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에 있는 자연 마을. 가래울마을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의 16대손 정광윤(鄭光胤)의 사패지(賜牌地)로서 영일 정씨(迎日鄭氏) 세장지(世葬地)이다. 입향조 정광윤과 그 후손의 묘가 있는데, 정몽주의 22대손 정제두(鄭齊斗)는 1689년(숙종 15)의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평택현감을 그만두고 이곳 가래울마을에 정착하였다. 정제두는 가래...
-
중국 양명학을 발전시킨 추곡(楸谷) 정제두(鄭齊斗)[1649~1736]는 20년간 안산군 인화면 화정리[지금의 시흥시 화정동] 가래울마을에 거주하면서 실심실학(實心實學)의 체계를 세우고 학문에 정진하여 한국 사상사에 심학(心學)의 뿌리를 내렸다. 홀로 있을 때일수록 생각을 방종하지 않게 삼가 하면서도 타인에게는 친절하게 해야 하며 상황에 따른 권도(權道)의 유연성을 발휘...
-
경기도 시흥시 시화호 일대에 서식하는 저어샛과에 속하는 조류. 노랑부리저어새는 가리새라고도 한다. 내륙 습지를 좋아하는 겨울 철새로 학명은 Platalea leucorodia leucorodia LINNAEUS이다. 멸종 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1968년 05월 31일에 천연기념물 제205-2호로 지정되었다. 노랑부리저어새는 몸길이가 약 86㎝이고,...
-
경기도 시흥시에 서식하고 있는 저어샛과의 조류. 저어새는 노랑부리저어새와 같이 부리가 긴 주걱과 같이 생긴 특이한 모양이다. 눈 아래 검은색 피부가 넓게 노출되어 부리와 눈이 붙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저어새는 몸길이가 60~78㎝이며 부리가 검고 표면에 주름이 져 있다. 나이를 먹을수록 주름의 수가 많아지므로 부리를 보고 저어새의 나이를 판단할 수...
-
경기도 시흥시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그리스도교의 한 교파. 천주교는 1887년(고종 24) 한불조약이 체결됨으로써 공식적으로 선교가 시작되었다. 그 후 경기도에서도 본격적으로 성당들이 건립되었는데, 1888년(고종 25) 수원에서 서쪽으로 약 12㎞ 떨어진 좁고 한적한 산길 가의 '갓등이'[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1길 71]에 세워진 예배처...
-
경기도 시흥시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는 로마 교황을 정점으로 하는 그리스도교의 한 교파. 천주교는 1887년(고종 24) 한불조약이 체결됨으로써 공식적으로 선교가 시작되었다. 그 후 경기도에서도 본격적으로 성당들이 건립되었는데, 1888년(고종 25) 수원에서 서쪽으로 약 12㎞ 떨어진 좁고 한적한 산길 가의 '갓등이'[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1길 71]에 세워진 예배처...
-
경기도 시흥시에서 육지에 면한 바다나 갯벌의 일부를 둑으로 막고 그 안의 물을 빼내 육지로 만든 사업. 우리나라의 서해안은 해수면이 낮거나 간석지의 발달이 탁월하여 오래전부터 간척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서해안에 자리한 경기도 시흥시에서도 일찍부터 간척 사업을 실시하였으며 새롭게 육지로 만들어진 땅에는 공업단지·주택단지·시가지·농경지 등을 조성하였다. 시흥시에는 1...
-
경기도 시흥시 간척지에서 행해지고 있는 농업. 시흥시에는 포동에서 월곶동에 이르는 해안과 방산동·정왕동·죽율동 일대에 150만 평[약 4.96㎢] 규모의 '호조벌'이라는 간척지가 있으며, 이 간척지에서 논농사 중심의 농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시흥시 포동 동쪽 끝에서 월곶동 고잔마을까지 이르는 해안과 방산동·정왕동·죽율동 일대에는 1720년(...
-
경기도 시흥시를 지나는 고속도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교통의 교차점. 2018년 현재 경기도 시흥시를 지나는 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가 있다. 각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분기점으로는 월곶 분기점, 안현 분기점, 도리 분기점, 조남 분기점, 군자 분기점, 동시흥 분기점 등 6곳이 있다...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존 웨슬리에 의해 창시된 개신교의 한 교파. 감리교는 18세기 영국 성공회 사제인 존 웨슬리(John Wesley)가 창시하였다. 감리교 신앙의 4대 지침은 성서, 전통, 이성, 경험이며 한국에서는 토착 문화를 추가하여 5가지의 지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한국적 종교와 정신적 상황을 첨가한 토착화 신학적 면모도 지니고 있...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존 웨슬리에 의해 창시된 개신교의 한 교파. 감리교는 18세기 영국 성공회 사제인 존 웨슬리(John Wesley)가 창시하였다. 감리교 신앙의 4대 지침은 성서, 전통, 이성, 경험이며 한국에서는 토착 문화를 추가하여 5가지의 지침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한국적 종교와 정신적 상황을 첨가한 토착화 신학적 면모도 지니고 있...
-
경기도 시흥시 하상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강귀손의 묘. 강귀손(姜龜孫)[1450~1505] 묘는 진주 강씨(晉州姜氏) 문량공파(文良公派) 묘역에 있으며 부인과 함께 쌍분(雙墳)으로 조성되어 있다. 강귀손의 본관은 진주, 아버지는 좌찬성(左贊成) 강희맹(姜希孟), 어머니는 관찰사(觀察使) 안숭효(安崇孝)의 딸이다. 1479년(성종 10) 별시 문과에 병과로...
-
경기도 시흥시 하상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강극성의 묘. 강극성(姜克誠)[1526~1576] 묘는 진주 강씨(晉州姜氏) 문량공파(文良公派) 묘역에 있는 단분(單墳)이다. 강극성의 본관은 진주, 좌찬성(左贊成) 강희맹(姜希孟)의 4대손으로 아버지는 사용(司勇) 강복(姜復), 어머니는 의정부좌참찬 김안국(金安國)의 딸이다. 1553년(명종 8) 별시 문과에 급...
-
경기도 시흥 지역이 속해 있던 옛 시흥군 군자면의 3.1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강은식(姜殷植)[1885~?]은 경기도 시흥군 군자면 원곡리[지금의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출신으로 1919년 4월 4일 군자면 3.1운동을 주도하고 일제로부터 피체(被逮)되어 옥고를 치렀다. 2011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강은식은 시흥군 군자면 원곡리 출신...
-
경기도 시흥시 도창동에 있는 자연 마을. 강창리는 안동 권씨(安東權氏)와 파주 염씨(坡州廉氏)의 오랜 세거지로 서쪽 지역을 ‘건너말’, 북쪽 지역을 ‘웃말’이라 부른다. 호조벌이 있는 곡창지대로 아직도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강창리는 조선시대 배에서 짐을 내려 이 마을에 있는 창고에 쌓았다고 해서 큰 내 ‘강(江)’ 자와 곳간 ‘창(倉)’ 자를...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도창동은 경기도 시흥시 중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매화동에서 관할한다. 도창동은 도창동의 옛 지명인 도두리(道頭里)의 ‘도’ 자와 강창리(江倉里)의 ‘창’ 자를 한 글자씩 따서 만든 지명이다. ‘도두리’는 길이 마을 위로 지난다고 해서 붙여진 지명이고, ‘강창리’는 마을에 창고가 있던 곳이란 의미로 붙여진 지명이다...
-
경기도 시흥시 도창동에 있는 자연 마을. 강창리는 안동 권씨(安東權氏)와 파주 염씨(坡州廉氏)의 오랜 세거지로 서쪽 지역을 ‘건너말’, 북쪽 지역을 ‘웃말’이라 부른다. 호조벌이 있는 곡창지대로 아직도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강창리는 조선시대 배에서 짐을 내려 이 마을에 있는 창고에 쌓았다고 해서 큰 내 ‘강(江)’ 자와 곳간 ‘창(倉)’ 자를...
