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시흥 지역 바닷가에서 고기잡이와 갯벌 작업 때 부르는 노래. 시흥 지역에서의 바다소리는 크게 어로(漁撈) 작업할 때의 소리와 갯벌에서 조개를 캐면서 하던 소리로 구분한다. 어로 작업을 하면서 부르던 민요는 노동할 때의 노동요와 풍어를 비는 의식요, 그리고 어로 전후에 즐기던 민요를 말한다. 또 갯벌에서의 소리는 주로 아낙들이 조개잡이를 하면서 부르던 소...
-
시흥시 북쪽의 소래산과 서남쪽의 군자봉 사이로 흐르는 은행천과 보통천이 서해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 두 하천에서 운반되어온 퇴적물이 매화동, 은행동, 미산동, 도창동, 하상동, 하중동 일대에 약 150만 평[약 5㎢]의 커다란 벌판을 형성해 놓았다. 조선시대에 간석지[개펄]였던 이곳에 서해의 바닷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호조방죽을 축조하여 농경지로 활용하였는데, 그 들판이...
-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1797년 8월 행차[행행]에서 시흥 지역의 경치를 노래하고 인재를 찾는 심경을 읊은 시. 「풍기렵렵해문회(風旂獵獵海門廻)」는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지은 칠언시(七言詩)로 “바람 깃발 휘날리며 해문을 돌아오니”라는 첫 구절로 시작된다. 정조의 이름은 산(祘)이고, 자는 형운(亨運), 호는 홍재(弘齋)이다. 할아버지는 영조이고, 아버...
-
경기도 시흥시 논곡동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을 잇는 도로. 박달로는 시흥시 논곡동 수인로[국도42호선]와 만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만안로와 만나는 지점을 종점으로 하는 도로이다. 시흥시 구간에서는 논곡동과 목감동을 지난다. 박달로는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을 지난다는 데서 박달로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박달동 지역은 조선...
-
경기도 시흥시에 묘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룡(子龍), 호는 기재(寄齋)·오창(梧窓)·봉주(鳳洲).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좌랑 박조년(朴兆年), 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 박소(朴紹), 아버지는 사헌부대사헌 박응복(朴應福), 어머니는 선산 임씨(善山林氏) 임구령(林九齡)의 딸이다. 처는 여흥 민씨(驪興閔氏)로 승정원승지 민선(...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박동량 묘와 신도비. 박동량(朴東亮)[1569~1635]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룡(子龍), 호는 기재(寄齋)·오창(梧窓)·봉주(鳳洲)이다. 아버지는 사헌부대사헌 박응복(朴應福), 어머니는 나주목사 임구령(林九齡)의 딸이다. 1590년(선조 23) 증광(增廣) 문과에 급제하였고, 1592년(선조 25) 병조...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문인이며 서예가인 박미의 무덤. 박미(朴彌)[1592~1645]의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중연(仲淵), 호는 분서(汾西)이다. 아버지는 의정부우참찬 박동량(朴東亮)이고, 어머니는 승정원승지 민선(閔善)의 딸이다. 선조가 장인이다. 1603년(선조 36) 선조의 다섯째 딸 정안옹주(貞安翁主)와 혼인하여 금양위(錦陽尉)...
-
박응주를 시조로 하고,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을 본향으로 하는 경기도 시흥 지역의 세거 성씨. 반남 박씨(潘南朴氏) 가문은 고려 말엽부터 두각을 나타내다가 박응주(朴應珠)의 6세 박은(朴訔)이 조선 건국의 좌명공신(佐命功臣)으로 금천부원군(錦川府院君)에 책봉되면서 융성하기 시작하였다. 조선조에 걸쳐 과거 급제자 219명, 정승 7명, 대제학 2명, 왕비 2명[...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곡동 일원에 자리한 국가산업단지. 서울 남서쪽 30㎞ 지점에 위치한 시화국가산업단지는 반월국가산업단지의 확장 개념에서 새로운 중소기업 전문 단지로 개발한 곳으로, 중소기업 중심의 부품과 소재 전문 산업단지로 조성되었다. 인접한 반월국가산업단지 및 남동국가산업단지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3대 중소기업 산업단지이다. 서울...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방산동은 시흥시 중서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신현동에서 관할한다. 방산동은 방곡리(芳谷里)의 ‘방’ 자와 산정리(山井里)의 ‘산’ 자를 따서 지은 지명이다. 방산동의 마을인 방곡리는 ‘밤송이를 닮은 마을’이라는 의미이고, 산정리는 ‘대동우물이 있는 마을’이라는 각각의 지명 유래가 합쳐진 것이다. 방산동은...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방산동은 시흥시 중서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신현동에서 관할한다. 방산동은 방곡리(芳谷里)의 ‘방’ 자와 산정리(山井里)의 ‘산’ 자를 따서 지은 지명이다. 방산동의 마을인 방곡리는 ‘밤송이를 닮은 마을’이라는 의미이고, 산정리는 ‘대동우물이 있는 마을’이라는 각각의 지명 유래가 합쳐진 것이다. 방산동은...
