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0431
한자 永膺大君墓-神道碑
영어공식명칭 Memorial Stone and Tomb of Prince Youngeng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산70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창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 시기/일시 1467년연표보기 - 영응대군 묘 조성
조성 시기/일시 1498년연표보기 - 영응대군 신도비 건립
피장자 생년 시기/일시 1434년 - 영응대군 출생
피장자 몰년 시기/일시 1467년 - 영응대군 사망
이장 시기/일시 1900년연표보기 - 영응대군 묘 이장
문화재 지정 일시 1988년 5월 31일연표보기 - 영응대군 묘 및 신도비 시흥시 향토유적 제9호 지정
현 소재지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산70 지도보기
원소재지 경기도 양주군 건천면 군장리 팔곡산
성격 묘소와 신도비
양식 원형 합장 쌍분
관련 인물 영응대군
소유자 전주 이씨 영응대군파 종회
관리자 전주 이씨 영응대군파 종회
문화재 지정 번호 시흥시 향토유적 제9호

[정의]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왕자 영응대군 묘와 신도비.

[개설]

영응대군(永膺大君)[1434~1467]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명지(明之), 호는 서곡(西谷)이다. 아버지는 세종,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로 영의정 심온(沈溫)의 딸이다. 1441년(세종 23) 영흥대군(永興大君)에 봉해졌다가, 1443년(세종 25) 역양대군(歷陽大君), 1447년(세종 29) 영응대군(永膺大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세종은 여러 아들이 있었지만 여덟 번째인 영응대군 이염(李琰)을 특별히 사랑하였다. 1444년(세종 26) 영응대군의 배필을 정할 때 세종이 친히 사정전에서 처녀를 간선(簡選)하였고, 1449년(세종 31) 세종은 영응대군 집[동별궁]으로 옮겨가서 이듬해 그곳에서 승하할 정도였다. 집안의 노비가 1만 명 이상이었지만 검소한 생활을 했다고 한다. 『명황계감(明皇誡鑑)』을 한글로 번역하였고, 글씨와 그림은 물론 음률(音律)에도 밝았다. 시호는 경효(敬孝)이다.

[위치]

영응대군 묘경기도 시흥시 군자동 산70에 있다. 군자봉 서쪽 산자락에 있는 전주 이씨(全州李氏) 영응대군파 세장지(世葬地)에 있다. 그 앞으로 영동고속도로가 지나간다. 묘 입구에 재실(齋室)인 경효재(敬孝齋)와 사당인 경효사(敬孝祠)가 있다.

[변천]

초장지(初葬址)는 경기도 양주군 건천면 군장리[지금의 경기도 양주시] 팔곡산에 있었으나 1900년(광무 4) 안산군 마유면[지금의 시흥시 군자동 산70]으로 이장하였다. 1968년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에 있던 셋째 부인 연안 김씨(延安金氏)와 그 자손들의 묘를 옮겨 함께 안치하였다.

[형태]

영응대군과 해주 정씨(海州鄭氏)·여산 송씨(礪山宋氏)를 합장하였고, 그 왼쪽에 연안 김씨 묘를 만들어 쌍분(雙墳)의 형태이다. 두 묘역에 모두 호석(護石)을 둘렀다. 다른 묘역과 마찬가지로 묘 앞에는 묘비·상석·향로석·장명등이 있고, 좌우에 망주석과 문인석을 배치하였다. 묘비는 1968년에 만든 것이고, 신도비를 제외한 대부분의 석물은 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금석문]

묘에서 동남쪽으로 50m 지점에 1498년(연산군 4)에 세운 신도비가 있다. 신도비는 귀부(龜趺), 비신(碑身), 이수(螭首)의 형태를 갖추었다. 신도비의 총 높이는 2.66m이고, 비신(碑身)의 높이는 1.45m이다. 비면에는 '영응대군 신도비(永膺大君神道碑)’란 전제(篆題)와 '유명조선국 영응대군 시경효공 신도비명(有明朝鮮國永膺大君諡敬孝公神道碑銘)'이란 비제(碑題)가 새겨져 있다. 비문은 도승지 임사홍(任士洪)이 짓고 전액(篆額)했으며, 글씨는 용양위부사정(龍驤衛副司正) 박경(朴耕)이 썼다.

[현황]

영응대군 묘 및 신도비는 1988년 5월 31일 시흥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영응대군 묘 및 신도비는 조선시대 묘제 및 석물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된다. 특히 송설체(松雪體)에 능했던 임사홍이 쓴 신도비는 우리나라 서예사에서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