-
경기도 시흥시 도창동에 있는 자연 마을. 강창리는 안동 권씨(安東權氏)와 파주 염씨(坡州廉氏)의 오랜 세거지로 서쪽 지역을 ‘건너말’, 북쪽 지역을 ‘웃말’이라 부른다. 호조벌이 있는 곡창지대로 아직도 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강창리는 조선시대 배에서 짐을 내려 이 마을에 있는 창고에 쌓았다고 해서 큰 내 ‘강(江)’ 자와 곳간 ‘창(倉)’ 자를...
-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에 연꽃을 심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 운송거사(雲松居士), 국오(菊塢), 만송강(萬松岡). 강희맹(姜希孟)[1424~1483]의 증조할아버지는 강시(姜蓍), 할아버지는 동북면 순무사(東北面巡撫使) 강회백(姜淮伯), 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영의정 심온(沈溫...
-
경기도 시흥시 하상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강희맹 묘와 신도비. 강희맹(姜希孟)[1424~1483]의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이다. 시·서·화 삼절(三絶)로 유명한 인수부윤(仁壽府尹) 강희안(姜希顏)이 형이다. 1447년(세종 29) 문과에 장원급제하였고,...
-
경기도 시흥시 하상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강희안의 묘. 강희안(姜希顔)[1417~1464]의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이고, 동생은 좌찬성(左贊成) 강희맹(姜希孟)이다. 1441년(세종 23) 식년(式年) 문과에 급제하였고, 1443년(세종 25) 정인지(...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행해지던 물고기를 잡는 방식 또는 그 그물. 건강망[建干網]은 서해안 지역에서 밀물과 썰물을 이용하여 어군의 퇴로를 막아 물고기를 잡는 조업 방식이다. 썰물 때에 갯벌에 '말장'이라고 부르는 말뚝을 4m 간격으로 박고, 말장과 말장 사이에 그물을 두르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어살(魚-)은 말뚝 사이를 싸리나무나 대나무 울타리로 두르는데, 건...
-
1970년대까지 한적한 교외 지역이었던 시흥은 1977년 서울의 철거민들이 복음자리마을을 조성하면서 철거 이주민들의 새로운 보금자리가 되는 한편 정부의 도시 빈민 주거 정책 부재를 실감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1980년대 초부터 복음자리마을 옆에 들어서기 시작한 신천동 83번지 무허가 판자촌은 1993년 화재 사건을 계기로 도시 개발에 따르는 철거 투쟁이라는 그림자를 분명하게 드...
-
경기도 시흥시에서 개발을 제한하고 토지 이용 규제가 다른 곳에 비해 강한 지역. 개발제한구역은 도시 외곽의 녹지를 대상으로 벨트형으로 지정하여 토지 이용을 제한하는 지역을 말하며 그린벨트(greenbelt)라고도 한다. 수도권에서는 인구 및 산업의 집중을 억제할 목적으로 지정되었다. 이 구역 내에서는 건축물의 신축·증축, 용도 변경, 토지의 형질 변경 및 토지 분할 등의...
-
왕건을 1세로 하고, 왕미를 중시조로 하는 경기도 시흥 지역의 세거 성씨. 경기도 개성[송악] 지방의 호족 집안으로 고려를 건국하여 34대 475년간 번성하였다. 하지만 조선을 창업한 이성계(李成桂)의 정치적 보복으로 멸족의 참화를 겪었다. 그리하여 전(全), 옥(玉), 전(田), 금(琴) 씨 등의 성씨로 바꾸어 지내다가 한참을 지나서 왕씨로 복성(復姓) 되었...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그리스도교의 분파. 개신교(改新敎)란 16세기 종교개혁에서 비롯된 그리스도교 분파를 통칭하는 개념이며 1880년대부터 우리나라에도 유입되어 130여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독교가 곧 개신교로 용어가 혼용되나, 실제로는 기독교[그리스도교]에서 가톨릭과 개신교가 하위 범주에 속해 있다. 장로교, 감리교, 루터교, 성공회, 하나님의...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개인이 쌓은 방죽. 시흥 지역의 개인 방죽으로는 신천동의 서명운(徐明䉙) 방죽, 포동의 고문진 방죽과 조성근 방죽, 호조벌의 김창한 방죽, 이용구(李榕求)가 쌓은 방산동의 새방죽, 유 아무개가 쌓은 방산동의 가골 방죽 등이 있다. 서해에 접해 있던 시흥 지역은 농경지가 적어 조선시대부터 간척 사업이 성행했던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경기도 시흥시에서 썰물 때에 갯벌을 따라 물줄기가 흘러내려 가는 물길. 갯골은 일반적으로 간석지[개펄] 사이에 물길 형태로 나타나지만, 시흥시의 갯골은 여느 갯골과 달리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하는 하천의 연장선상에 발달해 있다. 시흥 갯골은 넓은 바닷가에 있는 갯벌과는 다르게 경기만의 내륙 깊숙한 곳에서 물길을 따라 갯벌이 그대로 남아 있는 내만(內灣) 갯골로 잘 알려져...
-
경기도 시흥시에서 썰물 때에 갯벌을 따라 물줄기가 흘러내려 가는 물길. 갯골은 일반적으로 간석지[개펄] 사이에 물길 형태로 나타나지만, 시흥시의 갯골은 여느 갯골과 달리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하는 하천의 연장선상에 발달해 있다. 시흥 갯골은 넓은 바닷가에 있는 갯벌과는 다르게 경기만의 내륙 깊숙한 곳에서 물길을 따라 갯벌이 그대로 남아 있는 내만(內灣) 갯골로 잘 알려져...
-
경기도 시흥시에서 썰물 때에 갯벌을 따라 물줄기가 흘러내려 가는 물길. 갯골은 일반적으로 간석지[개펄] 사이에 물길 형태로 나타나지만, 시흥시의 갯골은 여느 갯골과 달리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하는 하천의 연장선상에 발달해 있다. 시흥 갯골은 넓은 바닷가에 있는 갯벌과는 다르게 경기만의 내륙 깊숙한 곳에서 물길을 따라 갯벌이 그대로 남아 있는 내만(內灣) 갯골로 잘 알려져...
-
경기도 시흥시에서 썰물 때에 갯벌을 따라 물줄기가 흘러내려 가는 물길. 갯골은 일반적으로 간석지[개펄] 사이에 물길 형태로 나타나지만, 시흥시의 갯골은 여느 갯골과 달리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하는 하천의 연장선상에 발달해 있다. 시흥 갯골은 넓은 바닷가에 있는 갯벌과는 다르게 경기만의 내륙 깊숙한 곳에서 물길을 따라 갯벌이 그대로 남아 있는 내만(內灣) 갯골로 잘 알려져...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생물이나 자연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조성된 공원. 시흥갯골생태공원은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 있는 약 45만 평[150만 6500㎡] 규모의 공원으로, 국내 유일의 내만(內灣) 갯벌과 옛 염전의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생태 공원이다. 시흥갯골생태공원에서는 다양한 염전 체험과 시흥 지역 생물이나 자연을 관찰할 수 있다. 시흥...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거모동은 시흥시 중동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군자동에서 관할한다. 거모동은 바닷가에 있는 마을로 넓은 들이었는데, '들'이 '틀'로 변하였다가 '털'로 되어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지형이 거머리처럼 생겨 거머리 또는 거모리라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종합적으로 ‘검은 갯마을’이란 의미로...
-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 일원에서 발견된 청동기시대의 집자리.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 유적 두 곳이 발견되어 보고되었다. 기전문화재연구원[지금의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2000년 발간한 지표 조사 보고서에는 편의상 거모동 청동기시대 주거지 1, 2로 구분하고 있다. 두 유적 모두 근래의 시설물을 만드는 과정에서 훼손되어 완전한 형태의 유구(遺構)...