-
조선시대 경기도 시흥 지역에 있었던 물살을 조정하여 물고기를 잡도록 한 어로 도구 혹은 그것이 설치된 장소. 어량(魚梁, 漁梁)은 물이 흐르는 곳에 물살을 제한하여 그곳에 함정 어구(漁具)를 놓아 고기를 잡도록 한 곳을 일컫는다. 어량은 어구를 설치한 모양이 교량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성종 때부터는 어량보다는 어전(漁箭)이라는 명칭이 실록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과 월곶동을 잇는 다리. 방산 대교는 시흥시 방산동과 월곶동 사이의 소래염전[지금의 시흥갯골생태공원]을 건너기 위해 건설된 교량으로 도로명 주소는 서해안로에 속한다. 방산 대교는 방산동을 지나는 교량으로 행정구역의 명칭에서 유래하였다. 교량 길이가 300m이며 교량 폭은 20m이다. 상부 형식은 RC슬래브교이며, 하부 형식은 역...
-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과 월곶동을 잇는 다리. 방산 대교는 시흥시 방산동과 월곶동 사이의 소래염전[지금의 시흥갯골생태공원]을 건너기 위해 건설된 교량으로 도로명 주소는 서해안로에 속한다. 방산 대교는 방산동을 지나는 교량으로 행정구역의 명칭에서 유래하였다. 교량 길이가 300m이며 교량 폭은 20m이다. 상부 형식은 RC슬래브교이며, 하부 형식은 역...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법정동. 방산동은 시흥시 중서부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신현동에서 관할한다. 방산동은 방곡리(芳谷里)의 ‘방’ 자와 산정리(山井里)의 ‘산’ 자를 따서 지은 지명이다. 방산동의 마을인 방곡리는 ‘밤송이를 닮은 마을’이라는 의미이고, 산정리는 ‘대동우물이 있는 마을’이라는 각각의 지명 유래가 합쳐진 것이다. 방산동은...
-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 고잔마을 김경희 댁에서 지내는 가정 신앙. 시흥시 방산동 고잔마을 김경희 댁에서는 5대조 때부터 집안에 미륵당(彌勒堂)을 짓고 미륵을 모시고 있으며, 이 댁에서만 하는 산신제가 있다. 미륵당에는 평소에도 답답한 일이 있으면 정화수(井華水)를 떠놓고 절을 한다. 산신제는 음력 정월 초하루에 지내고, 집고사는 칠석[음력으로 칠월 초이렛날의 밤...
-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 고잔에서 지내던 마을 공동체 의례.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의 고잔마을, 산우물마을, 다지골이마을은 예전에 공동으로 당고사를 지냈다. 이들 마을에서는 동제(洞祭)를 당고사라고 하는데, 격년으로 음력 정월 14일에 제를 지냈다. 제물(祭物)로는 돼지머리와 팥시루떡 등을 올렸고, 제의(祭儀) 비용은 추렴을 하여 충당하거나 마을 기금을 사용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 방산동의 방골, 마루미, 다니, 황골에서 함께 지내는 공동체 의례. 시흥시 방산동 방골[芳谷], 마루미[宗山], 다니[竹院], 황골[項谷]은 방산1통에 속하는 네 개의 자연마을이다. 이들 마을에서는 격년으로 음력 10월 열흘 안에 택일하여 당고사를 지낸다. 고사를 지내기 전에 제관인 당주(堂主)를 선정하는데 마을 남자 중 부정이 없고 적합한 사람...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산. 길마산은 높이 111m의 산으로 뒷방울저수지에 바로 붙어 있으며 지역 주민들과 낚시꾼이 많이 찾는다. 짐을 싣거나 수레를 끌기 위하여 소나 말 따위의 등에 얹는 안장인 길마를 닮았다고 하여 얻어진 이름이다. 정왕동 함줄마을에 사는 토박이들은 길마산이라 부르며, 뒷방울저수지를 찾는 외지인이나 시민들은 방울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화학 재난의 대응을 위한 공공 기관. 시흥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2012년 9월 구미 불산 가스 누출 사고를 계기로 '범정부 화학 재난 안전 체계 개편 방안'에 맞추어 설립된 기관으로 화학 재난 시 부처 간의 벽을 허물고 상호 협조를 통해 문제 해결을 하고 있다. 시흥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시화국가산업단지 내 특수 재난 및...
-
경기도 시흥 지역에 설치되었던 조선 후기의 수리·관계 시설. 17세기 조선 정부의 당면 과제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파괴된 농촌을 복구하는 것이었다. 이에 농지 개간과 수리 시설의 확충을 통해 농업 생산력을 증진시키려 하였다. 황폐한 진전(陳田)[전안(田案)에는 경지로 되어 있으나 오랫동안 경작하지 아니한 토지]을 개간하고, 수리 시설을 복구하여 저습지(低濕地)[땅이...
-
경기도 시흥시 호조벌 방죽 일대에서 1895년 무렵 이루어진 개신교의 선교 과정. 1880년대 조선 선교에 나선 미국 감리회는 시흥 지역 호조벌 방죽 주변을 의미하는 '방죽뫼' 지역을 중요 선교 거점으로 보고 적극적인 농촌 선교에 나섰다. 1895년 무렵에는 교인이 되기 위해 학습하는 사람이 12명이었다. 1901년 김동현[1869~1928]에 의해 시흥 지역 최초 개신...
