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시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0293
한자 靑銅器時代
영어공식명칭 Bronze Age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시흥시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이헌재

[정의]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청동기로 도구를 만들어 쓰던 시기.

[개설]

청동기시대는 신석기시대에 이어 나타났으며, 청동으로 도구를 만들어 쓰기 시작한 시점부터 철제 도구가 등장하기 이전까지인 기원전 15세기에서 기원전 3세기까지의 시기이다. 청동기시대는 민무늬토기와 간석기가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청동기가 제작되었으며, 고인돌[지석묘(支石墓)]과 돌널무덤[석관묘(石棺墓)]이 등장하고 본격적인 농경으로 식량을 마련하였다.

[청동기시대 문화상]

청동기시대에는 물고기잡이와 사냥, 농경으로 식량을 마련하였다. 한반도에서의 농경은 유적지에서 나온 화분과 탄화(炭化)된 좁쌀 등을 통해서 신석기시대부터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청동기시대에 들어서는 조, 보리, 콩 등 밭농사를 주로 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벼농사를 지었다. 청동기시대에 농경을 하였다는 증거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유적에서 밭과 같은 경작지 흔적이 나타나고, 벼·보리·밀·조·수수·콩 등의 식물 유체(遺體)와 돌칼[석도(石刀)]이나 돌낫 등 곡식을 수확하는 데 사용한 도구가 발굴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서해안의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의 집터 유적에서는 탄화미(炭化米)가 발굴되었다.

청동기시대 주거지 유적은 신석기시대보다 훨씬 규모가 크다. 집터는 넓은 지역에 많은 수가 밀집된 마을 형태를 이루고 있어 인구 증가로 마을의 규모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청동기시대의 마을 유적은 지역에 따라 해안과 강가의 저지대, 나지막한 야산 등의 구릉 지대 등 곳곳에서 발견되는데 생업 기술이 발전하여 이전에 살지 않았던 다양한 입지를 선택해 살았음을 보여준다.

청동기시대 초기에는 장방형(長方形)[직사각형]이나 세장방형(細長方形)[가는 직사각형]의 집터들이 유행하였다. 집터의 크기와 집터 내부에서 복수의 화덕자리[노지(爐址)]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여러 세대[확대 가족]가 동거하였던 공동체 집터로 보인다. 청동기시대 후기의 집터 모양은 방형(方形)이나 원형이고, 4~8명이 살 수 있는 크기로 작아져 한 가족이 살았던 개별 세대의 집터로 볼 수 있다.

청동기시대 사람들은 낮은 구릉지에 주거지나 고인돌을 조성하였다. 고인돌은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형태였다. 한반도 전역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고인돌이 남아 있다. 고인돌은 전기 청동기시대의 주요 묘제(墓制)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돌널무덤이 고인돌과 함께 조성되었다. 한반도에서는 일정한 묘역을 만들어 그 안에 수 기 혹은 수십 기의 고인돌을 조성하였다. 나아가 고인돌 수백 기가 일정 지점에 축조된 대규모 공동묘지가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후기 청동기시대[초기 철기시대]에는 널무덤[토광묘(土壙墓)]과 독무덤[옹관묘(甕棺墓)]이 고인돌과 지역적인 편차를 두고 사용되었다.

시흥시에서 확인된 고인돌 유적으로는 계수동 고인돌, 금이동 고인돌, 정왕동 고인돌, 군자동 고인돌, 조남리 지석묘가 대표적이다. 시흥 지역의 고인돌 유적에서는 탁자식[북방식]과 바둑판식[남방식]의 고인돌이 확인되며, 고인돌의 덮개돌에서는 홈구멍[성혈(性穴)]이 발견되고 있다.

[청동기시대 사회상]

청동기시대에는 청동기의 전래와 농경의 발달로 생산 활동이 증대되어 생산력이 크게 발달하였다. 생산력의 증가로 잉여 생산물이 생기자 생산물의 분배와 사유화 때문에 씨족 내부에서 빈부와 권력의 차이가 조성되어 혈연 중심의 씨족사회가 붕괴하고 부족사회가 형성되었다. 나아가 정복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계급의 분화가 촉진되고 막강한 권력과 경제력을 가진 지배자인 군장(君長)[족장]이 등장하였다. 사회 조직이 점차 발달하고 복잡해졌으며, 직업의 전문화가 나타나고 주변 지역과의 교역도 이루어졌다.

청동기 문화를 성립시킨 민무늬토기인들은 시흥 지역뿐만 아니라 한민족의 직접적인 조상이 되었다. 청동기시대 사람들은 한반도와 중국의 동북방 일대에서 동이문화권(東夷文化圈)을 형성하고 붉은간토기[홍도(紅陶)]와 검은간토기[흑도(黑陶)] 문화를 흡수하면서 폭넓은 민족문화를 형성하기 시작하였다.

[청동기시대 유적]

경기도 시흥시에 분포하는 청동기시대 유적 중 능곡동, 정왕동, 계수동, 과림동, 군자동, 금이동, 논곡동, 매화동, 안현동, 조남동 등지에서 민무늬토기와 반달 돌칼[반월형석도(半月形石刀)], 간돌도끼[마제석부(磨製石斧)] 등이 수습되었다.

능곡동 선사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집터 유적 7기와 저장 구덩인 수혈(竪穴) 2기가 발굴되었다. 이 유적에서는 토기 아가리에 눈금을 새기고 아가리 바로 아래에도 구멍이 열을 지어 돌아가면서 뚫린 구멍무늬가 함께 새겨진 골아가리 구멍무늬토기[구순각목문 공열토기(口脣刻目文孔列土器)], 민무늬토기, 석기, 붉은간토기, 가락바퀴[방추차(紡錘車)], 받침돌[지석(支石)] 등이 출토되었다.

계수동 유적에서는 방형과 장방형 형태의 집터 4기와 수혈이 확인되었다. 계수동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은 골아가리토기[구순각목토기(口脣刻目土器)]와 골아가리무늬와 구멍무늬[공열문(孔列文)]가 함께 새겨진 심발형 토기(深鉢形土器)[깊은 모양의 사발형 토기] 각 1점, 항아리형[호형(壺形)] 민무늬토기 4점, 반달 돌칼 등이 출토되었다.

군자산 서쪽 구릉 지대에서 확인된 군자동 유적에서는 민무늬토기 후기에 속하는 검은간토기 조각이 출토되었다. 군자산 일대에서는 민무늬토기 산포지(散布地) 18개소가 확인되었다. 목감동 유적에서는 길이 15m의 세장방형 집터에서 구멍무늬토기 및 골아가리토기가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