-
현재의 경기도 시흥시 일부 지역을 관할하였던 조선시대 행정구역. 마유면은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군자동, 장곡동, 연성동, 월곶동 등을 포함하는 지역이다. 마유면이라는 지명이 처음 나오는 기록은 조선 후기 영조 때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이다. 이후 1842~1843년 간행된 『경기지(京畿誌)』와 1871년(고종 8) 간행된 『경기읍지(京畿邑誌)』...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거모동은 시흥시 중동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군자동에서 관할한다. 거모동은 바닷가에 있는 마을로 넓은 들이었는데, '들'이 '틀'로 변하였다가 '털'로 되어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또한 “지형이 거머리처럼 생겨 거머리 또는 거모리라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종합적으로 ‘검은 갯마을’이란 의미로...
-
경기도 시흥시 거모동에 있는 주민들을 위한 종합 사회복지 시설. 거모종합사회복지관은 시흥시 거모동 주민이 배우고 소통하는 문화 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주민 스스로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 따뜻한 이웃 관계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지역 주민의 복지 욕구에 부응하는 전문적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주민 상호간 연대감을 조성하기...
-
경기도 시흥시 장현동에 있는 조선 후기 안산군수와 관리들의 선정을 기리는 3기의 비석. 시흥시청 송덕비군은 모두 3기로 크기별로 나란히 서 있다. 좌측부터 권용정 영세불망비(權用正永世不忘碑), 박기회 거사비(朴氣會去思碑), 이규현 영세불망비(李奎鉉永世不忘碑) 순이다. 이 가운데 안산군수를 지낸 권용정의 비가 가장 크다. 안산군수의 다른 명칭은 연성(蓮城)군수였...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행해지던 물고기를 잡는 방식 또는 그 그물. 건강망[建干網]은 서해안 지역에서 밀물과 썰물을 이용하여 어군의 퇴로를 막아 물고기를 잡는 조업 방식이다. 썰물 때에 갯벌에 '말장'이라고 부르는 말뚝을 4m 간격으로 박고, 말장과 말장 사이에 그물을 두르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어살(魚-)은 말뚝 사이를 싸리나무나 대나무 울타리로 두르는데, 건...
-
경기도 시흥시 포동 걸뚝에서 하중동 돌장재를 연결하여 쌓았던 방죽. 호조방죽(戶曹-)은 시흥시 포동 걸뚝에서 하중동 돌장재를 이어 축조되었던 길이 약 720m의 인공 둑이다. 바다로서 개펄이었던 이곳에 조선 경종 원년인 1721년에 둑을 완공하여 농경지로 개간한 것이다. 이 둑은 과거 인천부와 안산군을 연결하는 교통로 구실을 하였으며, 국도39호선 구도로가 건...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검바위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꿈과 소질을 가꾸어 가는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기본 이념으로 꿈을 찾아 도전하며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학습하는 어린이, 문화 예술 활동을 즐기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존중과 나눔·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를 양성하는 데 있다. 검바위초등학교는 2001년 7월 24...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검바위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꿈과 소질을 가꾸어 가는 창의적인 어린이 육성’을 기본 이념으로 꿈을 찾아 도전하며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학습하는 어린이, 문화 예술 활동을 즐기는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존중과 나눔·배려로 더불어 살아가는 어린이를 양성하는 데 있다. 검바위초등학교는 2001년 7월 24...
-
경기도 시흥시에 서식하는 도요목 갈매깃과의 철새. 검은머리갈매기는 경기도 시흥시를 비롯하여 우리나라 서해안 갯벌 매립지에서 번식하는 소형의 갈매깃과 조류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1만 4000개체 정도가 알려져 있다. 번식지는 약 80%가 중국이며, 나머지 20%는 한국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12년 5월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
경기도 시흥시 갯벌 일대에 서식하는 검은머리물떼새과에 속하는 새. 검은머리물떼새는 대단히 드문 새로 번식 상황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1982년 11월 16일 천연기념물 제326호로 지정된 멸종 위기 Ⅱ급이다. 검은머리물떼새는 이마와 목은 검은색이고 눈 밑에는 흰색의 작은 무늬가 있다. 윗등은 검은색이고 윗가슴에는 검은색 띠가 있는데...
-
경기도 시흥시에서 아시아 전통 연희를 주제로 열리는 국제 행사. 경기 시흥 아시아 전통 연희 축제는 전통 연희라는 문화 원형과 시흥의 문화 잠재력에 기반을 둔 축제이다. 아시아 문화 네트워크의 플랫폼을 구축해 서구의 감수성과 상상력을 뛰어넘는 아시아만의 문화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개최하는 국제 행사이다. 아시아 문화의 근간인 '전통 연희'를 매개로...
-
경기도 시흥시 시화호 일대에서 펼쳐지는 해양 레포츠 축제. 경기 하늘 바다 축전은 경기도, 시흥시, 한국수자원공사[K-water]가 공동 주최 및 주관으로 2015년 처음 시작한 해양 레포츠 행사이다. 2017년부터는 안산시, 화성시, 시화지구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공동 주최로 추가되었으며 '시화 나래 마린 페스티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경기 하늘 바...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의 교훈은 '창조, 협동, 겸손의 정신을 갖춘 인재'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 정신이 투철한 전문 기술 인력 양성, 둘째 지역사회 발전을 선도하는 산학 협력 추진, 셋째 인성 교육을 통한 건전한 직업관 구현이다. 경기과학기술대학교는 1966년 4월 우리나라 정부와 국제연합...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사립 대학교. 경기과학기술대학교의 교훈은 '창조, 협동, 겸손의 정신을 갖춘 인재'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미래지향적이고 창조적 정신이 투철한 전문 기술 인력 양성, 둘째 지역사회 발전을 선도하는 산학 협력 추진, 셋째 인성 교육을 통한 건전한 직업관 구현이다. 경기과학기술대학교는 1966년 4월 우리나라 정부와 국제연합...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에 있는 노인을 위한 전문 의료 기관. 경기도 노인전문 시흥병원은 노인성 질환자의 요양 및 치료, 치매 상담, 방문 서비스, 노인 보건 교육 등을 전문으로 치료하는 병원이다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각종 질환, 질병,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을 전문으로 치료하고 노인 인구의 가족 부양이라는 사회적 부담을 해결하고자 설립되었다. 경기도 노...
-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경기도수출기업협회의 시흥 지역 사무를 맡아보는 곳. 경기도수출기업협회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꾀하는 수출 기업 간의 인적 네트워크 구성, 정보 공유와 상호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단법인이다. 경기도 5개 지부에 500여 회원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기도수출기업협회 시흥지부는 서부연합회에 소속되어 있다. 경기도수출기업협회 시...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경기도교육청 산하의 교육행정기관.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은 학생과 현장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정상화, 특색화, 다양화를 실천하는 기관이다. 지역사회와 함께 교육하기 좋은 도시를 건설한다는 목표 아래 안전한 교육 환경을 마련하고, 온 마을이 배움터가 되는 마을 교육 공동체를 조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4년 1월 29일 대통령령 제...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 산하의 특수교육 지원 기관. 경기도시흥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는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 장애로 일반 학교에서의 교육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학생들을 위해 특별 교과과정을 마련하여 실시하고 있다. 특수교육 대상자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라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말한다. 특수교육 지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의 시흥 지역 지부. 경기도여성단체협의회는 여성의 권익 향상과 지역사회 발전을 위하여 창립되었다. 설립된 이후부터 여성 정치 세력화와 자원봉사자 발굴, 여성 육성 사업, 소외된 이웃 돕기, 여성 중간 관리자 육성 프로그램, 여성 리더십 향상 교육, 성 평등 세미나 등의 다양한 사업을 실시하여 왔다. 경기도여성단체협...
-
경기도 시흥시의 해안이 마주하는 서해의 만. 경기만은 한반도의 서해안에서 충청남도 태안반도와 황해남도 옹진반도 사이에 있는 거대한 만(灣)이다. 경기만에는 남양만·아산만·해주만 등 경기만의 2차적인 여러 만입부(灣入部)가 발달해 있어 해안선의 드나듦이 복잡하다. 경기만에는 영종도, 강화도, 대부도, 제부도, 덕적도 등 크고 작은 130여 개의 섬이 자리하고 있...