-
경기도 시흥시 능곡동에 있던 옛 시장. 시흥시 능곡동[능곡동·화정동], 연성동[하중동·하상동·광석동·장현동], 장곡동, 군자동[군자동·거모동], 월곶동 일대의 주민들이 이용하던 옛 시장으로 축산물의 거래가 많았다. 능곡 삼거리마을[지금의 능곡동 삼거리] 옛 정미소 자리 주변 장터는 장의 중심지로 특별히 '장마당'이라 불렀다. 삼거리장(三巨里場)의 유...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계획적으로 개발 중인 새로운 주거 단지.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일대 군자 매립지에 조성되는 새로운 주거 단지로 서울대학교 시흥스마트캠퍼스와 교육·의료 클러스터를 부각시키는 측면에서 배곧 신도시라는 명칭을 선정하였다. 이 명칭은 1914년 주시경(周時經) 선생이 조선어강습원의 명칭을 ‘한글 배곧’이라고 명명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군자(君子...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근린공원. 배곧생명공원은 '생명을 품은 도시'를 지향하는 배곧 신도시에 조성된 생태 공원이다. 배곧생명공원은 자연과 함께 하는 도시 조성을 위해 2013년부터 공원 건립을 추진하여 2015년 11월 14일 개장하였다. 배곧생명공원은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기수역(汽水域) 공원으로 그 독창성을 인정받아 2014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배곧고등학교의 교훈은 '혁신, 창조, 융합'이다. 교육 목표는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가 행복한 학교라는 비전 아래 '지성과 인성을 겸비한 배곧인 육성'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배움을 통한 성장, 나눔과 봉사, 도전을 통한 지성 발현, 마을 교육 공동체 육성 등의 세부 실천을 과제로 삼고 있다. 2015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배곧고등학교의 교훈은 '혁신, 창조, 융합'이다. 교육 목표는 학생, 학부모, 교사, 지역사회가 행복한 학교라는 비전 아래 '지성과 인성을 겸비한 배곧인 육성'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배움을 통한 성장, 나눔과 봉사, 도전을 통한 지성 발현, 마을 교육 공동체 육성 등의 세부 실천을 과제로 삼고 있다. 2015년...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행정동.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일대 군자 매립지에 조성된 곳으로 서울대학교 시흥스마트캠퍼스와 교육·의료 클러스터를 부각시키는 측면에서 배곧 신도시라는 명칭을 선정하였다. 이 명칭은 1914년 주시경이 조선어강습원의 명칭을 ‘한글 배곧’이라고 명명한 데서 비롯되었으며, 군자(君子)라는 한문 이름과 어울리는 이름으로 학문과 지성이 겸비된 글로벌 교육 도시를 지향한...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근린공원. 배곧생명공원은 '생명을 품은 도시'를 지향하는 배곧 신도시에 조성된 생태 공원이다. 배곧생명공원은 자연과 함께 하는 도시 조성을 위해 2013년부터 공원 건립을 추진하여 2015년 11월 14일 개장하였다. 배곧생명공원은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기수역(汽水域) 공원으로 그 독창성을 인정받아 2014년...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배곧중학교의 교훈은 ‘존중, 배려, 나눔'이며 교육 목표는 ‘누구나 주인이 되는 평화로운 학교'를 만드는 것이다. 배곧중학교는 2013년 8월 9일에 설립 인가를 받은 후 2015년 8월 18일에 6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16년에 11개 학급으로 증설하였으며 2018년 현재 38개 학급[특수 학급 1학...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중학교. 배곧중학교의 교훈은 ‘존중, 배려, 나눔'이며 교육 목표는 ‘누구나 주인이 되는 평화로운 학교'를 만드는 것이다. 배곧중학교는 2013년 8월 9일에 설립 인가를 받은 후 2015년 8월 18일에 6개 학급으로 개교하였다. 2016년에 11개 학급으로 증설하였으며 2018년 현재 38개 학급[특수 학급 1학...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곧초등학교의 비전은 ‘함께 성장하는 더 특별한 행복 배움터, 배곧초’이다. 교육 목표는 배움의 즐거움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배곧 어린이를 양성하는 데 있다. 배곧초등학교는 2015년 8월 18일 설립 인가 후 병설 유치원과 함께 개교하였다. 2016년 3월 1일부터 혁신 공감 학교, 도시 농업 시범 사업...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곧초등학교의 비전은 ‘함께 성장하는 더 특별한 행복 배움터, 배곧초’이다. 교육 목표는 배움의 즐거움을 통해 함께 성장하는 배곧 어린이를 양성하는 데 있다. 배곧초등학교는 2015년 8월 18일 설립 인가 후 병설 유치원과 함께 개교하였다. 2016년 3월 1일부터 혁신 공감 학교, 도시 농업 시범 사업...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곧한울초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21세기를 이끌어갈 따뜻한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으로 꿈과 끼를 키워가는 학생, 열정과 감동으로 가르침에 보람을 느끼는 교사, 참여와 소통으로 신뢰하고 성장하는 학부모, 배움·열정·공감으로 즐거움이 있는 배움터이다. 배곧한울초등학교는 2017년 9월...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배곧한울초등학교의 교육 비전은 ‘21세기를 이끌어갈 따뜻한 창의 인재 육성’이다. 교육 목표는 배움과 나눔으로 꿈과 끼를 키워가는 학생, 열정과 감동으로 가르침에 보람을 느끼는 교사, 참여와 소통으로 신뢰하고 성장하는 학부모, 배움·열정·공감으로 즐거움이 있는 배움터이다. 배곧한울초등학교는 2017년 9월...
