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900445 |
---|---|
한자 | 李夏輔墓 |
영어공식명칭 | Tomb of Lee Habo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경기도 시흥시 물왕동 산34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창현 |
조성 시기/일시 | 1716년![]() |
---|---|
조성 시기/일시 | 1727년![]() |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 1652년 - 이하보 출생 |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 1716년 - 이하보 사망 |
현 소재지 |
경기도 시흥시 물왕동 산34
![]() |
성격 | 묘소 |
양식 | 원형 쌍분 |
관련 인물 | 이하보 |
경기도 시흥시 물왕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이하보의 묘.
이하보(李夏輔)[1652~1716]의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우경(禹卿)이다. 아버지는 용양위부사과(龍驤衛副司果) 이광원(李光遠), 어머니는 김해(金垓)의 딸이다. 1697년(숙종 23) 문음(門蔭)으로 참봉(參奉)에 보임되고, 제용감(濟用監)·상서원(尙書院)·태복시(太僕寺)·의금부(義禁府)의 여러 관직을 거쳐 평택현감이 되었다. 평택현감으로 재임 중 선정을 베풀어 경기도관찰사가 그의 치적을 숙종에게 상소하여 옷감 한 벌을 하사받았다. 부모를 섬김에 효성스럽고 조상을 받드는 일에 정성스러웠으며, 친구를 대할 때는 우정이 두터웠고, 자손들을 가르칠 때는 태도가 엄정하였다고 한다.
경기도 시흥시 물왕동 산34 있다. 흥부저수지[물왕저수지]에서 금이동으로 넘어가는 도리재의 기와집 식당 뒤편 언덕 중턱에 남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부인과 쌍분(雙墳)이다. 봉분은 근래 원형의 호석(護石)을 둘렀고, 봉분 앞에 묘비·상석·향로석이 있으며 좌우로 문인석과 망주석이 있다. 복두(幞頭)를 쓴 높이 1.36m의 문인석은 묘를 새로 단장하면서 후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팔각의 높이 1.61m의 망주석은 별다른 장식을 하지 않고 원형 고리만 돋을새김하였다.
1727년(영조 3) 세운 묘비가 있다. 묘비는 방부개석(方趺蓋石)의 양식이다. 비신(碑身)의 높이는 1.08m이며 비신 전면에는 '통훈대부 행평택현감 성산이공하보지묘(通訓大夫行平澤縣監星山李公夏輔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비문은 손자 이홍진(李弘鎭)이 썼다.
우측 언덕에 할아버지 이군미(李君美) 묘가 있으며 석물은 형태가 많이 변형되어 원형을 찾아보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