-
경기도 시흥시에서 활동하는 사단법인 경기민예총 시흥 지역 지부. 사단법인 경기민예총 시흥지부[시흥민예총]는 민족 예술 창조에 뜻을 함께하는 시흥 지역 진보적 문화 예술인들의 단체이다.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시흥지부로 설립되어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한국민예총]은 1988년 11월 26일 고은·백낙청·이건용·임진택 등이 발기인 대회를 개최하고,...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시화·반월 지역 산업 인재 양성 및 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기관. 경제 환경이 변화되면서 중소기업은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기업에서 지식 창출 및 활용이 중요해졌고, 소비자의 욕구 변화에 따라 제품 수명 주기가 단축되고 다양화되었다. 경기산학융합원은 이런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지역 대학과 연계하여 산업 인재 양...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저소득층 아동과 가정을 위한 사회복지 기관. 드림스타트 사업은 아동의 공평한 양육 여건과 출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0세[임산부]~만12세[초등학생 이하] 아동과 그 가족에게 보건, 복지, 보육을 통합한 전문적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2007년 희망스타트 시범 사업이 16개 시·군·구에서 실시되었고, 2008년 사업명을 희망스타트에...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 있는 시흥 지역 아동을 전문적으로 보호하는 기관. 경기도 내에 아동 보호 전문 기관은 12개소가 있으며 시흥시에는 사회복지법인 굿네이버스 위탁 기관으로 경기시흥아동보호전문기관이 설립되었다. 경기시흥아동보호전문기관은 시흥시와 광명시 아동의 권익 증진과 아동 학대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경기시흥아동보...
-
경기도 시흥시에서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에게 신용보증과 자금을 지원하는 비영리 공공 법인. 경기신용보증재단은 지역신용보증재단법에 의하여 1996년 설립되었다. 경기신용보증재단은 사업성과 기술력은 있으나 담보가 부족해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 조달이 어려운 경기도 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게 신용보증 혹은 자금 지원을 해주는 비영리 공공 법인이다. 1995년 4월에 경...
-
경기도 시흥시 무지내동에 있는 실업계 사립 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 근검, 창의'이다. 교육 목표는 첫째 민주 시민으로서 부끄럼 없는 성실한 인간의 양성, 둘째 항상 새로움을 추구하고 다가오는 정보화 시대에 적응하는 창의적 인간의 양성, 셋째 자기 발전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며 근면하고 검소한 인간의 양성이다. 1920년 경기도 부천군...
-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을 잇는 철교. 소래철교는 시흥시 월곶동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현동에 걸쳐 있는 수인선 철교로 1937년에 설치되었다. 원래 이름은 수인선 철도를 부설한 경동철도주식회사의 이름을 따서 ‘경동철교(京東鐵橋)'라 했는데, 흔히 ‘소래철교'라 불렸다. 수인선 폐선 이후 월곶과 소래포구를 잇는 인도교(人道橋)로 사용되고...
-
경기도 시흥 지역을 통과하는 수원~인천 간 수인선 협궤열차 부설을 위해 1936년 6월부터 1937년 7월까지 1년여 동안 진행된 공사. 수인선(水仁線)은 1937년부터 1995년까지 58년간 수원~인천 간을 운행하던 협궤철도이다. 수인선은 1935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의 허가를 받아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朝鮮京東鐵道株式會社)가 부설하였다. 수인선 시흥 구간...
-
경기도 시흥시를 통과하여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 경부고속철도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역을 잇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경부고속철도 및 호남고속철도의 광명역~오송역 구간을 위해 신설한 KTX 전용 고속 주행 선로이다. 시흥시 구간은 광명역에서 천안아산역을 잇는 구간인 목감동과 조남동을 통과하며 정차역은 없다. 경부고...
-
경기도 시흥시를 통과하여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노선. 경부고속철도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역과 부산광역시 동구 부산역을 잇는 고속철도 노선으로 경부고속철도 및 호남고속철도의 광명역~오송역 구간을 위해 신설한 KTX 전용 고속 주행 선로이다. 시흥시 구간은 광명역에서 천안아산역을 잇는 구간인 목감동과 조남동을 통과하며 정차역은 없다. 경부고...
-
경기도 시흥시 관곡지에 연꽃을 심은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경순(景醇), 호는 사숙재(私淑齋), 운송거사(雲松居士), 국오(菊塢), 만송강(萬松岡). 강희맹(姜希孟)[1424~1483]의 증조할아버지는 강시(姜蓍), 할아버지는 동북면 순무사(東北面巡撫使) 강회백(姜淮伯), 아버지는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강석덕(姜碩德), 어머니는 영의정 심온(沈溫...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서 태어나고 묘소가 있는 일제강점기 문인이자 학자. 권호(權澔)[1886~1956]는 시흥시 하중동 392-1에서 출생하였다. 초명은 대이고 1913년에 ‘호(灝)’로 바꾸었으며 1940년에 다시 ‘호(澔)’로 바꾸었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백헌(伯獻), 호는 우석(又石)·경암(敬菴). 행중추원사(行中樞院事) 권극화(權克和)의 16...
-
현재의 경기도 시흥시 신현동 지역 일대를 1413년부터 1460년까지 관할했던 조선시대 행정구역. 조선 초기 인주(仁州)로 불리던 인천광역시는 1413년(태종 13) 고려 왕실의 잔재 청산과 조선 제3대 왕 태종의 중앙집권 강화를 위하여 경기도 인천군(仁川郡)으로 강등, 축소되었다. 당시 경원부(慶源府)의 옛 이름인 인주의 '인(仁)' 자와 주·부·군·현에 '산(山)'이나 '천(川...
-
경기도 시흥 지역이 속해 있던 시흥군 수암면 3.1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윤동욱(尹東旭)[1891~1968]은 1902년 4월부터 1911년 12월까지 서당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3월 30일 수암면 3.1운동을 주도하고 일제로부터 피체(被逮)되어 옥고를 치렀다. 1996년 8월 15일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 2009년 시흥의 인물로 선정되었다. 본...
-
경기도 시흥 지역에 묘·신도비·서원이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연량(淵亮), 호는 경재(敬齋)·신희옹(新稀翁). 증조할아버지는 찬성사(贊成事) 하즙(河楫), 할아버지는 대사헌 하윤원(河允源), 아버지는 판청주목사(判淸州牧使) 하자종(河自宗), 어머니는 진주 정씨(晋州鄭氏)로 이조판서 정우(鄭寓)의 딸이다. 하연(河演)[1376~145...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상·공업자 등이 경제계 공동의 권리를 대변하고 상호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조직한 단체. 시흥시에는 대규모 산업단지로 시화국가산업단지가 있다. 시화국가산업단지는 안산시와 시흥시 경계에 위치하는데, 행정구역상으로 시흥시 정왕동에 80%, 안산시 신길동에 20%가 조성되어 있다. 시화국가산업단지에는 2015년 12월 말 현재 1만 2759개의...
-
경기도 시흥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재화와 용역의 생산과 분배, 소비와 관련되는 전반적인 활동. 시흥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도농 복합 도시이자 제조업의 비중이 매우 높은 산업 도시이다. 2018년 현재 시흥시는 기존 시화국가산업단지[시화공단]의 구조 고도화, 뿌리 산업 육성, 시화멀티테크노밸리[시화MTV] 활성화, 서울대학교 시흥스마트캠퍼스 유치, 신규 택...