-
경기도 시흥시 정왕본동에 있던 자연 마을. 배나루마을은 병자호란 때 의병장 원성모(元成模)[1569~1636]가 두 아들과 함께 덕물도에서 순국하자 그 후손들인 원주 원씨(原州元氏)들이 배나루의 동산에 묘를 쓰면서 뿌리를 내린 마을이다. 일제강점기 때 군자염전이 조성되고 수인선 협궤철도 군자역도 생겨 전성기를 누리기도 했으나, 1990년대 시화지구 개발로 쇠퇴...
-
경기도 시흥시의 신안 주씨 일가가 소장한 전답 매매권 위임 문서. 패자(牌子)는 조선시대 양반들이 자신의 노비에게 매매권을 위임하기 위하여 작성해 준 문서로 패자(牌字), 패지(牌旨), 배자, 배지라고 한다. 1815년(순조 15)으로 추정되는 을해(乙亥)에 상전인 최일(崔一)이 노비 억만(億萬)에게 전답의 매매권을 위임하는 문서로 인천부 신고개면 삼리 한천동(寒泉洞)[...
-
경기도 시흥시의 신안 주씨 일가가 소장한 전답 매매권 위임 문서. 패자(牌子)는 조선시대 양반들이 자신의 노비에게 매매권을 위임하기 위하여 작성해 준 문서로 패자(牌字), 패지(牌旨), 배자, 배지라고 한다. 1824년(순조 24)으로 추정되는 갑신(甲申)에 상전 윤(尹)이 노비 돌세(乭世)에게 전답의 매매권을 위임하는 문서로 인천부 신고개면 삼리 한천동(寒泉洞)[지금의...
-
경기도 시흥시의 신안 주씨 일가가 소장한 전답 매매권 위임 문서. 패자(牌子)는 조선시대 양반들이 자신의 노비에게 매매권을 위임하기 위하여 작성해 준 문서로 패자(牌字), 패지(牌旨), 배자, 배지라고 한다. 1824년(순조 24)으로 추정되는 갑신(甲申)에 상전 윤(尹)이 노비 돌세(乭世)에게 전답의 매매권을 위임하는 문서로 인천부 신고개면 삼리 한천동(寒泉洞)[지금의...
-
경기도 시흥시의 신안 주씨 일가가 소장한 전답 매매권 위임 문서. 패자(牌子)는 조선시대 양반들이 자신의 노비에게 매매권을 위임하기 위하여 작성해 준 문서로 패자(牌字), 패지(牌旨), 배자, 배지라고 한다. 1815년(순조 15)으로 추정되는 을해(乙亥)에 상전인 최일(崔一)이 노비 억만(億萬)에게 전답의 매매권을 위임하는 문서로 인천부 신고개면 삼리 한천동(寒泉洞)[...
-
경기도 시흥시 포동 새우개마을의 어부들이 연평도 고기잡이 때 부르던 노동요. 「뱃치기소리」는 ‘배치기’라고 하는 경기도 시흥 지역의 향토 민요로 포동 새우개마을의 어부들이 연평도 고기잡이 때 부르던 노래다. 출항 전이나 고기를 건져 올릴 때, 그리고 마을 대동제 때에도 부른다. 본래 황해도 연평도와 인근 지역에서 부르기 시작한 서도소리지만, 연평도 조기잡이 때...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 샛말에 살았던 조선시대 문인. 시흥시 하중동 샛말에 면포정(面圃亭)이란 정자를 짓고 살며 당시 안산의 남인(南人) 및 소북계(小北系) 사대부들과 사로사(四老社)라는 시사(詩社)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순보(純甫), 호는 오헌(傲軒). 백상형(白尙瑩)[1705~1789]의 할아버지는 호조참의(贈戶曹參議) 백검(白儉...
-
경기도 시흥시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 문신. 본관은 안성(安城), 자는 백응(伯應), 호는 운정(芸亭). 이숙번(李淑蕃)[1373~1440]의 증조할아버지는 이부시랑(吏部侍郎) 이희(李禧), 할아버지는 전리판서(典理判書) 이사정(李思正), 아버지는 문하시중(門下侍中) 이경(李坰), 어머니는 영양 남씨(英陽南氏) 전리판서 남휘주(南輝珠)의 딸이다. 부인은 청주 정씨(淸州鄭...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서 태어나고 묘소가 있는 일제강점기 문인이자 학자. 권호(權澔)[1886~1956]는 시흥시 하중동 392-1에서 출생하였다. 초명은 대이고 1913년에 ‘호(灝)’로 바꾸었으며 1940년에 다시 ‘호(澔)’로 바꾸었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백헌(伯獻), 호는 우석(又石)·경암(敬菴). 행중추원사(行中樞院事) 권극화(權克和)의 16...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지방 하천. 신천(新川)은 시흥시 대야동의 하우고개에서 발원하여 시흥시에서 유로가 종료되는 지방 하천이다. 하천의 이름인 신천(新川)은 이 하천이 흐르는 곳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신천이라는 지명은 현재 시흥시의 동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1914년 일제에 의해 단행된 행정구역 개편 시 인천부 신현면의...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던 옛 장터. 뱀내장은 조선 후기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시장으로, 매월 1일과 6일에 개장하였다. 축산물 거래가 대부분인 우시장의 성격이 강했으며, 농산물·수산물·직물 등도 거래하였다. 특히 수원장, 소사장과 함께 경기도의 대표적인 우시장이었다. 가장 많은 소가 들어온 것은 200~300마리 정도의 소가 들어온 때...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던 옛 장터. 뱀내장은 조선 후기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시장으로, 매월 1일과 6일에 개장하였다. 축산물 거래가 대부분인 우시장의 성격이 강했으며, 농산물·수산물·직물 등도 거래하였다. 특히 수원장, 소사장과 함께 경기도의 대표적인 우시장이었다. 가장 많은 소가 들어온 것은 200~300마리 정도의 소가 들어온 때...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지방 하천. 신천(新川)은 시흥시 대야동의 하우고개에서 발원하여 시흥시에서 유로가 종료되는 지방 하천이다. 하천의 이름인 신천(新川)은 이 하천이 흐르는 곳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신천이라는 지명은 현재 시흥시의 동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1914년 일제에 의해 단행된 행정구역 개편 시 인천부 신현면의...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에서 발원하여 서해로 흘러드는 지방 하천. 신천(新川)은 시흥시 대야동의 하우고개에서 발원하여 시흥시에서 유로가 종료되는 지방 하천이다. 하천의 이름인 신천(新川)은 이 하천이 흐르는 곳의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신천이라는 지명은 현재 시흥시의 동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1914년 일제에 의해 단행된 행정구역 개편 시 인천부 신현면의...
