. 신안 주씨(新安朱氏) 가문은 17세기 전반부터 시흥 지역에 자리 잡았다. 과림동 주씨 가문의 주석범(朱錫範)[1815~1880], 주순원(朱順元)[1836~1895], 주인식(朱寅植)[1862~1945]과 주영식(朱英植)[1867~1952] 형제...
-
경기도 시흥시에서 빈민을 위한 복음자리 운동을 주도한 사회 운동가이자 신부. 정일우는 아일랜드계 미국인 가톨릭 신부로 원래 이름은 존 빈센트 데일리(John Vincent Daly)이고, 세례명은 사도 요한이다. '빈민 사목의 대부'로 알려졌으며, 40년 가까이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예수회 신부이자 빈민 운동가이다. 정일우는 미국 일리노이주 출신으로...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여러 대에 걸쳐 분가를 한 경우에 분가의 본가. 종가(宗家)는 대종가와 소종가로 구분한다. 대종가는 성씨의 시조로부터 장자로만 이어진다. 소종가는 대종가에서 중시조를 기점으로 파생된 종가로서 불천위(不遷位)[나라에 큰 공훈을 남기고 죽은 사람의 신주(神主)는 오대봉사(五代奉祀)가 지난 뒤에도 묻지 않고 사당에 영구히 두면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 허락된...
-
경기도 시흥시에서 이루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의 힘에 의존하여 삶의 고뇌를 해결하고 궁극적 의미를 추구하는 문화 체계. 종교(religion)라는 단어의 유래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고대 라틴어 단어인 렐리게레(religere)[조심하다, 주의하다]와 렐리가레(religare)[함께 묶다]가 가능성 있는 어원들로 꼽힌다. 로마와 초기 그리스도교의 라틴 문헌에서 렐리기오(r...
-
경기도 시흥시 인근 해역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어로 방식 또는 어구. 주낙은 시흥 해역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의 연근해 및 세계 해역에서 사용되는 어로 방식 중의 하나이다. 하나의 모릿줄[수평으로 길게 뻗친 원줄]에 여러 개의 아릿줄[가짓줄]을 연결하고 그 아래 낚시와 미끼를 달아 대상물을 어획하는 어업 또는 어구를 말한다. 주낙은 달리 연승(延繩)이라고도 불리며,...
-
경기도 시흥시에 설치된 주민의 자치활동 공간 또는 프로그램 총칭. 주민자치센터는 1999년 2월 행정자치부의 읍·면·동 사무소의 기능 전환 시범 실시에 따라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다양한 문화, 복지, 편익 시설과 프로그램 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지역 실정에 따라 동민의 집, 문화센터, 복지센터 등 다양한 이름을 붙여 사용하고 있다. 주민 자치센터는 읍·면 사무소와 동...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주거와 관련된 생활문화. 시흥 지역의 가옥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개방적 형태를 지녔는데, 가옥의 구조는 일자식(一字式), ㄱ자식(-字式), ㄷ자식(-字式), ㅁ자식(-字式)의 형태를 많이 보인다. 가옥 안에는 경리 시설(經理施設), 취사 설비(炊事設備), 수장 시설(收藏施設), 난방 시설(煖房施設), 정원 시설(庭園施設) 등의 시설물과...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서 출생하고 묘가 있는 조선 후기 자선가. 본관은 신안(新安), 자는 장옥(章玉). 주희(朱熹)의 29세손이며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주의동(朱宜東)의 1남이다. 주석범(朱錫範)[1815~1880]은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 중림에서 세거하면서 관내 가난한 마을 주민들에게 많은 선행을 베풀었다. 그의 선행...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서 출생한 일제강점기의 자선가. 본관은 신안(新安), 호는 송당(松堂). 인천부 황등천면 일원[지금의 시흥시 과림동]에서 오랫동안 세거하였다. 주영식(朱永植)[1867~1952]은 주희(朱熹)의 31세손이며 주순영(朱順英)의 2남이나 후에 주순거(朱順巨)에게 양자로 들어갔다. 주영식은 큰할아버지 주석범(朱錫範), 큰아버지 주순원(朱順元),...
-
경기도 시흥시 포동 출신의 조선 후기 문장가.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주헌(周憲), 호는 현재(弦齋). 최창헌(崔昌憲)의 증조할아버지는 최석태(崔錫泰), 할아버지는 최창걸(崔昌傑), 아버지는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최수로(崔守魯)이다. 최창헌은 18세기 안산 지역의 시사 모임인 사로사(四老社)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사로사는 처음에 안산의 4대 문장가로 평...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병자 치유를 위해 죽을 쑤어서 바가지에 담아 대문 밖에 버리는 치병 의례. 집안에 환자가 있을 때 잡귀가 들었다고 하여 죽을 쑤어 바가지에 담아 집 밖에 두는 풍습은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일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예전에 흔한 질병이었던 학질(瘧疾)[말라리아] 등의 열병에는 '뜬 것이 덤볐다.'고 하여 죽을 쑤어서 버리면 낫는다고 믿었다. 죽쑤어 버...
