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900327
한자 鹽所
영어공식명칭 Salt Producti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시흥시
시대 고대,고려,조선,근대
집필자 방문식

[정의]

경기도 시흥 지역에서 과거 전통 시대에 소금을 생산하던 장소.

[개설]

소금은 현재도 마찬가지이지만 과거에도 사람들의 생활 필수품이었다. 그 소금을 생산하던 곳을 옛날에는 염소(鹽所)라고 하였다.

[소금 생산 제도의 변천]

전통 시대에 소금은 그 생산과 유통을 통제할 때 생기는 이득이 국가 재정에 큰 기여를 해왔기 때문에 국가는 일찍부터 소금의 생산과 조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중국에서는 이미 기원전 한나라 때 소금 전매 제도를 실시하였고, 원나라 때는 소금으로부터 국가 예산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세입을 얻었다고 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이미 삼국시대 신라 때부터 소금을 생산하고 보관하는 체제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인 1288년(충렬왕 14) 백성 중에 염호(鹽戶)를 뽑아 염창(鹽倉)을 건설하도록 하였다. 고려 후기 충선왕 때에는 소금 생산과 유통을 장악하기 위해 각염법(椎鹽法)을 시행하였고, 이로써 얻어지는 1년 세입이 포(布) 4만 필(匹)에 육박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 소금 전매제는 철폐되었으나 염업(鹽業)의 국영 형태는 이어졌다. 양란(洋亂)[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국가 재정이 악화되면서 어염세(漁鹽稅)가 새로운 세원으로 떠올라 염철사(鹽鐵使)와 염철조도사(鹽鐵調度使), 양호염철사제(兩湖鹽鐵使制)를 시행하기도 하였다. 1731년(영조 7)에는 흉년 극복의 진휼곡(賑恤穀)을 마련한다는 명목으로 김해의 명지도에서 공염제(公鹽制)를 운영하였다. 명지도의 공염제는 정부에서 소금 생산에 관여하지 않고, 민간이 소금을 생산하여 감영(監營) 주관하에 판매하는 방식이었다.

[조선시대 시흥 지역의 염소]

지금의 경기도 시흥에 해당되는 조선시대 인천과 안산을 비롯한 부평, 강화, 교동 등에서도 소금 생산지로서 관련 기록이 전해져 온다. 1757년(영조 33)~1765년(영조 41)에 각 읍에서 편찬한 읍지를 모아 성책(成冊)한 『여지도서(輿地圖書)』와 1751년(영조 27) 실학자 이중환(李重煥)이 현지 답사를 기초로 하여 저술한 『택리지(擇里志)』에는 당시 안산과 인천은 주민 대다수가 농업과 어염을 주된 생활 방편으로 삼고 있었다고 한다. 이는 전통적인 소금 생산 방식인 해수직자법(海水直煮法)이나 자염법(煮鹽法)에 어울리는 지리적 요건을 갖추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구체적인 염소의 수가 기록되어 있는데, 인천 6개소, 부평 7개소, 강화 11개소, 그리고 교동 3개소 등 총 27개의 염소가 있었다고 한다. 이는 경기도 전체 염소 수의 약 30%, 전국 염소 수의 10%에 해당하는 많은 수였다. 이 일대는 소금 생산지가 많았고 생산 비중도 높았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시흥 지역의 염소]

개항 이후 중국의 값싼 천일염이 수입되면서 조선의 염업은 큰 타격을 입었다. 왜냐하면 중국의 방식은 햇볕에 말려 소금을 만드는 천일염인 반면 조선과 일본의 방식은 바닷물을 염전에 가두고, 소금 가마에 끓이는 자염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1910~1930년대 일제강점기 때에는 시흥 지역에 군자염전소래염전을 두고 천일염을 생산해 나갔다. 즉, 근대로 넘어오면서 점차로 바닷물을 끓이는 전통적인 방식보다 천일염 방식으로 대체해 나가게 되면서 염소는 염전으로 바뀌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