-
경기도 시흥 지역에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또는 절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과 문화. 장승은 전국적으로 분포된 마을 공동체의 신앙 대상물로 나무 기둥이나 돌기둥에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 오방신장(五方神將) 등 명문(銘文)을 쓰고 길가에 세우는 신상(神像)이다. 솟대는 장대나 석조물을 단독으로 혹은 장승과 함께 마을 입구나 출구...
-
경기도 시흥 지역에 돌이나 나무에 사람의 얼굴을 새겨서 마을 또는 절 어귀나 길가에 세운 푯말과 문화. 장승은 전국적으로 분포된 마을 공동체의 신앙 대상물로 나무 기둥이나 돌기둥에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 오방신장(五方神將) 등 명문(銘文)을 쓰고 길가에 세우는 신상(神像)이다. 솟대는 장대나 석조물을 단독으로 혹은 장승과 함께 마을 입구나 출구...
-
경기도 시흥시에서 높이가 낮고 기복이 거의 없는 평탄한 들판. 평야는 들판 또는 벌판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평원으로 불리기도 한다. 평야는 생성 원인에 따라 주변을 흐르는 하천의 퇴적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퇴적평야 또는 충적평야가 있고, 하천의 침식 작용에 의해 지표면이 깎이면서 만들어진 침식평야가 있다. 시흥시는 높은 산지의 발달이 뚜렷하지 않지만, 서해로 유입하는 크...
-
경기도 시흥시 논곡동과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을 잇는 도로. 박달로는 시흥시 논곡동 수인로[국도42호선]와 만나는 지점을 기점으로 하여 안양시 만안구 안양동 만안로와 만나는 지점을 종점으로 하는 도로이다. 시흥시 구간에서는 논곡동과 목감동을 지난다. 박달로는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을 지난다는 데서 박달로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박달동 지역은 조선...
-
경기도 시흥시 광석동, 하중동, 하상동에 걸쳐 있는 산. 범배산은 시흥시청에서 동북쪽으로 약 1㎞ 지점에 있는 높이 140m의 산이며, 광석동에서는 광석산이라고도 부른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김홍도가 화첩을 들고 범배산을 거닐며 그림 구상을 하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광석동 둔터골 사람들은 범배산을 개나리봉으로 부르며 달맞이를 비롯한 마을 행사를 하기도 했다....
-
경기도 시흥시 계수동과 과림동을 거쳐 경기도 부천시 괴안동과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을 잇는 도로. 경기도 부천시를 기점으로 하여 시흥시, 광명시를 지나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으로 이어는 도로이다. 시흥시 구간은 옥길동 시계사거리[부천시]~능촌교[광명시]를 지난다. 범안로는 2009년 도로명 주소 정비 전까지는 노안로·범박로 등 지방자치단체별로 도...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계통의 사찰. 시흥시 조남동 4에 있는 법련사(法蓮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경기도 제2교구의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최근까지의 기록을 보면 시흥시에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는 사찰은 매우 적은 편이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2002년 발간한 『한국의 종교 현황』과 2008년 발간한 『한국의 종교 현황 조사 연구』...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있는 법련사의 터. 법련사지(法蓮寺址)는 옛 절터로서 시흥시 조남동에 있다. 법련사는 조선 제17대 왕 효종의 비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아버지 장유(張維)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웠다. 최근의 지표 조사에 따르면 절터 지점에 유물과 건물의 흔적이 발견되어 원래 절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법련사는 1650년(효종 17)...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의 말사. 시흥시 하중동 주택가에 자리 잡고 있는 법륭사는 1986년 창건 이래 포교 활동뿐만 아니라 봉사 활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법륭사는 1986년 월해당 덕기(德基) 대화상이 창건하였고, 1987년 석조약사여래불 점안식을 거행하였다. 1996년에는 본당 건물을 완공해 대웅보전...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조선 세조 때 조성된 연못. 관곡지(官谷池)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연못으로 조선 세조 때 강희맹(姜希孟)이 명나라 난징[남경(南京)]에서 가져온 연꽃을 심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를 계기로 조선시대 시흥 지역이었던 안산군의 별호를 ‘연성(蓮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시흥시 하중동은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안산군 초산면...