-
경기도 시흥시에 묘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 세종의 여덟 번째 왕자.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염(琰), 자는 명지(明之), 호는 서곡(西谷). 영응대군(永膺大君)[1434~1467]의 증조할아버지는 태조, 할아버지는 태종,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로 청송 심씨(靑松沈氏)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이다. 처음에 여산 송씨(礪山宋氏) 판중추부사(判中...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는 영응대군을 모시는 재실. 경효재(敬孝齋)는 조선 세종의 8남 영응대군(永膺大君)[1426~1467]의 재실로 시호(諡號)인 경효(敬孝)를 취해 명명하였다. 영응대군의 휘(諱)는 염(琰)이다. 1441년(세종 23) 영응대군으로 봉해졌다가 1443년(세종 25) 역양대군(歷陽大君)으로, 1447년(세종 29) 다시 영응대군으로 개봉(...
-
경기도 시흥시 장곡동에서 활동한 조선시대의 문신. 장유(張維)[1587~1638]는 1612년(광해군 4)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으로 파직되어 안산군[지금의 시흥시 장곡동 안골]에 내려와 12년을 살았고 말년을 보냈다. 인조반정으로 등용되어 우의정을 역임하였다. 조선 문학의 사대가(四大家)이며 주자학 중심의 학문적 풍토를 비판하고 양명학에도 조예가 깊었...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자연 마을. 계란마을은 소래산 남쪽 하연(河演) 선생 묘 아래 진양 하씨(晋陽河氏)[진주 하씨(晉州河氏)]들이 세거지를 이루면서 조성된 마을이다. 6.25전쟁 후에는 피란민들이 들어와 정착하였으나, 지금은 원주민들과 정착민들의 일부만 남아 있다. 소래산 남쪽 자락에 조선시대 영의정을 지낸 하연 선생 묘가 있다. 전하는 이...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 설립된 시흥 포도의 원조 포도 농장. 양정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이규석이 1930년대 말 향리(鄕里)인 경기도 부천군 소래면 계수리[지금의 시흥시 계수동] 수노골에 내려와 과수 농원인 계림농원을 설립하였다. 계림농원은 시흥 지역에서 한국인이 경영한 최초의 근대식 포도 재배지였다. 이규석은 인근 주민들에게 포도 심기를 권장하고 재배 기술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서울특별시 구로구 개봉동을 잇는 간선도로. 서해안로는 시화국가산업단지 내 대부도입구사거리를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부천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구로구에 이르며 개봉동 개봉철도 고가차도를 종점으로 한다. 시흥시에서는 정왕동, 월곶동, 신현동, 신천동, 대야동을 지난다. 서해안로는 지리적으로 서해안에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계수동은 시흥시 북쪽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대야동에서 관할한다. 계수동은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이었던 ‘계일’의 ‘계’와 ‘수노골’의 ‘수’ 자를 따서 계수동이라 하였다. ‘계일’은 ‘계림일지(桂林一技)’의 전설을 가진 의미의 지명이고, ‘수노골’은 물이 좋아 장수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계수동은 조선시...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시흥시 계수동 산258-1에서 발견된 고인돌은 바둑판식[남방식] 고인돌로, 매장 주체부가 지하에 있고 거대한 덮개돌이 지상에 드러난 형태이다. 고인돌에서 유물이 직접 발견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주변 구릉지와 인근 안골 일대에서 청동기시대 유물이 수습되는 것으로 보아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거주한 부락이 있었을 것으로...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유물 산포지. 시흥시 계수동 일원에서 구석기시대의 석기가 수습되면서 이곳에 구석기시대 유적이 있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해안 지역에서 인천광역시를 제외한 나머지 경기도 안산시·광명시·시흥시 등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과 유적이 발견된 사례가 적은 상황에서 보고되어 일정 부분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 유물 산포지. 시흥시 계수동 일원에서 구석기시대의 석기가 수습되면서 이곳에 구석기시대 유적이 있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해안 지역에서 인천광역시를 제외한 나머지 경기도 안산시·광명시·시흥시 등지에서 구석기시대 유물과 유적이 발견된 사례가 적은 상황에서 보고되어 일정 부분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 안골에서 장승에 지내는 고사. 시흥시 계수동에서는 199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매년 음력 10월 초순 안골로 들어오는 입구 오른쪽에 있는 계수동 고인돌을 중심으로 안팎에 천하대장군과 지하대장군을 세워 고사를 지냈다. 남자들만 참가한 고사는 선당주와 앉은당주[안당주] 각 1인, 집사 1인, 축관 1인으로 구성된 고사이다. 제물(祭物)로는 밤...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시흥시 계수동 산258-1에서 발견된 고인돌은 바둑판식[남방식] 고인돌로, 매장 주체부가 지하에 있고 거대한 덮개돌이 지상에 드러난 형태이다. 고인돌에서 유물이 직접 발견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주변 구릉지와 인근 안골 일대에서 청동기시대 유물이 수습되는 것으로 보아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거주한 부락이 있었을 것으로...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 있는 수령 500여 년의 향나무. 계수동 향나무는 마을이 형성되기 전부터 지역을 지키고 있으며, 향나무로는 보기 드문 진귀한 수형(樹形)을 유지하고 있다. 학명은 Juniperus chinensis L.이다. 향나무는 변종과 교잡종이 많고 암수딴그루로 4월에 개화하는데, 꽃 색깔은 갈색 혹은 보라색이다. 주로 조경 수종으로...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과 과림동을 잇는 도로. 계수로는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을 통과하여 과림동 과림사거리에 이르는 계수동의 중심 도로이며 계수동의 명칭을 따서 계수로로 명명되었다. 계수동을 관통하여 덕석골, 앞들, 안골, 뒷골, 고갱이, 수노골, 구미동, 적사근들 등의 자연 마을 사람들이 이용하는 주요 도로이다. 계수로는 총연장 3.2㎞이다. 과림저수...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계수동은 시흥시 북쪽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대야동에서 관할한다. 계수동은 이 지역의 자연 마을이었던 ‘계일’의 ‘계’와 ‘수노골’의 ‘수’ 자를 따서 계수동이라 하였다. ‘계일’은 ‘계림일지(桂林一技)’의 전설을 가진 의미의 지명이고, ‘수노골’은 물이 좋아 장수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계수동은 조선시...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향기나는교회는 일제강점기 경기도 부천군 소래면 옥길리[지금의 부천시 옥길동]에서 처음 설립된 후 1953년 부천군 소래면 계수리[지금의 시흥시 계수동]로 이전하였다. 지역에서의 신앙 활동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해외 10개 지역에 교회를 설립하고 선교사를 후원하는 등 활발한 해외 선교 활동을 펼...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 대야동에 걸쳐 있는 저수지. 소래저수지는 약 110m² 규모의 저수지로 '계수저수지'라고도 불린다. 수도권에 가까이 있으며, 수초밭이 잘 발달되어 있다. 소래저수지는 일제강점기 때 농업용수 확보를 목적으로 건립되었다가 현재는 도심 휴식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소래저수지는 1929년에 착공하여 1930년에 준공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과 과림동을 흐르는 지방 하천. 계수천(桂壽川)은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 할미산 남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동남쪽으로 흘러 과림동 덕석골 남쪽 과림저수지를 이룬 후 동쪽으로 흐르다가 목감천과 합류하여 북쪽으로 흐르는 하천으로, 안양천 수계에 포함된다. 계수천 명칭은 하천이 발원한 마을의 명칭인 계수리(桂壽里)에서 유래하였다. 계수리는...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계수초등학교의 교훈은 ‘지혜롭고, 바르고, 튼튼하게 자라자’이다.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 교육 충실로 미래형 학력 신장, 5대 혁신 과제[수업 혁신·교실 혁신·학교 혁신·행정 혁신·제도 혁신] 실천을 통한 신뢰받는 교육 풍토 조성, 보편적 교육 복지 실현으로 공교육비 부담 경감, 세계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 시민...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계수초등학교의 교훈은 ‘지혜롭고, 바르고, 튼튼하게 자라자’이다. 교육 목표는 기초·기본 교육 충실로 미래형 학력 신장, 5대 혁신 과제[수업 혁신·교실 혁신·학교 혁신·행정 혁신·제도 혁신] 실천을 통한 신뢰받는 교육 풍토 조성, 보편적 교육 복지 실현으로 공교육비 부담 경감, 세계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 시민...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산지 간의 통로 역할을 하는 고도가 낮은 부분. 고개란 산의 능선에서 높이가 낮은 부분으로 일찍부터 사람과 물자가 오가는 주요한 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현재는 도로 여건이 개선되어 고개가 교통에서 차지하는 역할은 크지 않은 편이지만, 아직도 일부 지역에서는 산 너머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시흥시는 한반도의 서부에 자리하고 있으...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고등 보통교육 및 실업 전문 교육기관. 1962년 시흥 지역의 첫 고등학교인 군자고등학교[지금의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가 설립되었고, 1981년 소래종합고등학교[지금의 소래고등학교]와 한인고등학교[지금의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가 각각 설립되었다. 2017년 현재 시흥시에는 일반 고등학교 11개교, 특성화 고등학교 4개교, 자율 고등학교 1개교 등 총...