-
일제강점기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 죽율동에서 지역 유지들이 의연금을 모아 설립·운영한 사설 야학. 죽율 야학(竹栗夜學)은 1926년 시흥군 군자면 죽율리 유지들이 농한기에 운영하는 야학으로 개설되었다. 유지들은 1927년 의연금을 모금해 13칸 규모의 교실까지 갖추었다. 1928년 전국적인 큰 가뭄으로 야학 운영이 어려워지자 1929년 유지들은 다시 한번 야학 운영 기금...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죽율동은 경기도 시흥시 서남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정왕본동에서 관할한다. 죽율동은 예전에 대나무와 밤나무가 무성하였다 하여 ‘죽율리’라 불렀다고 하지만, 죽율리의 한글 이름이 ‘대암이’라는 기록이 있어 죽율은 ‘대암이’라는 고유어를 한자로 표기하기 위한 차자(借字)일 가능성이 높다. ‘대암이’는 마을 서쪽 숫통뫼...
-
경기도 시흥시 죽율동 새말과 한배미 마을에서 지냈던 공동체 의례. 제의(祭儀)는 산 이름을 따서 ‘동유제’라고 하였다. 당제(堂祭)는 격년제로 동네에서 날을 잡아서 지냈다. 제를 지내는 시기는 봄 3~4월이었고 정오쯤에 차려서 밤까지 놀곤 하였다. 만신(萬神)[무녀]은 거의 부르지 않고 마을 사람만 모여서 지냈는데, 마을에 큰일이 있거나 죽어 가는 사람이 있으면 만신을...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죽율동은 경기도 시흥시 서남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정왕본동에서 관할한다. 죽율동은 예전에 대나무와 밤나무가 무성하였다 하여 ‘죽율리’라 불렀다고 하지만, 죽율리의 한글 이름이 ‘대암이’라는 기록이 있어 죽율은 ‘대암이’라는 고유어를 한자로 표기하기 위한 차자(借字)일 가능성이 높다. ‘대암이’는 마을 서쪽 숫통뫼...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과림동은 시흥시 동부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법정동인 무지내동을 관할한다. 과림동은 옛 지명인 목과(木果)의 ‘과' 자와 중림(重林)의 ‘림' 자를 따서 지은 지명이다. 과일나무가 많고 숲이 우거진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과림동은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황등천면 일리, 이리, 삼리였다. 1...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 일대의 옛 지명. 중림동은 신안 주씨(新安朱氏)와 청주 한씨(淸州韓氏) 및 여흥 민씨(驪興閔氏)의 오랜 세거지다. 마을 서쪽 지역을 ‘안말’, 동쪽 지역을 ‘아랫말’, 중앙을 ‘가운뎃말’이라 각각 부르고 있는데, 특히 안말은 조선시대 중림역(重林驛)이 있었던 곳이다. 조선시대 인천부 황등천면 중림리는 인천부 관아에서 35리[약 13.8㎞]...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 일원에 있었던 조선시대 중앙 관아의 공문을 지방 관아에 전달하거나 공적인 일에 마필을 공급하던 곳. 중림역(重林驛)은 조선시대 중림역도(重林驛道)에 딸린 7개소 속역(屬驛) 중 하나이다. 조선시대의 역원(驛院) 제도는 고려시대의 것을 이어 받아 발전시킨 것으로 태종~세종 연간에 걸쳐 전국적인 규모의 역로망을 구축하였다. 경기도에는 대로(大...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경제인 단체. 중소기업융합경기연합회 서부지회는 기업체 간 서로 다른 기술과 지식을 체계적으로 융합하거나 각사가 보유한 특화된 역량들을 공유함으로써 기업의 신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당면한 기업 경영상의 문제들을 공동으로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경제인 단체이다. 중소기업융합경기연합회 서부지회는 서로 다른...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시립 도서관. 시흥시의 학생들로 하여금 어려서부터 책과 접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기회를 제공하고, 창의력을 배양하며 세상을 보는 올바른 안목을 길러주고자 설립되었다. 중앙도서관은 2002년 5월 25일 시흥시립도서관으로 개관하였으며 2007년 중앙도서관으로 개칭하였다. 중앙도서관은 지하 1층을 포함하여 5층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