-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조선 세조 때 조성된 연못. 관곡지(官谷池)는 경기도 시흥시 하중동에 있는 연못으로 조선 세조 때 강희맹(姜希孟)이 명나라 난징[남경(南京)]에서 가져온 연꽃을 심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를 계기로 조선시대 시흥 지역이었던 안산군의 별호를 ‘연성(蓮城)’으로 부르게 되었다. 시흥시 하중동은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안산군 초산면...
-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행해지는 마을 공동체의 행복을 기원하는 굿. 마을굿은 지역에 따라 대동굿, 도당굿, 별신굿 등 다양한 명칭이 있으나 경기도에서는 '도당굿'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이다. 시흥 지역에서도 많은 마을에서 도당굿을 하였다. 마을굿은 간단한 고사식(告祀式)으로 행하는 경우도 있고, 무당을 불러서 열두 굿거리를 전부 행하여 장시간의 시간이 소요되는 도당굿 형태로...
-
경기도 시흥 지역이 속해 있던 옛 시흥군 수암면의 3.1운동을 주도한 독립운동가. 윤병소(尹秉召)[1893~1919]는 1919년 당시 시흥군 수암면 능곡리[지금의 시흥시 능곡동]에 거주하였다. 3월 30일 수암면 비석거리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일제로부터 피체(被逮)되어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고인의 업적을 기려 1968년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고 1990년...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의 소래산 중턱에 있는 바위. 병풍바위는 소래산 중턱의 내원사 터 근처에 있는 바위이다. 병풍바위의 암벽에는 고려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보물 제1324호 시흥 소래산 마애보살 입상(始興蘇萊山磨崖菩薩立像)이 조각되어 있다. 병풍바위의 명칭은 바위 가까이에서 보면 깎은 듯이 반듯한 바위가 수직에 가깝게 서 있는 모습이 마치 병풍을 세...
-
경기도 시흥시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보건 의료 기관이 행하는 행정 및 서비스. 보건 의료란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시키기 위하여 국가를 비롯하여 지방자치단체와 보건 의료 기관, 보건 의료인이 행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보건 의료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의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정하고, 보건 의료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
경기도 시흥시에서 보건 행정 및 보건 서비스를 받는 환자의 권리 보호 및 의료 소비자의 권리를 찾는 운동. 보건 의료 운동은 환자의 권리 보호와 의료 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사회운동의 일환으로 시흥 지역에서는 신천연합병원을 중심으로 활발히 추진되었다. 보건 의료 운동의 시작은 1970년대 도시 지역 빈민 운동의 출발 또는 사회 민주화 운동에서 찾기도...
-
경기도 시흥시 마산에서 발원하여 흥부저수지로 유입하는 지방 하천. 보통천(普通川)은 시흥시 관내를 흐르는 하천 중 가장 큰 하천으로, 한강 서해 수계의 지방 하천이다. 조남동 마산 아래 애무골에서 발원하여 물왕 저수지[흥부저수지]를 거쳐 호조벌 들판을 거쳐 갯골에서 바다와 만난다. 보통천이 흐르는 미산동과 포동 주위로 탁 트인 간척 평야가 있는데 이...
-
경기도 시흥시에서 초등 보통 교육을 시행하는 기관. 초등학교는 국가에 따라 초등학교, 보통학교, 기초학교, 소학교 등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교육제도상 가장 먼저 취학하는 학교로서 국민 생활에 필요한 초보적인 일반 교육을 시행하는 곳이다. 근대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국민 교육이 국가의 기본 기능으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48년...
-
경기도 시흥시에서 보호수로 지정한 나무. 보호수(保護樹)는 보존 가치가 있는 수목, 노목, 희귀목 등을 지정한 것이다. 시흥시에서 보호수로 지정한 나무는 주로 수령이 많은 나무인데, 시흥시 지정 보호수 중 가장 짧은 수령의 나무가 200여 년이며 길게는 1,000년 이상 된 고목이다. 2017년 현재 시흥시에서 보호수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는 보호수는 6종 13본이다. 수...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복음자리마을 170세대가 1978년 출자금을 모아 설립한 금융 관련 협동조합. 복음신용협동조합은 복음자리마을 이주 과정에서 빌린 융자금을 갚고, 복음자리마을의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기 위해 1978년 5월에 설립되었다. 철거 이주민 170세대가 형편대로 출자하였으며 출자금의 10배 한도 내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었다. 복음신용협동조합은 주민...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는 마을 공동체를 위한 사회복지 기관. 1976년 서울시 도시 개발에서 밀려난 양평동 주민 170세대가 시흥으로 이주를 시작하면서 청계천, 목동등의 철거민들도 보금자리를 찾아 시흥 지역으로 밀려 들어왔다. '복음자리 공동체'는 철거민들의 이주와 정착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이 복음자리 공동체를 기반으로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복음자리는 시흥 지역에서...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 복음자리를 중심으로 진행된 철거 이주민의 지역 복지 주민 운동. 복음자리 빈민 운동은 도시 철거민의 주거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조차 없었던 1970~1980년대 경기도 시흥 지역에 집단 이주를 성사시킨 자생적 주민 운동이다. 제정구(諸廷坵)와 정일우(鄭日祐)[John Vincent Daly] 신부가 주민들과 함께 경제적 자립,...
