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901222 |
---|---|
한자 | 將帥-籠-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경기도 시흥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덕묵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88년 - 「장수가 옷을 숨긴 농바위」 『시흥군지』에 수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1995년 - 「장수가 옷을 숨긴 농바위」 『시흥의 생활문화와 자연유산』에 수록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0년 - 「장수가 옷을 숨긴 농바위」 『시흥시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수록 |
관련 지명 | 농바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사래이마을
![]() |
성격 | 장수 무용담 |
주요 등장 인물 | 사래이마을 사람|장수 |
모티프 유형 | 활 솜씨가 뛰어난 장수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사래이마을에 있는 농바위에 얽힌 이야기.
시흥시 정왕동 사래이마을 뒷산 봉우리 사이 두 개의 바위에 얽힌 전설이다. 이 바위가 장롱처럼 생겨서 농바위라고 하는데, 사래이마을 출신 장수가 농바위에 옷을 벗어 두어 주민들이 바위 속에 넣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장수가 옷을 숨긴 농바위」는 1988년 시흥군이 편찬한 『시흥군지』, 1995년 시흥시에서 편찬한 『시흥의 생활문화와 자연유산』, 2000년 시흥시와 기전문화재연구원에서 편찬한 『시흥시의 역사와 문화유적』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어느 난리 중에 사래이마을 출신의 한 장수가 마을 뒷산의 봉우리와 봉우리 사이에 자리 잡은 두 개의 널찍한 바위에 옷을 벗어 개 놓고는 군복으로 갈아입고 바다 가운데 옥구도(玉鉤島)까지 몸을 피하여 나갔다. 장수는 섬에서 활을 쏘면서, “지금 쏘는 화살은 이곳으로 떠나올 때 저 육지에 벗어 놓은 옷을 맞출 것이고, 나중에 돌아가서 다시 그 옷을 바꿔 입을 것이니 아무도 건드리지 말라.”고 하였다.
화살은 바다를 건너 옷이 놓인 바위에 닿아 벗어 놓은 옷 위에 떨어졌다. 사람들이 감탄하여 그 옷을 고이 간직하고자 그 바위를 들고 보니 밑이 텅 비어 있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옷을 잘 개어 그 속에 넣어 두고 다시 바위로 덮어두었다. 그런데 난리가 끝나고도 장수는 되돌아오지 않았다. 지금도 그 바위는 예전 그대로의 모습이고 아무도 바위를 들어보거나 쪼개지 못하여 아직도 속에는 옛날 장수가 입었던 옷이 고스란히 간직되어 있는 것으로 여긴다. 이 바위를 농바위 혹은 장롱바위라고 부른다.
마을 뒷산의 농바위 혹은 장롱바위에 얽힌 장수의 옷과 활 솜씨가 뛰어난 장수에 관한 이야기이다. 장롱처럼 생긴 바위를 소재로 하여 그 속에 장수의 옷이 있다는 전설을 모티프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