-
고려시대 시흥 지역에서 이루어진 몽고군과의 전쟁. 대몽 항쟁(對蒙抗爭)은 1231년(고종 18)부터 1259년(고종 46)까지 9차례에 걸친 몽골의 고려 침입으로 촉발된 전쟁으로 항몽 전쟁, 여몽 전쟁 등으로도 불리며 한반도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지속된 전쟁이다. 고려시대 대몽 항쟁 중 시흥 지역과 관련이 있는 시기는 몽골군의 6차 침입기인 1256년(고종 43)이고,...
-
918년에서 1392년까지 고려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시흥 역사.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는 고려시대 인주(仁州)와 안산현(安山縣)에 속해 있던 지역이다. 이들 지역의 대표적 지방 지배 세력으로는 인주 이씨 가문과 안산 김씨 가문을 들 수 있다. 개경과 가까웠던 이들 지역의 지역민은 대몽항쟁기에는 몽골군과 전투를 벌이기도 하였으며, 말기에는 왜구의 침입으로 침탈을 당하기도 하였다....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작성된 옛 문서. 현재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고문서[공문서]는 『상서(尙書)』이다. 그리고 한국의 고문서는 일반적으로 1910년대 이전의 문서를 말한다. 고문서는 협의로는 공용(公用) 문서[공적이면서 실용적인 문서]를 뜻하고, 광의로는 문자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매개물[기록물]을 뜻한다. 그리고 이 고문서는 작성 당시 문서의 공권력(公權力)[행정...
-
경기도 시흥시에 분포해 있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까지의 고대 무덤. 고분은 무덤의 일종으로 고고학에서는 일정한 시기와 형식을 갖춘 매장 시설물을 말한다. 무덤은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위생 관념에서 발생한 문화적 소산으로 인류 출현 이후 흔하게 발견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지하에 시신을 매장하고 지상에 흙을 쌓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묘(墓)와 분(墳)을 구분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대야동을 거쳐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군포시를 연결하는 수도권의 도시 순환 고속도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는 경기도 성남시 판교 분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서울특별시, 경기도 하남시·구리시·남양주시·의정부시·양주시·고양시·김포시, 인천광역시를 거쳐 경기도 부천시·시흥시·안산시·군포시·안양시·의왕시·성남시를 순환하는 고속도로이다. 노선 번호는...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과 과림동을 거쳐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광명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는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을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48㎞의 고속도로로 인천광역시, 경기도 시흥시·광명시·안양시·과천시·의왕시·성남시를 지난다. 시흥시는 신천동, 방산동, 은행동, 안현동, 과림동을 지난다. 제2경인고속...
-
경기도 시흥시 죽율동과 월곶동을 거쳐 경기도 안산시에 연결되는 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중 시흥시 구간에는 분기점 1개소와 요금소 1개소가 있으며 나들목[IC]과 휴게소는 설치되지 않았다. 경기도 평택시에서 시흥 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은 서시흥요금소에서 요금을 지불하고 군자 분기점을 통해 영동고속도로와 접속하여 월곶동 고속도로 종점까지 영동고속도로와 중복된다...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과 조남동을 거쳐 경기도 광명시와 군포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을 잇는 총연장 340.6㎞의 고속도로이다. 노선 번호는 15번이다. 경기도 시흥시 구간은 조남동~목감동 구간으로 총 4.4㎞이다. 조남 분기점과 목감 나들목[IC]이 있으며 제한속도는 최고 110㎞/h, 최저 50...
-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군자동을 거쳐 인천광역시 남동구와 경기도 안산시를 연결하는 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는 인천광역시 남동구와 강원도 강릉시를 동서로 잇는 총연장 234.4㎞의 고속도로이다. 노선 번호는 50번이다. 경기도 시흥시 구간은 월곶동~군자동 구간으로 총 7.3㎞이다. 군자 분기점과 군자요금소가 있으며 거의 모든 구간에서 최고 속도를 100㎞/h로 제...
-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의 지명. 고잔(古棧)은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의 지명으로 옛날 배가 닿았던 곳을 말한다. 월곶동은 조선 후기 호구 기록 문서인 『호구총수(戶口總數)』에도 ‘월곶리(月串里)’라는 명칭으로 나올 만큼 연원이 오래된 지명이다. 고잔은 인근 사람들이 인천을 왕래할 때는 반드시 그곳에서 배를 타고 다녔을 만큼 교통의 요충지였다. 상골 서쪽...
-
경기도 시흥시에 묘와 묘갈이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공서(公恕), 호는 고정(古亭). 증조할아버지는 동부승지 김징(金澄), 할아버지는 우의정 김구(金構), 아버지는 영의정 김재로(金在魯),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 심징(沈澄)의 딸이다. 혼인은 세 번 했다. 첫 번째는 전주 이씨(全州李氏) 좌의정 이관명(李觀命)의 딸이고, 두 번째는 달성...
-
경기도 시흥시에 분포해 있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까지의 고대 무덤. 고분은 무덤의 일종으로 고고학에서는 일정한 시기와 형식을 갖춘 매장 시설물을 말한다. 무덤은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위생 관념에서 발생한 문화적 소산으로 인류 출현 이후 흔하게 발견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지하에 시신을 매장하고 지상에 흙을 쌓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묘(墓)와 분(墳)을 구분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과 경기도 안양시 박달동에 걸쳐 있는 고개. 곤두레미고개는 시흥시 목감동과 안양시 박달동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안양시에서 안산시로 연결되는 자동차 도로가 개설되기 이전에는 두 지방을 연결하는 유일한 교통로였다. 예전에는 고개가 있는 곳의 산림이 우거져 험준한 데다 후미진 곳이어서 산적이나 강도 등이 많아 이곳을 지나갈 때는 황급히 서둘러 곤...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과 경기도 안양시 박달동에 걸쳐 있는 고개. 곤두레미고개는 시흥시 목감동과 안양시 박달동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안양시에서 안산시로 연결되는 자동차 도로가 개설되기 이전에는 두 지방을 연결하는 유일한 교통로였다. 예전에는 고개가 있는 곳의 산림이 우거져 험준한 데다 후미진 곳이어서 산적이나 강도 등이 많아 이곳을 지나갈 때는 황급히 서둘러 곤...
-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과 경기도 안양시 박달동에 걸쳐 있는 고개. 곤두레미고개는 시흥시 목감동과 안양시 박달동의 경계에 있는 고개로 안양시에서 안산시로 연결되는 자동차 도로가 개설되기 이전에는 두 지방을 연결하는 유일한 교통로였다. 예전에는 고개가 있는 곳의 산림이 우거져 험준한 데다 후미진 곳이어서 산적이나 강도 등이 많아 이곳을 지나갈 때는 황급히 서둘러 곤...
