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울마을 정제두 선생의 가르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1612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 가래울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원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17년 11월 15일 - 추곡 정제두 선생 유허비 건립
추곡 정제두 선생 유허비 -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 735 지도보기

[개설]

중국 양명학을 발전시킨 추곡(楸谷) 정제두(鄭齊斗)[1649~1736]는 20년간 안산군 인화면 화정리[지금의 시흥시 화정동] 가래울마을에 거주하면서 실심실학(實心實學)의 체계를 세우고 학문에 정진하여 한국 사상사에 심학(心學)의 뿌리를 내렸다. 홀로 있을 때일수록 생각을 방종하지 않게 삼가 하면서도 타인에게는 친절하게 해야 하며 상황에 따른 권도(權道)의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등의 가르침을 후대에 남겼다.

[욕심 없는 참된 공부]

추곡 정제두는 아버지를 일찍 여의었지만 어른의 가르침에 순종하면서 성장하였다. 「행장(行狀)」 기록에 의하면 그는 어른의 가르침에 조금도 뜻을 어기거나 거스른 적이 없었다. 백부(伯父) 정창징(鄭昌徵)은 “오! 어린애가 이와 같음이 있겠는가!”라고 감탄하였다. 할아버지 정유성(鄭維城)이 진귀한 완구(玩具)를 가지고 놀게 하였는데, 가지고 놀다가 얼마 후 곧 제자리에 갖다 놓는 모습을 보고는 탄식하며 “세상에 재물 얻기를 탐내는 이들 중에는 이 아이를 부끄러워할 자가 많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정제두는 스스로 조심하고 경계하는 신독(愼獨)의 자세를 어려서부터 지녔다. 그리고 “근본이란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 있는 것이며,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은 홀로를 삼가는 데[愼獨] 있는 것이다. 『대학(大學)』의 성의정심(誠意正心)과 『중용(中庸)』의 계신공구(戒愼恐懼) 공부도 같은 맥락으로 진실로 심력(心力)을 굳게 써서 노맥(路脈)을 찾아 향한다면 크나큰 근본이 저절로 설 것이다.”라는 가르침을 주었다. 1728년(영조 4) 『주자봉사(朱子封事)』를 강연하는 자리에서 임금 앞에서 설파한 교훈이었다. 이는 치양지(致良知)에 있어서 홀로 있는 때에 임정종욕(任情從慾)을 경계하고 조심하는 것이 공부의 근본임을 말한 것이다.

그는 실학을 추구하였다. 20세 전후로 여러 차례 초시(初試)에 합격하였지만 기뻐하지 않았다. 형제가 모두 관직에 나아가 이욕(利欲)을 얻는 것이 옳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아우) 제태(齊泰)는 넉넉히 과거에 합격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형제가 모두 이욕에만 일삼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청하오니, 지금부터 과거 공부를 그만두어도 좋겠습니까?”라고 말하자 모친은 승낙하였고, 학문에만 몰두할 수 있었다. 입신출세보다는 진실과 성실한 삶에서 가치를 찾은 것이다.

그는 오직 ‘실(實)’이란 글자 하나를 추구하였다. 진실한 충성, 진실한 효도, 참된 치지(致知), 참된 격물(格物)을 추구한 것이다. “성인(聖人)이 실학(實學)을 얻지 못하고 한갓 허울 좋은 겉 문화(文華)만 숭상하는 것은 학문하는 방법이 아니다.”, “끝내 실학을 폐지하지 말 것이며 또한 경서(經書)는 모름지기 정히 배우고 관통하여 시속 무리들이 섭렵, 노망하는 것과 같이 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하곡의 학문을 ‘실(實)’로 축약한 말이다.

‘실’이란 ‘무사욕(無私欲)’의 참된 모습이다. 왕양명(王陽明)이 “마음에 사욕으로 가려진 것이 없다면 곧 그것이 천리(天理)니 밖으로부터 더 보탤 것이 없다. 이처럼 천리에 순일(純一)한 마음으로 어버이를 섬기면 그것이 곧 효(孝)고, 군주를 섬기면 곧 충(忠)이고, 벗을 사귀고 백성을 다스리면 그것이 곧 신(信)과 인(仁)이다.”라고 하였는데, 정제두도 사욕이 없는 순일한 상태[實心]를 강조하였다.

[원칙과 융통의 조화]

큰어머니인 홍씨 부인은 일찍이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나는 아직 아무개가 남의 과실을 말하는 것을 듣지 못하였는데 젊은 사람으로서 참으로 쉽지 않은 것이다.” 정제두는 남의 과실을 조금도 언급하지 않았을 뿐더러 자녀들에게도 경계하며 이를 공부의 기본 도리로 훈계하였다. 그는 남과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생각도 갖고 있었다. 자제들을 훈계하면서도, “비록 남의 과실을 들었다고 하더라도 절대로 그 말을 전하여 말하여서는 아니 되거늘 어찌 공부하는 데 있어서 다른 사람을 점검하겠는가?”라고 하였다.

또 “요즘 벼슬하는 사람들을 보면 남과 서로 비교하여 말하기를 좋아하는데, 이것은 심히 옳지 못한 일이다. 옛사람은 ‘잘못을 범해도 따지지 않았다.’는 뜻을 속 깊이 간직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정제두가 살던 곳에는 옛적부터 말을 기르던 곳이 있었는데, 관청은 그곳에 백성들이 경작하며 살도록 허가하였다. 또 관청에서 새로 쌓은 둑이 있는데, 사람들이 많이 몰려가서 다투어 차지할 계책을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정제두는 집종들에게 일체 금지시켜 한 이랑[畝]의 땅도 못 갈게 하였다.