-
경기도 시흥시 신천동에 있던 자연 마을. 복음자리마을은 1977년 도시 빈민 운동가 제정구(諸廷坵)와 정일우(鄭日祐) 신부[John Vincent Daly]의 주선 아래 서울 양평동, 문래동 등 안양천 주변의 판자촌 철거민이 처음 세운 마을이다. 이후 서울 시흥동, 난곡동, 사당동, 목동 등의 철거민들이 들어와 새로운 공동체를 이루었다. 삶의 터전, ‘보금자리...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여성들을 위한 문화시설 겸 교육기관. 여성비전센터는 여성들을 위한 문화 교육기관이다. 각종 교양 강좌를 운영하고, 저소득층 여성의 취업과 창업을 돕고 있다. 각종 교육을 통해 시흥시 여성들의 능력을 개발하고 저소득층 여성의 취업과 창업을 돕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시흥시 평생교육원에 속해 있는 기관으로 2003년 3...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횃불과 연기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전통 시대 통신 제도의 기록과 흔적. 봉(烽)은 횃불, 수(燧)는 연기를 말한다. 봉수는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않은 전통 시대에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제도이다. 주로 적의 침입이나 내란 혹은 군사적인 소요를 중앙에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쓰였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상에 나타난 군사적인 목적의 봉수는 12~13세...
-
경기도 시흥시에 묘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자룡(子龍), 호는 기재(寄齋)·오창(梧窓)·봉주(鳳洲). 증조할아버지는 이조좌랑 박조년(朴兆年), 할아버지는 사간원사간(司諫院司諫) 박소(朴紹), 아버지는 사헌부대사헌 박응복(朴應福), 어머니는 선산 임씨(善山林氏) 임구령(林九齡)의 딸이다. 처는 여흥 민씨(驪興閔氏)로 승정원승지 민선(...
-
경기도 시흥시에 있는 횃불과 연기로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전통 시대 통신 제도의 기록과 흔적. 봉(烽)은 횃불, 수(燧)는 연기를 말한다. 봉수는 교통과 통신이 발달하지 않은 전통 시대에 급한 소식을 전하던 제도이다. 주로 적의 침입이나 내란 혹은 군사적인 소요를 중앙에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 쓰였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기록상에 나타난 군사적인 목적의 봉수는 12~13세...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월곶동을 거쳐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안산시를 연결하는 국도. 국도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한반도의 남해안과 서해안을 따라 ‘ㄴ’ 자로 이어지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국도이다. 본래는 부산~인천선이라고 하여 인천광역시 동구를 종점으로 하였으나, 2008년 말 자유로가 이 도로에 포함되면서 대...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과 월곶동을 거쳐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안산시를 연결하는 국도. 국도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한반도의 남해안과 서해안을 따라 ‘ㄴ’ 자로 이어지며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국도이다. 본래는 부산~인천선이라고 하여 인천광역시 동구를 종점으로 하였으나, 2008년 말 자유로가 이 도로에 포함되면서 대...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과 대야동을 거쳐 경기도 안산시와 부천시를 연결하는 일반국도. 국도39호선은 충청남도 부여군을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의정부시에 이르는 남북 방향의 국도이다. 시흥시 구간은 군자동, 능곡동, 광석동, 하중동, 매화동, 미산동, 은행동, 신천동, 대야동을 거친다. 경기도 안산시와 부천시를 잇는 국도이자 시흥시를 남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간선도로...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과 대야동을 거쳐 경기도 안산시와 부천시를 연결하는 일반국도. 국도39호선은 충청남도 부여군을 기점으로 하여 경기도 의정부시에 이르는 남북 방향의 국도이다. 시흥시 구간은 군자동, 능곡동, 광석동, 하중동, 매화동, 미산동, 은행동, 신천동, 대야동을 거친다. 경기도 안산시와 부천시를 잇는 국도이자 시흥시를 남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간선도로...
-
현재의 경기도 시흥시 북부 지역을 1914년 4월부터 1973년 6월까지 관할하였던 옛 행정구역. 부천군(富川郡)은 경기도 중서부 지역에 있었으며, 서울과 인천 지역 사이에 있는 부평평야를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부천군 지역인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은 부천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시흥시의 교통 중심지로 높이 299.4m의 소래산이 있다. 소래산 산림욕장을 중심으로...
-
경기도 시흥시 시화호 주변에 서식하는 참새목 찌르레깃과의 조류. 북방쇠찌르레기는 멸종 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학명은 Sturnus sturninus이다. 북방쇠찌르레기는 몸길이 약 18㎝이다. 머리·목 및 아랫면은 균일한 회색이고, 등·날개 및 꽁지는 보랏빛을 띤 검은색이며 광택이 난다. 날개덮깃과 어깨깃 끝, 날개깃 아랫면은 흰색이다. 눈앞과 눈 주위는 어두운 흰색이고...