-
경기도 시흥시와 시흥 주민들의 공적 이익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 일반적으로 공공 기관이란 공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기관을 통칭한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공무를 수행하는 관공서는 물론 공기업, 준정부 기관, 준정부 조직까지 포함하는 기관이다. 시흥시에 소재한 공공 기관은 크게 시흥시청과 시흥시청 산하에 동주민센터 등과 같은 지방행정 기관, 경찰 관서·소방...
-
경기도 시흥시에서 공자를 시조로 하는 전통적인 사상을 중심으로 한 학문 또는 종교. 유교란 유학을 종교적인 관점에서 부르는 말로, 공자(孔子)를 시조(始祖)로 하는 중국의 대표적 사상이며 공교(孔敎) 또는 공자교(孔子敎)라고도 부른다. 인(仁)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 이념으로 삼고 수신(修身), 제가(諸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경...
-
경기도 시흥시에서 하는 공놀이 경기의 일종. 얼레공놀이는 넓은 마당이나 들판에서 양편으로 나눈 다음, 나무채를 이용해서 상대편 골문에 공을 넣는 놀이다. 얼레공놀이는 지상에서 도보로 행했던 격구(擊毬)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는 놀이라고 하며 '장치기'나 '공놀이'라고도 불린다. 유사한 용어로는 타구(打毬), 봉희(棒戲) 등이 있다. 공은 주로 나무를...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을 잇는 도로. 공단대로는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로 구성되어 시화지구 내 격자형 도로의 중심을 이루며 시화지구 내 가로축 교통을 담당한다. 시화국가산업단지 내를 가로지르는 도로라는 의미로 공단대로라는 명칭이 부여되었으며, 공단 초입에서부터 순서대로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라고...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을 잇는 도로. 공단대로는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로 구성되어 시화지구 내 격자형 도로의 중심을 이루며 시화지구 내 가로축 교통을 담당한다. 시화국가산업단지 내를 가로지르는 도로라는 의미로 공단대로라는 명칭이 부여되었으며, 공단 초입에서부터 순서대로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라고...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을 잇는 도로. 공단대로는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로 구성되어 시화지구 내 격자형 도로의 중심을 이루며 시화지구 내 가로축 교통을 담당한다. 시화국가산업단지 내를 가로지르는 도로라는 의미로 공단대로라는 명칭이 부여되었으며, 공단 초입에서부터 순서대로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라고...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성곡동을 잇는 도로. 공단대로는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로 구성되어 시화지구 내 격자형 도로의 중심을 이루며 시화지구 내 가로축 교통을 담당한다. 시화국가산업단지 내를 가로지르는 도로라는 의미로 공단대로라는 명칭이 부여되었으며, 공단 초입에서부터 순서대로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라고...
-
경기도 시흥시에 묘와 묘갈이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공서(公恕), 호는 고정(古亭). 증조할아버지는 동부승지 김징(金澄), 할아버지는 우의정 김구(金構), 아버지는 영의정 김재로(金在魯), 어머니는 청송 심씨(靑松沈氏) 심징(沈澄)의 딸이다. 혼인은 세 번 했다. 첫 번째는 전주 이씨(全州李氏) 좌의정 이관명(李觀命)의 딸이고, 두 번째는 달성...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국가나 지방공공단체가 공중의 보건·휴양·놀이 따위를 위하여 마련한 정원, 유원지, 동산 등의 사회시설. 시흥시는 서해 바다와 저수지, 오이도, 시흥갯골 등 수려한 자연경관을 보유한 도농 복합 도시로 면적의 64.4%가 개발제한구역으로 자연녹지이다. 그만큼 자연녹지가 잘 보존되어 특색 있는 테마 공원들이 조성되어 있으며, 역사 문화 유적지도...
-
경기도 시흥시에서 공자를 시조로 하는 전통적인 사상을 중심으로 한 학문 또는 종교. 유교란 유학을 종교적인 관점에서 부르는 말로, 공자(孔子)를 시조(始祖)로 하는 중국의 대표적 사상이며 공교(孔敎) 또는 공자교(孔子敎)라고도 부른다. 인(仁)을 모든 도덕을 일관하는 최고 이념으로 삼고 수신(修身), 제가(諸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경...
-
경기도 시흥시에 10년 이상 거주한 여성들로 구성된 6명의 여행 디자이너들이 설립한 주민 여행사. 공정 여행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대등한 관계를 맺는 공정 무역[fair trade]에서 따온 개념이다. ‘착한 여행’이라고도 한다. 공정 여행을 통해 현지인이 운영하는 숙소를 이용하고, 현지에서 생산되는 음식을 구입하는 등 지역사회를 살리자는 취지도 담고 있다. 국내에서도 봉...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있는 기독교 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과림교회는 일제강점기부터 신앙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6.25전쟁 때 예배당을 건립해 독립 교회가 되었다. 이후 시흥시 과림동 지역 최초의 유아 교육 시설을 개설하는 등 지역 교육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지금도 지역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하는 등 교육 지원 사업에 힘쓰고 있으며 해외 선교와 음악 활동도...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있는 기독교 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과림교회는 일제강점기부터 신앙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6.25전쟁 때 예배당을 건립해 독립 교회가 되었다. 이후 시흥시 과림동 지역 최초의 유아 교육 시설을 개설하는 등 지역 교육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지금도 지역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하는 등 교육 지원 사업에 힘쓰고 있으며 해외 선교와 음악 활동도...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과림동은 시흥시 동부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법정동인 무지내동을 관할한다. 과림동은 옛 지명인 목과(木果)의 ‘과' 자와 중림(重林)의 ‘림' 자를 따서 지은 지명이다. 과일나무가 많고 숲이 우거진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과림동은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황등천면 일리, 이리, 삼리였다. 1...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 부라위마을에서 지내는 공동체 의례. 시흥시 과림동 과림3통 부라위마을은 전주 이씨(全州李氏)들의 집성촌이다. 마을 주변 산과 광명시 노온사동 아방리 뒷산의 기슭에도 부라위마을 전주 이씨의 선산이 있다. 부라위마을 앞산의 바위가 소의 뿔처럼 생겨 '뿔바위'라고 부르다가 후대로 내려오면서 부라위가 되었다. 뿔바위[각암(角巖)]는 본래 두 개가...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과 계수동 안골 주민들이 신안 주씨 3대가 베푼 자선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와 비각. 신안 주씨 삼세 적선비(新安朱氏三世積善碑)는 시흥시 과림동 출신의 주석범(朱錫範)[1815~1880], 주순원(朱順元)[1836~1895], 주인식(朱寅植)[1862~1952]과 주영식(朱永植)[1867~1952] 등 신안 주씨 3대가 마을에 자선을 베풀...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 과림동은 시흥시 동부에 있는 행정동이자 법정동으로 법정동인 무지내동을 관할한다. 과림동은 옛 지명인 목과(木果)의 ‘과' 자와 중림(重林)의 ‘림' 자를 따서 지은 지명이다. 과일나무가 많고 숲이 우거진 마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과림동은 조선시대에는 인천부 황등천면 일리, 이리, 삼리였다. 1...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소속 교회. 과림리장로교회는 일제강점기인 1938년 4월 5일 경기도 부천군 소래면 옥길리[지금의 부천시 옥길동] 심씨네 사랑방에서 예배를 드리며 설립된 옥길리교회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옥길리교회는 이후 1953년 3월 부천군 소래면 계수리[지금의 시흥시 계수동]로 이전하여 23평[약 76㎡] 규모의 교회...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소속 교회. 과림리장로교회는 일제강점기인 1938년 4월 5일 경기도 부천군 소래면 옥길리[지금의 부천시 옥길동] 심씨네 사랑방에서 예배를 드리며 설립된 옥길리교회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옥길리교회는 이후 1953년 3월 부천군 소래면 계수리[지금의 시흥시 계수동]로 이전하여 23평[약 76㎡] 규모의 교회...
-
경기도 시흥시 과림동에 있는 저수지. 과림저수지는 경기도 시흥시가 친환경적 수변 공간으로 개발해 시민들의 휴식 공간 및 학습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는 저수지 중 하나이다. 경기도 부천시·광명시와 인접해 있으며, 인근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여 받아들이고 있다. 주변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정비하여 자연 생태 저수지로 관리하고 있다. 수질이 좋아 낚시꾼들에...