뒤에 태복관(太僕官)이 시찰 와서 추곡의 집을 지목하여 차지한 땅이 많을 것이라고 의심하였다. 다른 사람들에게 “모(某)[정제두]가 경작한 땅이 얼마쯤 되는가?”라고 물었다. 사람들은 대답하기를, “처음부터 들어가서 경작한 일이 없습니다.”고 하자 태복관은 매우 부끄러워하고 감복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그리고 정제두는 평소 사람들을 깍듯이 대하였고 집안 하인들에게도 손수 모범을 보였다. “종을 부릴 적에는 주인을 위해서 애씀이 많으니 형벌로 몰아치면 안 되며 좋은 말로 순순하고 친절하게 가르치고 타일러서 저절로 감복하게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동시에 정제두는 맹자의 권도를 인용하며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처를 말하였다. “맹자는 ‘남녀 간에 물건을 손으로 주고받지 않는 것은 예(禮)요, 형수가 물에 빠졌을 때 손으로 끌어내는 것은 권(權)이다.’고 하였다.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歲不同席)’이 윤리 규범이었기에 그를 예(禮)라고 하지만, 절박한 상황에서는 예외를 인정할 수 있다.”라며 권도를 주장하였다. 교조적인 성리학의 예법주의를 권도로 보완한 것이다.

정제두는 의리(義理)를 추구하는 경도(經道)를 버린 것은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권도도 역시 중요한 요소로 파악하였다.

[양명학에 대한 해석]

양명학은 양지학(良知學)이라고 말할 정도로 양지(良知)는 핵심 개념이다. 정제두는 치양지(致良知)를 지행합일(知行合一)과 묶어 이해하였다. 부모와 자녀 간의 사랑과 공경도 선천적 양지론과 실천적 지행합일로 해석하였다. 또한 맹자의 양지와 양능(良能)을 계승하였다.

맹자는 “사람이 배우지 않고도 능한 것을 양능이라 하고, 생각하지 않아도 아는 것을 양지라 한다.”라고 하였다. 정제두는 “앎[知]과 행(行)함은 양지에 이르는 것이요, 양능에 이르는 것이요, 밝음에 이르는 것이요, 성실(誠實)에 이르는 것이요, 박학(博學)에 이르는 것이요, 독행(篤行)에 이르는 것이다. 지(知)에 치(致) 자를 더하고 행(行)에 독(篤) 자를 더하면 그 체(體)는 하나이다.”라고 하였다.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둘일 수 없다. 앎[知]을 말할 때에는 이미 행(行)이 존재한다는 것이고, 행을 말할 때에는 이미 거기에 앎[知]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은 이미 그 사람은 효를 행한 경험이 있다는 것이고, 효를 실천한다는 것은 이미 그 사람이 효를 안다는 것이다. 정제두는 맹자의 양지설을 계승하였다.

주자학은 양지를 마음의 지각 작용으로만 간주하지만, 정제두와 왕양명에게 양지는 마음의 본체[心體]인 천리(天理)인 동시에 시비(是非)를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이었다. 정제두는 왕양명과 양지의 공부 문제에서 양지체용론(良知體用論)을 제시하였다. 양지의 지(知)는 사람의 삶의 근거가 되는 생명의 원리[生理]로서 마음의 본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 생리(生理)가 명각(明覺)의 기능을 지녀 어디에나 두루 통하고 밝게 한다고 하였다.

정제두는 양지를 측은지심(惻隱之心) 혹은 인(仁)으로 보았다. 측은지심을 사람을 살리는 길[生道]이라고도 하였다. 양지를 천리로 보는 중국 양명학을 발전시킨 것이다. 또, 그는 “왕양명의 설에서는 양지를 마음의 본체라 하고, 또 양지의 정성스럽고 측은해하는 마음을 인(仁)이라고 말합니다. 양지는 마음의 본체 전부를 말하며 사려(思慮)나 찰식(察識) 같은 일부분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대개 사람의 생리는 밝게 깨닫는[明覺] 바가 있으면 측은(惻隱), 수오(羞惡), 사양(辭讓), 시비 모두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라고 하며 양지체용도(良知體用圖)를 만들었다.

정제두는 『대학』의 ‘친민(親民)’을 ‘신민(新民)’이라 해석한 주자를 비판하며 왕양명을 두둔하였다. ‘친(親)’은 말 그대로 가까이 하는 것이다. 『대학』에서 말하는 정치 교화의 기본 원리가 ‘학(學)’이 아닌 효도·공손·자애로 이루어지는 ‘친(親)’이라고 하였다. 가(家), 국(國), 천하(天下)를 잇는 연결 끈이 ‘친(親)’이며 ‘친’이란 백성을 바른 길로 이끄는 길이라고 하였다. 또한 『대학』의 팔조목인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는 상호 관계를 가까이 하도록 스스로 힘써야 하는 것이라고 왕양명과 같이 생각하며 실천하였다.

[정제두 선생의 가르침]

2017년 11월 15일 경기도 시흥시 화정동 735 가래울마을추곡 정제두 선생 유허비가 세워졌다. 한국 양명학의 대종사(大宗師)로 불리는 정제두는 20년간 가래울마을에 거주하면서 실심실학의 체계를 세웠다. 평생을 성심으로 학문에 정진하여 한국 사상사에 심학의 뿌리를 내렸다. 그리고 친민의 덕을 실심으로 실천한 정제두는 타인의 흉을 보지 않고, 스스로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홀로 있을 때일수록 생각을 방종하지 않게 삼가 하면서도 타인에게는 친절하게 해야 하며 상황에 따른 권도의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는 등의 가르침을 후대에 남겼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