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900467 |
---|---|
한자 | 鳥南洞-土器散布地 |
영어공식명칭 | Jonam-dong Non-decorative Earthenware Site |
이칭/별칭 | 조남동 무문토기 유물 산포지,조남동 청동기시대 유물 산포지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유물 산포지 |
지역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방문식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98년 8월![]() |
---|---|
소재지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306-220 일대![]() |
성격 | 유물 산포지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의 청동기시대 유물이 발견된 장소.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는 고속도로를 건설하면서 방치된 접속부의 경계면에서 발견되었다. 1998년 기전문화재연구원[지금의 경기문화재연구원]에서 민무늬토기 조각과 돌도끼 등 청동기시대 유물을 수습하고 유물 산포지로 보고된 이래 후속 조사는 없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유적의 범위나 유구(遺構)의 형태 그리고 청동기시대 문화층에 대한 자세한 보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는 시흥시 조남동 306-220 일대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와 서울~안산간 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 부근에 있다. 유물 산포지 위쪽으로 높이 97m의 평탄한 구릉이 북동쪽으로 이어져 있다. 이 구릉이 유적의 중심지로 판단되나 정작 지표에서는 유물이 발견되지 않아 확실한 범위는 알 수 없다.
시흥시 조남동의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 유물 산포지는 1998년 8월에 기전문화재연구원에서 실시한 '시흥시 광역 정밀 지표 조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2000년 관련 보고서가 발간되었고, 조남동에 있는 유물 산포지 6곳과 고인돌 1기가 보고되었다. 이 중 청동기시대 유적은 1곳이고,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 서남쪽으로 약 750m 떨어진 지점에 한양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이전 복원된 조남리 지석묘가 있다. 이 외에도 조남동에서는 유물 산포지가 5곳이 발견되었는데 백자(白瓷)와 기와 등이 발견되어 조선시대 유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의 유물은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와 서울~안산간 고속도로가 만나는 지점의 단면부에서 발견되었는데, 유적의 중심지는 유물 산포지 위 북동쪽으로 연결되는 높이 97m의 평탄한 구릉으로 여겨지나 추가 유물이 지표에서 수습되지 않아 확실한 범위는 알 수 없다.
수습된 유물은 민무늬토기 조각과 돌도끼[석부(石斧)]이다. 민무늬토기 조각은 구연부(口緣部)[아가리]와 동체부의 입부(入部)가 확인되었다. 토기 조각의 내면과 외면은 흑갈색·회갈색·적갈색 등의 갈색 계통이고, 속심은 흑회색, 태토(胎土)[바탕흙]는 굵은 석영립(石英粒)과 세사립(細砂粒)이 혼입되었다. 유물의 작은 조각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성형이나 마무리 조정 방식 등은 확인하기 어렵다. 돌도끼는 화강암계 석질로 만들었으며, 전체적으로 장방형(長方形)[직사각형]으로 윗부분은 약간 둥글고 날 부분인 아래쪽은 부채꼴 모양이다. 앞면은 일부 훼손되었고, 날을 중심으로 양쪽을 때려 뾰족하게 만들었으나 조잡하다.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는 도로 공사가 시행되면서 유적의 원래 형태가 훼손되었고, 관련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유적의 범위나 유구의 형태·문화층은 확인할 수 없는 형편이다.
조남동 민무늬토기 산포지는 유구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고 지표의 유물만으로 추측된 유적이란 점에서 다른 유적에 비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관련 유물이나 유적에 대한 기록이 소략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정보가 소실되어 가는 형편이다. 그러나 유물 산포지는 선사시대에도 시흥 지역에 일정한 문화를 지니고 살아가던 사람들에 대한 기록이다. 그러므로 이 기록을 촘촘히 모은다면 좁은 지역과 낮은 단계의 문화상을 통시적적으로 복원할 수 있고 지역 정체성의 뿌리를 찾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