-
경기도 시흥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연과학, 응용과학, 공학 및 생산기술의 총칭. 경기도 시흥시는 농업과 수산업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이었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공업 도시로 바뀌었다. 1990년대 중반 정부에서는 서울에 밀집된 공장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려 시화국가산업단지 등을 조성하였다. 이에 시흥시는 공업 도시로 급성장하였다. 특히 조립,...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조선 세조 때 조성된 연못. 관곡지(官谷池)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연못으로 조선 세조 때 강희맹(姜希孟)이 명나라 난징[남경(南京)]에서 가져온 연꽃을 심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를 계기로 조선시대 시흥 지역이었던 안산군의 별호를 ‘연성(蓮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시흥시 하중동은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안산군 초산면...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서 하상동을 잇는 지방 도로. 관곡지로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시흥대로와 만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하상동에 이르러 연성로와 만나는 지점을 종점으로 한다. 하중동과 하상동 택지를 우회해서 지난다. 관곡지로라는 명칭은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관곡지(官谷池)에서 유래하였다. 관곡지는 시흥시 향토유적 제8호로 강희맹(姜希孟)이 146...
-
경기도 시흥시의 다양한 자원을 활용하여 방문객들의 참여를 통해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 시흥시는 2020년 경기 개발 계획에 맞추어 서해안 해양 생태 관광을 중심에 두고 도시·문화·자연 자원을 잘 활용할 수 있는 관광을 제공하고 있다. 시흥시의 관광 슬로건인 ‘시흥의 늠내길과 함께 건강과 여유를 찾으세요, 건강한 즐거움이 있는 늠내골로 오세요.’, ‘...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과 산현동에 걸쳐 있는 산. 관모산(冠帽山)은 높이 162m의 산으로 경기도 시흥시의 자연 마을인 광석동의 사티골과 나분들, 산현동의 골월과 사티골, 능곡동의 목실과 능골 등에 걸쳐 있는 산이다. 능선의 낮은 부분에 고개를 만들어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던 비교적 규모가 큰 산이다. 흥부저수지[물왕저수지] 제방 남쪽에 있는 ‘골월’이...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과 산현동에 걸쳐 있는 산. 관모산(冠帽山)은 높이 162m의 산으로 경기도 시흥시의 자연 마을인 광석동의 사티골과 나분들, 산현동의 골월과 사티골, 능곡동의 목실과 능골 등에 걸쳐 있는 산이다. 능선의 낮은 부분에 고개를 만들어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던 비교적 규모가 큰 산이다. 흥부저수지[물왕저수지] 제방 남쪽에 있는 ‘골월’이...
-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에 자리한 활터이자 활터에 소속된 궁사들의 단체. 관무정(観武亭)은 시흥시에서 가장 오래된 활터로 수원시 화성 연무정(鍊武亭) 다음으로 경기도 내에서 오래된 사정(射亭)이다.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오는 수원시 화성 연무정(鍊武亭) 다음으로 경기도 내에서 오래된 사정(射亭)으로 알려져 있다. 관무정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대한궁도협회의 「1...
-
경기도 시흥시 논곡동과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을 잇는 도로. 광명로는 경기도 시흥시 논곡동 논곡삼거리를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광명시 광명동 개봉교를 잇는 도로이다. 광명로는 대부분 구간이 광명시를 지나므로 광명로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광명로의 전체 구간은 9.73㎞이며 시흥시 구간은 논곡동과 무지내동을 지나 시흥 시계에 이르는 약 0.58...
-
1900년 지금의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양안 작성을 위해 진행되었던 근대적 토지 조사 사업. 대한제국 고종 황제의 명에 의하여 1899년부터 1901년에 걸쳐 충청남도와 경기도의 실제 토지 측량 작업이 진행되었고, 양전(量田)에 토대한 양안(量案)[조세 부과를 목적으로 전지를 측량하여 만든 토지대장]이 만들어졌다. 지금의 경기도 시흥 지역은 당시 안산군과 인천부에 속해...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광석동은 시흥시 중남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연성동에서 관할한다. 광석동의 명칭은 마을 앞이 넓은 들판이므로 ‘넓은들’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광석동은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초산면 광석리와 하하리였다. 1912년 2월 5일 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7호로 안산군 내 동리의 구역과 명칭을 변경할 때 광석리...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 나분들에서 지내는 공동체 의례. 시흥시 광석동 나분들 산고사는 마을에서 보이는 두 산의 산신령에게 지낸다. 산은 마을 뒷산인 광석산과 마을 우측에 있는 갈미산에서 뻗어 있는 산줄기이다. 점집에 가서 물어보아 운수가 좋은 사람을 골라 보름 전에 당주(堂主)를 정하였다. 제일(祭日)은 동짓날 새벽으로 2~3시쯤 산에서 제를 지낸다. 제물(祭物...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 둔대곡에서 동네 사람들이 도당에 모여 그 마을의 수호신에게 복을 비는 굿. 일제강점기까지 시흥시 광석동 둔대곡에서는 도당굿(都堂-)을 지내다가 그 후 고사식으로 바뀌었다. 굿을 할 당시에는 하중동에 살던 큰 만신(萬神)[무녀]을 당골로 삼아 제의(祭儀)를 주관하게 하였다. 당시 동원된 무당 일행은 10여 명이 되었으며 당 앞에는 벼 한 섬을 묶어다...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의 자연마을인 둔터골에서 모내기와 김매기 때 활동했던 공동 노동 조직. 시흥 지역의 논은 크게 방죽논과 물논으로 나눌 수 있다. 방죽논은 바닷가의 방죽을 막아서 물을 안정적으로 쓸 수 있는 논이며, 물논은 빗물에 의지한 천수답(天水畓)을 말한다. 방죽논은 주로 은행동, 미산동, 광석동, 도창동, 매화동, 하상동 등의 호조벌 일대와 장현동,...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광석동은 시흥시 중남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연성동에서 관할한다. 광석동의 명칭은 마을 앞이 넓은 들판이므로 ‘넓은들’이라 한 데서 유래하였다. 광석동은 조선시대에는 안산군 초산면 광석리와 하하리였다. 1912년 2월 5일 조선총독부 경기도 고시 제7호로 안산군 내 동리의 구역과 명칭을 변경할 때 광석리...
-
경기도 시흥시 능곡동에 있던 옛 시장. 시흥시 능곡동[능곡동·화정동], 연성동[하중동·하상동·광석동·장현동], 장곡동, 군자동[군자동·거모동], 월곶동 일대의 주민들이 이용하던 옛 시장으로 축산물의 거래가 많았다. 능곡 삼거리마을[지금의 능곡동 삼거리] 옛 정미소 자리 주변 장터는 장의 중심지로 특별히 '장마당'이라 불렀다. 삼거리장(三巨里場)의 유...
-
경기도 시흥시의 도로에서 강이나 하천과 같은 자연적 장애물을 건널 수 있게 해주는 시설물. 시흥시에 부설된 교량은 2016년 기준으로 207개소가 있으며 교량의 총길이는 24.7㎞에 달한다. 고속국도에 설치된 교량이 119개소로 가장 많다. 시도에 설치된 교량이 46개소, 지방도에 설치된 교량이 32개소, 일반 국도에 설치된 교량이 10개소가 있다. 가장 길이...
-
경기도 시흥시 무지내동에서 출생한 일제강점기 종교인이자 교육자.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지석(芝石)·교원(敎源). 경기도 부천군 소래면 무지리 438[지금의 시흥시 무지내동 428]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김용수(金龍洙), 어머니는 이씨(李氏)이다. 아들은 민선 인천시장과 국회의원을 역임한 김정렬(金正烈)이고, 사촌형은 시흥시 관내 최초의 기독교인 김동현(金東賢)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