-
경기도 시흥시를 지나는 고속도로와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교통의 교차점. 2018년 현재 경기도 시흥시를 지나는 고속도로는 서해안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가 있다. 각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분기점으로는 월곶 분기점, 안현 분기점, 도리 분기점, 조남 분기점, 군자 분기점, 동시흥 분기점 등 6곳이 있다...
-
경기도 시흥시에 분포해 있는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까지의 고대 무덤. 고분은 무덤의 일종으로 고고학에서는 일정한 시기와 형식을 갖춘 매장 시설물을 말한다. 무덤은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위생 관념에서 발생한 문화적 소산으로 인류 출현 이후 흔하게 발견되고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지하에 시신을 매장하고 지상에 흙을 쌓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묘(墓)와 분(墳)을 구분하였다...
-
경기도 시흥시에서 활동하는 석가모니를 교조로 하는 종교. 불교는 고타마 싯다르타(Gautama Siddharta)라는 역사적 인물이 깨달은 우주와 삶의 진리를 궁극적 가치를 지닌 가르침으로 믿고 실천하는 종교로, 세계 3대 종교의 하나이다. 불교 고유의 용어로 표현하면 교조(敎祖)인 부처[불보(佛寶)], 부처의 가르침[법보(法寶)], 부처의 제자[승보(僧寶)]라는 삼보(...
-
경기도 시흥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에 있는 양방향 통합 휴게소. 시흥하늘휴게소는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고속 도로 위 공중을 가로 질러 세운 상공(上空)형 휴게소이다. 일반적으로 고속 도로는 상·하행선에 각각 휴게소가 설치되다. 그러나 시흥하늘휴게소는 상·하행선의 공중을 가로질러 양방향 고객 모두 휴게소를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건물이 공중에 떠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땅...
-
경기도 시흥시에서 유리, 내화 제품, 요업 제품, 시멘트, 석회 등을 생산하는 산업. 비금속업은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돌·모래·점토 등 비금속 광물의 채굴 또는 채취 활동과 채광 활동 등을 수행하는 비금속 광물 광업, 비금속 광물을 원료로 유리·내화 제품·요업 제품·시멘트·석회 등의 제품을 생산하는 비금속 광물 제품 제조업으로 크게 구분된다. 2015년 사업체 통...
-
경기도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사람들이 쉬거나 가벼운 운동 혹은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마련된 시설. 비둘기공원은 시흥시 은행동에 있는 시립 근린공원으로 조성 당시부터 비둘기가 많이 서식하고 있어 비둘기공원으로 명명되었다고 한다. 은행 택지 지구 개발 때 택지 조성으로 입주 예정인 아파트 주민을 비롯하여 시민들이 도심 속에서도 휴양과 문화 생활을 영위...
-
경기도 시흥시 도창동과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을 잇는 도로. 비류대로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옥련동 옹암 교차로를 기점으로 하고, 경기도 시흥시 도창동을 종점으로 하는 도로이다. 2018년 현재 시흥시 신현동까지만 개통되었고 이후는 미개통 구간으로 남아 있다. 비류대로는 고구려의 시조 고주몽(高朱蒙)의 아들인 비류(沸流)가 남하하여 세운 나라에서 명칭...
-
경기도 시흥시 지역이 속해 있던 옛 시흥군 수암면에서 1919년 3월에 일어난 독립 만세운동. 수암면 3.1운동은 일제에 맞서 지역민들이 향촌의 전통 리(里) 조직을 통해 일제의 무단통치를 반대하며 수암면사무소와 수암주재소로 몰려가 만세운동을 펼친 항일 독립운동으로, 민족 독립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수암면은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와 경기도...
-
경기도 시흥시 지역이 속해 있던 옛 시흥군 수암면에서 1919년 3월에 일어난 독립 만세운동. 수암면 3.1운동은 일제에 맞서 지역민들이 향촌의 전통 리(里) 조직을 통해 일제의 무단통치를 반대하며 수암면사무소와 수암주재소로 몰려가 만세운동을 펼친 항일 독립운동으로, 민족 독립운동으로 발전하였다. 수암면은 지금의 경기도 시흥시와 경기도...
-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는 중증 장애인을 위한 복지시설. 현행 「장애인 복지법」시행 규칙에 따르면 장애인 복지시설은 크게 장애인 생활 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재활 시설, 장애인 직업 재활 시설, 장애인 유료 복지시설 등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장애인 생활 시설은 장애 유형별 생활 시설[지체장애인, 청각·언어 장애인, 시각 장애인, 지적장애인, 중증장애인], 중증 장애 요...
-
시흥군 소래면 신천리[지금의 시흥시 신천동] 복음자리마을은 1977년부터 서울의 무허가 판자촌 주민들이 집단 이주해 형성되었다. 도시 빈민으로 살면서 가난에 찌들어 불신과 불만으로 가득했던 복음자리마을 주민들은 제정구(諸廷坵)와 정일우(鄭日祐)[John Vincent Daly] 신부 등 헌신적으로 마을 공동체 운동을 펼친 관계자들과 함께 연대하여 자립하는 공동체를 만들어...
-
경기도 시흥시의 산업 중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등의 공정 기술을 활용하는 산업. 뿌리 산업은 '소재를 부품으로, 부품을 완제품'으로 생산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6개의 기초 공정 기술, 즉 제품의 형상을 만드는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기술과 제품에 물성을 부여하는 표면처리와 열처리 기술이 기반인 산업을 말한다. 나무뿌리처럼 겉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