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1169
한자 民俗-
영어공식명칭 Traditional Folk Gam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시흥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목진호

[정의]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예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놀이.

[개설]

시흥 지역의 민속놀이는 일제강점기부터 조사되었다. 그 종류로는 윷놀이, 줄다리기, 달맞이, 쥐불놀이, 널뛰기, 연날리기, 다리밟기, 돈치기, 그네, 천렵(川獵), 복놀이, 농악, 산놀이, 풀겨루기, 끼름, 호미씻이, 팽이치기, 썰매타기, 활쏘기, 경로회, 시회, 진치기, 숨바꼭질 등 23개이다. 이 중에서 유희형 놀이로는 산놀이, 갈퀴치기, 윷놀이, 얼레공놀이가 있다. 이 밖에 시흥의 대표적인 놀이로는 다리밟기, 포동 새우개 장승 놀이 등이 있다.

[유희형 놀이]

시흥 지역의 유희형 놀이에는 산놀이, 갈퀴치기, 윷놀이, 얼레공놀이 등이 있다. 산놀이는 봄이 되면 산에 올라 하루를 즐겁게 보내는 놀이이다. 이날은 특별히 날씨가 좋은 날을 택해 마을 젊은이들이 서로 모여 풍물을 치기도 하면서 산에 올라 음식을 나누면서 놀게 된다. 갈퀴치기는 타 지역에서 '낫치기'라고도 불리는데, 주로 가을과 겨울철에 나무를 많이 할 때 노는 놀이다. 놀이 방법은 나무를 해서 일정량을 같이 내놓은 후, 갈퀴를 던져 안과 밖으로 뒤집어지는 모양에 따라 승부를 내어 이긴 쪽이 진 사람의 나무를 가져간다. 일종의 내기 놀이이다.

윷놀이는 정월에 노는 놀이로서, 윷가락을 던지고 말을 써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다. 시흥 지역의 윷놀이 방식도 다른 지역과 동일하다. 윷의 종류로는 보편적인 형태의 가락윷과 밤나무로 손아귀에 들어갈 정도로 작게 만든 토시윷[밤윷·종윷]이 있다. 토시윷이라 부르는 이유는 겨울철 소매나 발목을 감싸는 토시에 윷을 넣어 흔들다가 던져 노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얼레공놀이는 넓은 들판이나 잔디밭 혹은 마당에서 노는 놀이로서 두 편으로 나눠 나무옹이로 만든 공을 120㎝가량 길이의 나무채로 치면서 상대편 골문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제의형 놀이]

시흥 지역의 제의형 놀이에는 다리밟기, 포동 새우개 장승 놀이 등이 있다. 다리밟기는 정월 보름날 주로 오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 행해지며 참가자와 악사는 대형을 맞춰 걷는다. 이들은 다리를 세 곳 이상 건너면서 수명 장수와 풍요를 빌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한다.

포동 새우개 장승 놀이는 마을 중앙에 있는 은행나무와 느티나무 사이에 있는 당집 주변에서 벌이는 놀이다. 두 나무는 오이도에서 넘어오는 액운을 막기 위해 마을 언덕에 심었다고 전해지며 그 사이에 있는 당집은 장승 놀이에 앞서 제를 지내는 장소로 쓰인다. 이 놀이는 음력 정월 초 길일을 정해 행해져 왔는데, 어부들이 고기잡이배에 모셔 왔던 '소당아기씨'[배를 지키는 수호신으로 모셔지는 무신]와 함께 25신위를 당집에 모셔 두고 제를 지낸다. 이 놀이의 목적은 마을의 안녕과 풍어(豐漁), 그리고 풍년을 기원하는 것이다. 마을 사람들은 장승이 마을의 나쁜 액운을 막아 주고 사악한 귀신을 물리쳐 준다고 믿었고, 장승 주변을 돌고 함께 춤추면서 장승에게 감사의 예를 올렸다. 장승제가 끝나면 주민들은 함께 우의를 다졌다. 1991년 제7회 경기도 민속 예술 경연 대회에는 시흥시 대표 민속놀이로 포동 새우개 장승 놀이가 출전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